1 00:00:00,390 --> 00:00:01,300 안녕하세요, 여러분 2 00:00:01,300 --> 00:00:06,852 프로그램의 가장 흥미로운 것 중의 하나는 상호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죠. 3 00:00:06,852 --> 00:00:12,441 누군가 컴퓨터나 전화기에서 뭔가를 클릭하고, 탭하거나 또는 문자를 입력하면 4 00:00:12,441 --> 00:00:16,428 이벤트가 생기죠. 그리고 이벤트가 일어나면 무엇을 할지 결정하는 코드가 있어요. 5 00:00:16,428 --> 00:00:20,063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이벤트 핸들러가 있을 수 있어요. 6 00:00:20,063 --> 00:00:22,272 "마우스를 클릭하면, 소리를 내어요." 7 00:00:23,582 --> 00:00:25,657 어떻게 되는지 한 번 해볼까요. 8 00:00:25,657 --> 00:00:28,261 Flappy Bird라는 게임을 들어본 적이 있나요? 9 00:00:28,261 --> 00:00:34,499 이벤트핸들러를 사용하여, 나만의 Flappy Bird 게임 버전을 만드는 법을 배울 수 있어요. 10 00:00:34,499 --> 00:00:40,801 내가 작성한 코드로 블록을 끌어다가 붙이죠. 이게 바로 컴퓨터를 위한 명령어이죠. 11 00:00:40,801 --> 00:00:44,061 드래그 앤 드롭 프로그래밍은 배우기가 가장 쉬워요... 12 00:00:44,061 --> 00:00:47,062 대학생도 코드 작성하는 법을 배울 수 있죠. 13 00:00:47,062 --> 00:00:51,011 하지만, 그 속에서는 각 블록들이 진짜 코드로 되어 있답니다. 14 00:00:51,011 --> 00:00:56,059 작업공간을 보면, 채워진 일부 녹색 블록이 보일 거에요. 15 00:00:56,059 --> 00:00:57,871 이것이 이벤트 핸들러에요. 16 00:00:57,871 --> 00:01:04,820 마우스를 클릭할 때 새가 퍼덕거리게 하고 싶으면, 플랩-블록을 적합한 이벤트핸들러에 붙이면 되요. 17 00:01:04,820 --> 00:01:08,714 이제 게임에서 마우스를 클릭할 때마다, 새가 퍼덕거리죠. 18 00:01:08,714 --> 00:01:15,413 이처럼 각 퍼즐마다, 녹색 블록이 작업 공간에 있을 때 새로운 종류의 이벤트를 도입할 거에요. 19 00:01:15,413 --> 00:01:19,506 그리고 이러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추가할 적합한 블록을 결정할 수 있죠. 20 00:01:19,506 --> 00:01:23,620 이와 같은 화살표를 보면, 설정을 변경할 수 있어요. 21 00:01:23,620 --> 00:01:26,620 새가 땅에 닿을 때 소리를 내는 것처럼요. 22 00:01:26,620 --> 00:01:31,318 마지막 퍼즐에서, 나만의 게임을 만들고 그것을 친구와 공유할 수 있게 되어요. 23 00:01:31,318 --> 00:01:33,224 재미있게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