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627 --> 00:00:03.326 DNA가 스스로를 어떻게 복제하는지 00:00:03.326 --> 00:00:05.805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00:00:05.805 --> 00:00:06.845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복제를 하고 00:00:06.845 --> 00:00:08.123 어떠한 것들이 복제를 하는 과정에 00:00:08.123 --> 00:00:11.150 관여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00:00:11.150 --> 00:00:13.166 설명을 하면서 DNA의 3'과 5' 말단에 대해서 말을 많이 할 것인데 00:00:13.166 --> 00:00:17.704 설명을 하면서 DNA의 3'과 5' 말단에 대해서 말을 많이 할 것인데 00:00:17.704 --> 00:00:20.013 만일 이 단어들이 생소하게 느껴지면 00:00:20.013 --> 00:00:22.163 DNA의 역평행 구조에 대한 00:00:22.163 --> 00:00:26.041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00:00:26.041 --> 00:00:28.163 이전 내용에 대해서 복습을 간단하게 진행하면 00:00:28.163 --> 00:00:31.355 이전 내용에 대해서 복습을 간단하게 진행하면 00:00:31.355 --> 00:00:33.042 이것은 DNA 구조를 확대한 것입니다 00:00:33.042 --> 00:00:35.497 이것은 DNA 구조를 확대한 것입니다 00:00:35.497 --> 00:00:37.934 5'과 3' 말단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은 00:00:37.934 --> 00:00:40.848 인산-당 골격에 포함되는 00:00:40.848 --> 00:00:44.930 리보오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00:00:44.930 --> 00:00:47.051 여기에 5개의 탄소를 가진 당 00:00:47.051 --> 00:00:48.639 즉 리보오스가 있습니다 00:00:48.639 --> 00:00:50.900 탄소들에 순서를 매기겠습니다 00:00:50.900 --> 00:00:54.876 이것은 1번 탄소, 2번 탄소 00:00:54.876 --> 00:00:58.516 3번 탄소, 4번 탄소 00:00:58.516 --> 00:01:00.641 그리고 마지막으로 5번 탄소입니다 00:01:00.641 --> 00:01:04.500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00:01:04.640 --> 00:01:05.693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00:01:05.693 --> 00:01:07.642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00:01:07.642 --> 00:01:10.526 3' 쪽에서 5' 쪽으로 방향으로 되어있습니다 00:01:10.526 --> 00:01:15.180 3' 쪽에서 5' 쪽으로 방향으로 되어있습니다 00:01:15.300 --> 00:01:19.498 아래쪽 말단은 3'이고 위쪽 말단은 5'이 되어 00:01:19.498 --> 00:01:20.886 3'에서 5'의 방향이 되는 것입니다 00:01:20.886 --> 00:01:23.550 3' 말단의 탄소에 인산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00:01:23.550 --> 00:01:25.934 위쪽의 5' 말단에 다시 인산기가 연결되어 있고 00:01:25.934 --> 00:01:27.358 이는 다시 3' 쪽과 연결됩니다 00:01:27.358 --> 00:01:28.464 이러한 구조가 반복하여 00:01:28.464 --> 00:01:31.463 5' 쪽에 다시 인산기가 결합하게 됩니다 00:01:31.463 --> 00:01:34.003 오른쪽에 대해 설명을 하면 00:01:34.003 --> 00:01:36.676 역평행 구조를 갖기 때문에 00:01:36.680 --> 00:01:40.300 위쪽 말단이 3'이며 아래쪽 말단은 5'입니다 00:01:40.380 --> 00:01:43.515 위쪽 말단이 3'이며 아래쪽 말단은 5'입니다 00:01:43.515 --> 00:01:44.979 이러한 말단의 위치 및 구조가 00:01:44.979 --> 00:01:47.563 역평행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00:01:47.563 --> 00:01:49.418 왼쪽과 오른쪽의 골격은 00:01:49.418 --> 00:01:51.449 서로 평행하지만 뒤집혀져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00:01:51.449 --> 00:01:54.661 역평행 구조라고 하게 됩니다 00:01:54.661 --> 00:01:58.833 이쪽이 3' 말단이 되고 이쪽이 5' 말단이 됩니다 00:01:58.833 --> 00:02:00.402 3' 말단과 5' 말단을 아는 것은 00:02:00.402 --> 00:02:02.070 DNA의 복제를 이해하는 과정에 매우 중요합니다 00:02:02.070 --> 00:02:04.030 왜냐하면 DNA 중합 효소가 00:02:04.030 --> 00:02:06.767 DNA 가닥을 신장시키기 위해 00:02:06.767 --> 00:02:09.327 뉴클레오타이드를 말단에 추가하게 되는데 00:02:09.327 --> 00:02:13.900 이때 3' 말단에만 추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0:02:13.900 --> 00:02:16.828 왼쪽 말단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00:02:16.828 --> 00:02:18.456 아래쪽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신장하는 00:02:18.456 --> 00:02:21.741 방법 밖에 없습니다 00:02:21.741 --> 00:02:24.250 5' 말단이 있는 위쪽 방향으로 DNA 가닥을 00:02:24.250 --> 00:02:27.000 신장할 수 없습니다 00:02:27.000 --> 00:02:29.386 염기를 결합시켜 신장하는 과정은 00:02:29.386 --> 00:02:33.074 3' 말단에서만 가능합니다 00:02:33.080 --> 00:02:38.720 DNA의 신장은 5' 에서 3'의 방향으로만 가능합니다 00:02:38.800 --> 00:02:40.978 3' 쪽에서 계속 붙여나가면 00:02:40.978 --> 00:02:45.038 5' 에서 3'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을 뜻합니다 00:02:45.038 --> 00:02:47.733 3' 에서 5'의 방향으로는 진행할 수 없습니다 00:02:47.733 --> 00:02:52.410 DNA 중합효소를 이용해서 5' 말단을 신장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00:02:52.410 --> 00:02:55.146 DNA 중합효소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00:02:55.146 --> 00:02:57.046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00:02:57.046 --> 00:02:58.985 위의 다이어그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00:02:58.985 --> 00:03:01.023 위의 다이어그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00:03:01.023 --> 00:03:03.512 이쪽에 복제되지 않은 00:03:03.512 --> 00:03:07.270 자연 상태의 DNA 가닥을 볼 수 있습니다 00:03:07.270 --> 00:03:09.769 자연 상태의 DNA 가닥을 볼 수 있습니다 00:03:09.769 --> 00:03:13.591 이쪽에 3'과 5' 말단이 써져있으며 00:03:13.591 --> 00:03:15.436 3' 말단의 가닥을 따라가겠습니다 00:03:15.436 --> 00:03:19.204 3' 말단의 가닥을 따라가면 00:03:19.204 --> 00:03:22.914 끝쪽에 상보적인 5' 말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3:22.914 --> 00:03:26.741 이쪽과 이쪽 끝은 같은 가닥입니다 00:03:26.741 --> 00:03:30.402 아래쪽 가닥을 따라가면 00:03:30.402 --> 00:03:32.409 이쪽 끝의 가닥과 같은 것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0:03:32.409 --> 00:03:33.654 이쪽 말단이 3' 이며 00:03:33.660 --> 00:03:38.920 이와 연결되는 가닥의 반대쪽 말단은 5'입니다 00:03:38.960 --> 00:03:40.118 전의 동영상에서 00:03:40.118 --> 00:03:41.795 DNA 복제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00:03:41.795 --> 00:03:44.154 간단하게 설명을 하였습니다 00:03:44.160 --> 00:03:49.920 전체적인 아이디어는 이중 나선 가닥이 00:03:50.000 --> 00:03:54.031 2 개의 가닥으로 서로 끊기며 00:03:54.031 --> 00:03:56.271 각 가닥에서 새로운 가닥을 생성하여 00:03:56.271 --> 00:03:58.757 DNA 복제가 이루어짐을 알아보았습니다 00:03:58.757 --> 00:04:01.076 DNA 복제가 이루어짐을 알아보았습니다 00:04:01.076 --> 00:04:04.092 DNA 가닥의 모습을 지퍼처럼 생각하면 00:04:04.092 --> 00:04:08.299 지퍼를 열고 각 부분에 새로운 지퍼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00:04:08.299 --> 00:04:10.041 실제로는 더욱 복잡한 과정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00:04:10.041 --> 00:04:12.419 '지퍼를 열고 새로운 지퍼를 단다' 라는 00:04:12.419 --> 00:04:15.300 표현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00:04:15.300 --> 00:04:18.296 복제 과정에 많은 효소들과 다른 것들이 있으며 00:04:18.296 --> 00:04:20.151 심지어 이 다이어그램에도 모든 요소들을 00:04:20.151 --> 00:04:21.845 담지 못했습니다 00:04:21.845 --> 00:04:24.000 우선적으로 중요한 인자들로 00:04:24.000 --> 00:04:26.459 사람들이 DNA 복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면 00:04:26.459 --> 00:04:30.249 반드시 들을 것들을 포함하였습니다 00:04:30.249 --> 00:04:31.576 가장 먼저 일어나는 것을 설명하면 00:04:31.576 --> 00:04:35.484 오른쪽의 DNA가 매우 꼬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00:04:35.484 --> 00:04:36.445 매우 꼬여있다는 것을 적겠습니다 00:04:36.445 --> 00:04:40.300 매우 꼬여있다는 것을 적겠습니다 00:04:40.300 --> 00:04:41.440 왼쪽에서 DNA 결합을 많이 분해할수록 00:04:41.443 --> 00:04:44.052 오른쪽에서 가닥들이 서로 00:04:44.052 --> 00:04:46.421 더욱 많이 꼬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0:04:46.421 --> 00:04:48.903 지퍼를 열기 위해서 00:04:48.903 --> 00:04:50.584 가닥들이 꼬인 것은 풀어줄 수 있는 00:04:50.584 --> 00:04:54.861 효소가 필요합니다 00:04:54.861 --> 00:04:58.676 이 효소를 DNA 회전효소라고 합니다 00:04:58.676 --> 00:05:00.993 이 효소는 골격 중 일부분을 00:05:00.993 --> 00:05:04.776 일시적으로 분해한 후 꼬인 것을 푼 뒤 00:05:04.776 --> 00:05:07.982 다시 결합을 시키면서 꼬인 것을 푸는데 00:05:07.982 --> 00:05:11.097 전체적인 개념은 꼬인 것을 풀어주는 것입니다 00:05:11.097 --> 00:05:12.762 헬리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00:05:12.762 --> 00:05:14.044 가닥들을 분리하는 헬리케이스는 00:05:14.044 --> 00:05:16.351 실제로 그림과 같이 삼각형으로 생기지 않았습니다 00:05:16.351 --> 00:05:18.057 헬리케이스의 구조를 실제로 본다면 00:05:18.057 --> 00:05:19.427 지금 보는 모형보다 00:05:19.427 --> 00:05:21.659 많이 근사할 것입니다 00:05:21.660 --> 00:05:23.460 헬리케이스는 00:05:23.460 --> 00:05:26.874 염기와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을 00:05:26.874 --> 00:05:29.156 끊으면서 가닥을 서로 분리시킵니다 00:05:29.156 --> 00:05:31.550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데닌과 티민이 결합하고 있습니다 00:05:31.550 --> 00:05:35.514 헬리케이스는 이 둘 사이의 결합을 끊게됩니다 00:05:35.520 --> 00:05:39.460 처음에는 꼬인 것을 풀어준 다음에 00:05:39.520 --> 00:05:40.841 헬리케이스가 작용하게 됩니다 00:05:40.841 --> 00:05:42.831 DNA 회전효소가 꼬인 것을 풀어주며 00:05:42.831 --> 00:05:45.555 다음에 헬리케이스가 작용하여 사이의 00:05:45.555 --> 00:05:47.504 결합을 끊게 됩니다 00:05:47.504 --> 00:05:49.744 앞에서 말하였듯이 뉴클레오타이드는 00:05:49.744 --> 00:05:51.109 5'에서 3'의 방향으로만 붙일 수 있기 때문에 00:05:51.109 --> 00:05:53.633 두 개의 가닥은 다른 방식으로 00:05:53.640 --> 00:05:57.580 신장을 하게 됩니다 00:05:57.700 --> 00:05:59.864 아래쪽에 있는 가닥은 00:05:59.864 --> 00:06:02.399 일직선으로 되어 있으며 00:06:02.399 --> 00:06:04.236 이를 선도가닥이라고 합니다 00:06:04.236 --> 00:06:06.428 이쪽이 5' 말단이라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00:06:06.428 --> 00:06:07.829 이쪽 방향으로 진행하며 00:06:07.829 --> 00:06:10.349 뉴클레오타이드를 신장할 수 있으며 00:06:10.349 --> 00:06:13.527 최종적으로 이쪽 부분에서 추가됩니다 00:06:13.527 --> 00:06:16.400 이 방향이 5'에서 3' 으로의 방향입니다 00:06:16.500 --> 00:06:20.116 이 다음부터 DNA의 복제가 시작됩니다 00:06:20.120 --> 00:06:22.900 RNA 프라이머가 필요합니다 00:06:22.900 --> 00:06:26.234 RNA 프라이머를 가닥과 결합시켜주는 것은 00:06:26.234 --> 00:06:28.107 DNA 프리메이스입니다 00:06:28.107 --> 00:06:29.684 이에 대해서는 이쪽에 있는 00:06:29.684 --> 00:06:31.967 지연가닥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00:06:31.967 --> 00:06:33.328 이쪽에 RNA를 추가하게 됩니다 00:06:33.328 --> 00:06:35.650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색을 칠하겠습니다 00:06:35.650 --> 00:06:37.768 RNA 프라이머가 이쪽에 결합할 것이며 00:06:37.768 --> 00:06:39.598 프라이머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00:06:39.598 --> 00:06:44.239 DNA 중합효소가 뉴클레오타이드를 00:06:44.239 --> 00:06:47.159 3'에 추가하며 신장하게 됩니다 00:06:47.159 --> 00:06:49.430 선도가닥의 신장이 보다 쉬운 이유는 00:06:49.430 --> 00:06:53.780 이쪽에 위치한 DNA 중합효소가 00:06:53.780 --> 00:06:55.692 앞에서 말하였듯이 00:06:55.692 --> 00:06:59.107 다이어그램에 나와있는 것처럼 완벽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00:06:59.107 --> 00:07:01.326 사진과는 다르게 훨씬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00:07:01.326 --> 00:07:02.712 이쪽에 중합효소가 있게 되며 00:07:02.712 --> 00:07:07.079 이를 밑에 적어보겠습니다 00:07:07.079 --> 00:07:08.477 열린 지퍼를 생각해보면 00:07:08.477 --> 00:07:11.601 중합효소는 3' 말단에서 00:07:11.601 --> 00:07:13.760 계속적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결합시키며 00:07:13.760 --> 00:07:17.191 가닥을 신장시킵니다 00:07:17.191 --> 00:07:20.831 이쪽의 부분이 일직선처럼 보입니다 00:07:20.831 --> 00:07:23.232 뉴클레오타이드를 5' 말단에도 추가할 수 있으면 00:07:23.232 --> 00:07:26.893 더욱 쉬울 것입니다 00:07:26.893 --> 00:07:28.433 왜냐하면 다른 종류의 중합효소가 00:07:28.433 --> 00:07:31.128 3'에서 5' 방향으로 신장을 만들면 00:07:31.128 --> 00:07:33.399 그림과 같이 계속적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00:07:33.399 --> 00:07:35.563 추가할 수 있을 것이고 00:07:35.563 --> 00:07:37.308 이전보다 훨씬 쉽게 복제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00:07:37.308 --> 00:07:40.011 하지만 실제로는 이렇지 않습니다 00:07:40.011 --> 00:07:43.841 5' 말단에 뉴클레오타이드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 00:07:43.841 --> 00:07:46.620 3' 말단이 이쪽에 있는 가닥에 대해서 00:07:46.620 --> 00:07:48.401 설명을 할 것입니다 00:07:48.401 --> 00:07:50.295 이쪽에 있는 가닥의 일부분을 보기 쉽게 00:07:50.295 --> 00:07:52.332 색으로 나타내겠습니다 00:07:52.332 --> 00:07:55.454 표시한 일부분의 왼쪽은 3'이며 00:07:55.460 --> 00:07:59.020 오른쪽은 5'입니다 00:07:59.020 --> 00:07:59.689 그렇기 때문에 00:07:59.689 --> 00:08:03.343 뉴클레오타이드를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없습니다 00:08:03.343 --> 00:08:06.343 그렇다면 생물은 어떻게 이 문제점을 해결할까요? 00:08:07.439 --> 00:08:10.659 DNA의 가닥이 끊기면서 바로 프라이머를 00:08:10.659 --> 00:08:14.278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해결합니다 00:08:14.278 --> 00:08:17.197 이 다이어그램은 프라이머를 하나의 뉴클레오타이드로 표현하였지만 00:08:17.197 --> 00:08:19.570 실제로는 여러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있으며 00:08:19.570 --> 00:08:21.467 대략 1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00:08:21.467 --> 00:08:27.000 이쪽 부분에 대략 1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추가할 것이며 00:08:27.160 --> 00:08:29.060 이는 DNA 프리메이스가 진행할 것입니다 00:08:29.060 --> 00:08:32.415 DNA 프리메이스가 00:08:32.415 --> 00:08:36.800 위쪽 가닥(지연 가닥)을 이동하면서 00:08:36.800 --> 00:08:38.382 RNA 프라이머를 가닥에 추가해줍니다 00:08:38.382 --> 00:08:41.280 RNA 프라이머를 가닥에 추가해줍니다 00:08:41.280 --> 00:08:42.773 실제로 하나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아니라 00:08:42.773 --> 00:08:45.186 여러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결합시킵니다 00:08:45.186 --> 00:08:48.008 RNA 프라이머가 결합하였으니 00:08:48.008 --> 00:08:53.520 중합효소가 5'에서 3'의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으며 00:08:53.520 --> 00:08:56.420 뉴클레오타이드를 3' 쪽에서 추가합니다 00:08:56.420 --> 00:08:58.600 그리는 것과 같이 뉴클레오타이드를 00:08:58.606 --> 00:09:00.918 계속적으로 결합하며 신장하게 됩니다 00:09:00.918 --> 00:09:02.286 프리메이스가 프라이머를 DNA 가닥에 결합시키고 00:09:02.286 --> 00:09:06.766 중합효소가 5'에서 3'의 방향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00:09:06.766 --> 00:09:12.400 추가하며 신장하는 과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00:09:12.460 --> 00:09:14.680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신장을 하게 되며 00:09:14.684 --> 00:09:16.818 가닥의 뒤쪽에 다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 00:09:16.818 --> 00:09:20.665 결국에는 짧은 DNA 절편들로 이루어져있으며 00:09:20.665 --> 00:09:24.492 이 짧은 단편들을 오카자키 절편이라고 합니다 00:09:24.500 --> 00:09:28.180 오카자키 절편입니다 00:09:28.260 --> 00:09:30.750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것은 생각해보면 00:09:30.750 --> 00:09:31.621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것은 생각해보면 ` 00:09:31.621 --> 00:09:32.705 왜 지연가닥이라고 부르는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00:09:32.705 --> 00:09:34.996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00:09:35.000 --> 00:09:36.420 DNA 복제 방법 중에서 차선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0:09:36.560 --> 00:09:39.020 DNA 복제가 진행됨에 따라 00:09:39.020 --> 00:09:41.337 지속적으로 오카자키 절편을 만들어야합니다 00:09:41.337 --> 00:09:45.600 과정 자체가 지연되기 때문에 느리게 진행되지만 00:09:45.600 --> 00:09:49.074 이 절편들이 DNA 연결효소를 통해서 00:09:49.080 --> 00:09:52.200 하나로 연결됩니다 00:09:52.200 --> 00:09:55.927 DNA 연결효소는 절편들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00:09:55.927 --> 00:09:59.148 절편에서의 RNA 부분들을 00:09:59.148 --> 00:10:02.102 DNA로 바뀌며 복제를 마무리하게 됩니다 00:10:02.102 --> 00:10:05.623 복제가 완료된 DNA 가닥을 00:10:05.623 --> 00:10:08.293 이쪽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00:10:08.293 --> 00:10:10.995 모든 과정이 마무리 되면 위쪽의 지연가닥과 00:10:10.995 --> 00:10:12.904 아래쪽의 선도가닥에서 00:10:12.904 --> 00:10:16.321 총 2개의 이중 가닥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