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1.213 --> 00:00:04.176 안녕! Every Frame a Painting의 토니입니다 00:00:08.828 --> 00:00:11.807 최근에 '어떻게 편집 하냐'는 질문을 받았어요 00:00:12.248 --> 00:00:15.282 그래서 우선 촬영파일을 정리하고, 그중에 선택... 에 대해 말하려던 찰나 00:00:15.804 --> 00:00:21.130 "아니 그런거 말고요. 어느 부분에서 자르고, 그런건 어떻게 아세요?" 00:00:23.728 --> 00:00:25.347 그런데 정말 설명을 못 하겠더라구요! 00:00:26.025 --> 00:00:28.680 대부분의 편집자들처럼, 제 직감을 따르거든요 00:00:28.897 --> 00:00:31.567 "편집 과정엔 필요한게 없어요... 00:00:31.567 --> 00:00:34.567 왜냐면 편집은 생각과 같은거에요 00:00:34.567 --> 00:00:37.450 저는 '지식'으로 편집하지 않아요 (쥬라기 공원 편집감독, 마이클 칸) 00:00:37.450 --> 00:00:40.450 작품 안에 들어가서 직접 느껴야 하죠" 00:00:40.450 --> 00:00:44.467 저도 똑같아요 편집하며 저만의 생각과 감정을 갖게되죠 00:00:45.113 --> 00:00:47.295 그래서 오늘은, 바로 이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요 00:00:48.010 --> 00:00:50.612 편집자는 어떤식으로 생각하고 느끼는 걸까요? 00:00:55.356 --> 00:00:58.976 편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눈' 이에요 00:00:58.976 --> 00:01:02.688 눈은 다른 어떤 것들보다 가장 많은 감정을 담고있어요 00:01:02.688 --> 00:01:04.660 그래서 훌륭한 배우들은 대화보다 00:01:04.660 --> 00:01:07.110 눈으로 더 많은 이야기를 합니다 00:01:07.393 --> 00:01:10.343 “내가 ‘나는 더 할 말 없어’ 라고 했더니 00:01:10.643 --> 00:01:13.607 그 사람이 ‘할 말이 없다니 그게 뭔 소리야?’ 00:01:13.999 --> 00:01:18.780 ‘할 말 엄청 많은거 다 알아! 멋진 얘기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 00:01:19.485 --> 00:01:24.011 근데 그냥 앉아서 듣고만 있잖아, 니 얘기는 머리속으로만 하고... 00:01:24.707 --> 00:01:26.454 “앨리엇, 자기야” “응?” 00:01:26.820 --> 00:01:28.939 “이거 먹어 봤어? 엄청 맛있네!” 00:01:29.459 --> 00:01:31.851 …그리고 그냥 말 안하기로 혼자 결정 해 버리고! (웃음) 00:01:32.211 --> 00:01:33.921 넌 할말이 없는게 아니라, 그게 니 모습이다!” 00:01:33.921 --> 00:01:36.739 제가 촬영분을 확인할때 찾는 것들이 있어요 00:01:36.968 --> 00:01:39.436 배우의 눈빛이 변하는 순간들이죠 00:01:39.919 --> 00:01:41.632 지금처럼, 어떤 결정을 내리는 순간들이요 00:01:45.575 --> 00:01:49.103 이런 숏들이 강렬한 이유는 다른 숏들과 같이 쓰면 효과적이기 때문인데 00:01:49.103 --> 00:01:52.534 예를들어, 이 남자의 눈을 보여주고나서 누구를 응시하고 있는지 보여주면 00:01:56.567 --> 00:01:59.846 무슨 생각을 하는지 한 마디 말 없이 전달 할수 있죠 00:02:01.482 --> 00:02:04.063 다음으로 말할 개념은 00:02:04.758 --> 00:02:06.827 '감정은 시간이 걸린다' 입니다 00:02:07.257 --> 00:02:10.390 우리가 화면속 인물들과 교감하거나 그들을 공감 할 수 있는건 00:02:10.390 --> 00:02:13.846 인물이 말 하기 전에 짓는 표정을 보여주는 순간들 덕분입니다 00:02:15.197 --> 00:02:16.814 (중국어 몰라요) 00:02:17.724 --> 00:02:19.134 (문 쾅) 00:02:19.544 --> 00:02:21.246 대사 후의 표정을 보여주는 순간들도 포함해서요 00:02:26.219 --> 00:02:30.289 편집자는 “이 감정은 어느정도의 시간을 둬야 할까?”를 결정해야 합니다 00:02:31.019 --> 00:02:33.614 그럼 연습 문제를 같이 풀어볼까요? 화면을 봐주세요 00:02:34.027 --> 00:02:35.802 어떤 감정이 느껴지는지 생각해 보세요 00:02:42.734 --> 00:02:43.965 다시 해볼게요 00:02:44.393 --> 00:02:46.536 그럼 이번엔 어떤 감정이 떠오르나요? 00:02:56.375 --> 00:02:57.970 두 장면이 조금 다르게 느껴지셨나요? 00:02:59.178 --> 00:03:01.071 편집이란 이런 결정들의 연속입니다 00:03:01.071 --> 00:03:03.305 4초만으로도 모든게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00:03:03.587 --> 00:03:06.657 정답이 없기 때문에 결정을 내리기가 더 어렵죠 00:03:07.306 --> 00:03:10.709 어떤 감정은 이렇게 하나의 롱테이크 숏일때 더 잘 전달되고 00:03:19.287 --> 00:03:22.191 어떤 감정은 여러개의 숏일때 더 효과적입니다 00:03:22.191 --> 00:03:24.411 감정을 쌓아 올리고 내리는게 더 쉽기 때문이에요 00:03:24.411 --> 00:03:27.647 이 장면은 루크 스카이워커가 자신을 시험하는 장면입니다 00:03:28.231 --> 00:03:29.555 (ㅎ ㅏ ...) 00:03:30.285 --> 00:03:34.053 각 숏의 길이에 주목해 주세요 00:03:38.683 --> 00:03:42.547 클라이맥스를 향해 갈수록 숏의 길이가 점점 더 짧아 집니다 00:03:49.993 --> 00:03:52.849 다섯개 숏으로 감정을 올렸다가 클라이맥스 후 감정을 내립니다 00:03:54.930 --> 00:03:56.540 (ㅇ ㅔ 휴...ㅉㅉ) 00:03:59.240 --> 00:04:01.934 숏의 길이도 다시 점점 길어질 뿐만 아니라 00:04:01.934 --> 00:04:04.324 아까보다 더 오래동안 피사체를 잡고 있죠 00:04:05.160 --> 00:04:10.000 이 시퀀스는 총 15초 정도 길이인데 감정이 ‘내려가는’ 부분이 두배 더 깁니다 00:04:10.000 --> 00:04:14.354 덕분에 관객들은 두배의 시간동안 루크의 실패를 교감하게 되는것이죠 00:04:15.319 --> 00:04:18.868 "헉...ㅎ ㅓ억... 못하겠어요... 너무 ㅋㅓ요" 00:04:19.240 --> 00:04:21.376 그럼 이 시간을 더 짧게 줄이면 어떤 느낌이 들까요? 00:04:21.556 --> 00:04:24.486 방금과 비슷하지만 더 최근에 만들어진 장면을 보시겠습니다 00:04:24.787 --> 00:04:26.846 차이를 구분해 보세요 00:04:33.616 --> 00:04:35.457 "할 수 있어 스콧, 커몬!" 00:04:38.994 --> 00:04:40.779 "쟤네 나 무시하고 있어" 00:04:41.043 --> 00:04:42.566 방금 느끼셨나요? 00:04:42.748 --> 00:04:47.815 이 씬은 스콧의 실패를 겨우 30 프레임만에 보여줬어요 00:04:48.872 --> 00:04:51.355 대조적으로 루크 스카이워크의 실패는 00:04:55.568 --> 00:04:57.079 30초가 걸렸죠 00:04:59.809 --> 00:05:01.371 인간은 기계가 아니라서 00:05:01.371 --> 00:05:03.331 감정을 느끼기 까지 어느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00:05:03.771 --> 00:05:05.841 만약 영화가 감정을 느낄 충분한 여유를 주지 않는다면 00:05:06.291 --> 00:05:07.645 진정성을 느끼지 못하겠죠 00:05:07.645 --> 00:05:10.967 “제가 최근에 나온 많은 영화들을 보며 든 생각은 00:05:11.217 --> 00:05:13.297 가짜처럼 느껴졌다는 거에요 (성난황소 편집감독, 셀마 스쿤메이커) 00:05:13.297 --> 00:05:16.428 사람들은 이것 저것 끼워 맞춰놓고는 00:05:16.788 --> 00:05:18.648 관객들이 영화에 몰입하길 바라는데, 00:05:18.648 --> 00:05:20.578 근데 몰입하지 못하게 영화를 만들어놨잖아요" 00:05:20.998 --> 00:05:23.106 진정성을 담는건 어려운 일입니다 00:05:25.284 --> 00:05:28.057 왜냐면 타이밍이란 머리로 인식할수 있는 부분이 아니거든요 00:05:28.057 --> 00:05:29.837 우리가 알아야 하는것은 00:05:29.837 --> 00:05:32.597 모든 숏에는 각자의 리듬이 있다는 점이죠 00:05:38.604 --> 00:05:42.647 (지옥의 묵시록 편집감독, 월터 머치) "모든 스토리는 각기 다른 이야기 방식, 00:05:42.647 --> 00:05:46.017 그리고 각자 다른 운율을 가지고 있어요 00:05:46.017 --> 00:05:48.937 그리고 편집은... 00:05:48.937 --> 00:05:51.717 70프로 정도는 이 운율에 관한거에요" 00:05:56.119 --> 00:05:57.960 리듬은 때론 명확하게 눈에 보입니다 00:05:57.960 --> 00:06:01.060 예를들어 배우들이 신체적인 액션을 보여줄때 처럼요 00:06:02.210 --> 00:06:06.090 (으 ㅇ ㅓ ㅇㅏ 아 아아아아잇~) 00:06:09.210 --> 00:06:11.550 하지만 다른 경우엔 꽤 미묘하게 녹아있습니다 00:06:11.550 --> 00:06:14.760 예를들면 뒷 배경에 사람들이 걸어다니는 리듬, 00:06:15.712 --> 00:06:20.706 여기 요리사, 손님, 점원들이 움직이는 리듬처럼요 00:06:22.564 --> 00:06:25.440 이 리듬은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느낄수 있는 리듬에 가깝습니다 00:06:25.440 --> 00:06:27.553 사실 저는 이런 리듬이 편집하기엔 더 어렵다고 생각해요 00:06:28.429 --> 00:06:31.271 그럼에도 같은 클립을 계속 반복해서 보다보면 00:06:31.271 --> 00:06:34.355 컷 해야 하는 부분이 어느순간 눈에 들어옵니다 00:06:42.654 --> 00:06:45.916 고전 할리우드 편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도 바로 이 리듬을 가지고 편집하는 것 이였어요 00:06:46.393 --> 00:06:49.462 다른 말로 하면, 이게 바로 그 유명한 ‘비가시적’ 편집 입니다 00:06:50.205 --> 00:06:52.224 너무 자연스럽게 컷이 잘려서 00:06:52.987 --> 00:06:56.011 “나에 대해 알고싶은게 더 있는겨?” 00:06:56.011 --> 00:06:57.233 컷이 바뀐걸 깨닫지도 못하는 거죠 00:06:57.420 --> 00:06:59.661 “내 방에나 같이 갈래유?” 00:07:00.013 --> 00:07:02.074 그렇다고 항상 이렇게 눈에 띄지 않을 필요도 없습니다 00:07:02.281 --> 00:07:05.151 컷의 연결이 부조화스러울때 더 잘 표현되는 감정도 있습니다 00:07:05.151 --> 00:07:07.031 누군가 동요하는 모습 처럼요 00:07:15.430 --> 00:07:17.227 또 이런 방법으로 관객들을 00:07:17.227 --> 00:07:19.437 심리적으로 불편하게 만들수도 있어요 00:07:27.907 --> 00:07:31.887 “마틴 스콜세지 감독님이 항상 말씀하시는 부분중 하나가 00:07:31.887 --> 00:07:35.470 가끔은 화면을 조금은 지나치게 길게 잡고 보여주라는 거에요 00:07:40.402 --> 00:07:43.141 물론 이런식의 편집이 필요할 때만 사용하죠 00:07:44.138 --> 00:07:48.040 관객들이 어떤 종류의 반응을 보이길 원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세요 00:07:55.814 --> 00:07:59.138 왜냐면 일반적이지 않은 컷만 일으킬 수 있는 감정도 있거든요 00:08:02.910 --> 00:08:04.909 이게 제 마지막 포인트 입니다 00:08:04.909 --> 00:08:08.220 만약 편집이 그렇게나 본능적인 문제라면 대체 어떻게 배울까요? 00:08:08.640 --> 00:08:10.200 딱 한가지 방법이 있어요 00:08:10.799 --> 00:08:11.939 연습 입니다 00:08:12.227 --> 00:08:15.340 “편집은 춤과 매우 비슷해요 00:08:15.702 --> 00:08:19.056 기본적인 부분은 설명할 수 있지만 00:08:19.056 --> 00:08:21.868 결국 춤추는 법을 배우려면 그냥 춤을 춰야 하죠” 00:08:22.571 --> 00:08:23.874 그냥 편집 해보세요 00:08:23.874 --> 00:08:26.905 더 많이 할수록, 당신만 가진 00:08:26.905 --> 00:08:28.755 특별한 리듬과 감정을 기르게 될거에요 00:08:28.938 --> 00:08:31.698 저는 10년째 편집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멀었어요 00:08:31.872 --> 00:08:35.728 제가 좌절 할 때마다 떠올리는 마이클 칸 편집 감독님의 말씀이 있는데 00:08:35.758 --> 00:08:37.875 “편집의 아름다운 점은, 00:08:37.875 --> 00:08:40.415 어쩌면 작가들이 느끼는 감정일수도 있겠네요, 00:08:40.415 --> 00:08:43.940 수많은 촬영분이 있어도 상관없어요 딱 한 조각 인거에요 00:08:45.004 --> 00:08:47.078 한번에 한 씬만, 한번에 한 컷만, 00:08:47.410 --> 00:08:50.107 저는 수많은 영화들을 그렇게 한 개씩 편집해 왔어요” 00:08:50.237 --> 00:08:52.130 그러니 한개씩 시도해 보세요 00:08:52.684 --> 00:08:54.404 왜냐면 당신이 어떤 이미지를 보던 00:08:55.066 --> 00:08:56.516 “정말 궁금해?” 00:08:56.982 --> 00:08:58.962 거기엔 감정과 리듬이 담겨 있을 테니까요 00:09:06.151 --> 00:09:07.254 그리고 직접 느껴보세요 00:09:07.637 --> 00:09:08.378 언제... 00:09:08.578 --> 00:09:09.568 잘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