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627 --> 00:00:03,326 DNA가 스스로를 어떻게 복제하는지 2 00:00:03,326 --> 00:00:05,805 조금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 00:00:05,805 --> 00:00:06,845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복제를 하고 4 00:00:06,845 --> 00:00:08,123 어떠한 것들이 복제를 하는 과정에 5 00:00:08,123 --> 00:00:11,150 관여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6 00:00:11,150 --> 00:00:13,166 설명을 하면서 DNA의 3'과 5' 말단에 대해서 말을 많이 할 것인데 7 00:00:13,166 --> 00:00:17,704 설명을 하면서 DNA의 3'과 5' 말단에 대해서 말을 많이 할 것인데 8 00:00:17,704 --> 00:00:20,013 만일 이 단어들이 생소하게 느껴지면 9 00:00:20,013 --> 00:00:22,163 DNA의 역평행 구조에 대한 10 00:00:22,163 --> 00:00:26,041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11 00:00:26,041 --> 00:00:28,163 이전 내용에 대해서 복습을 간단하게 진행하면 12 00:00:28,163 --> 00:00:31,355 이전 내용에 대해서 복습을 간단하게 진행하면 13 00:00:31,355 --> 00:00:33,042 이것은 DNA 구조를 확대한 것입니다 14 00:00:33,042 --> 00:00:35,497 이것은 DNA 구조를 확대한 것입니다 15 00:00:35,497 --> 00:00:37,934 5'과 3' 말단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은 16 00:00:37,934 --> 00:00:40,848 인산-당 골격에 포함되는 17 00:00:40,848 --> 00:00:44,930 리보오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18 00:00:44,930 --> 00:00:47,051 여기에 5개의 탄소를 가진 당 19 00:00:47,051 --> 00:00:48,639 즉 리보오스가 있습니다 20 00:00:48,639 --> 00:00:50,900 탄소들에 순서를 매기겠습니다 21 00:00:50,900 --> 00:00:54,876 이것은 1번 탄소, 2번 탄소 22 00:00:54,876 --> 00:00:58,516 3번 탄소, 4번 탄소 23 00:00:58,516 --> 00:01:00,641 그리고 마지막으로 5번 탄소입니다 24 00:01:00,641 --> 00:01:04,500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25 00:01:04,640 --> 00:01:05,693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26 00:01:05,693 --> 00:01:07,642 왼쪽의 부분을 살펴보면 27 00:01:07,642 --> 00:01:10,526 3' 쪽에서 5' 쪽으로 방향으로 되어있습니다 28 00:01:10,526 --> 00:01:15,180 3' 쪽에서 5' 쪽으로 방향으로 되어있습니다 29 00:01:15,300 --> 00:01:19,498 아래쪽 말단은 3'이고 위쪽 말단은 5'이 되어 30 00:01:19,498 --> 00:01:20,886 3'에서 5'의 방향이 되는 것입니다 31 00:01:20,886 --> 00:01:23,550 3' 말단의 탄소에 인산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32 00:01:23,550 --> 00:01:25,934 위쪽의 5' 말단에 다시 인산기가 연결되어 있고 33 00:01:25,934 --> 00:01:27,358 이는 다시 3' 쪽과 연결됩니다 34 00:01:27,358 --> 00:01:28,464 이러한 구조가 반복하여 35 00:01:28,464 --> 00:01:31,463 5' 쪽에 다시 인산기가 결합하게 됩니다 36 00:01:31,463 --> 00:01:34,003 오른쪽에 대해 설명을 하면 37 00:01:34,003 --> 00:01:36,676 역평행 구조를 갖기 때문에 38 00:01:36,680 --> 00:01:40,300 위쪽 말단이 3'이며 아래쪽 말단은 5'입니다 39 00:01:40,380 --> 00:01:43,515 위쪽 말단이 3'이며 아래쪽 말단은 5'입니다 40 00:01:43,515 --> 00:01:44,979 이러한 말단의 위치 및 구조가 41 00:01:44,979 --> 00:01:47,563 역평행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42 00:01:47,563 --> 00:01:49,418 왼쪽과 오른쪽의 골격은 43 00:01:49,418 --> 00:01:51,449 서로 평행하지만 뒤집혀져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44 00:01:51,449 --> 00:01:54,661 역평행 구조라고 하게 됩니다 45 00:01:54,661 --> 00:01:58,833 이쪽이 3' 말단이 되고 이쪽이 5' 말단이 됩니다 46 00:01:58,833 --> 00:02:00,402 3' 말단과 5' 말단을 아는 것은 47 00:02:00,402 --> 00:02:02,070 DNA의 복제를 이해하는 과정에 매우 중요합니다 48 00:02:02,070 --> 00:02:04,030 왜냐하면 DNA 중합 효소가 49 00:02:04,030 --> 00:02:06,767 DNA 가닥을 신장시키기 위해 50 00:02:06,767 --> 00:02:09,327 뉴클레오타이드를 말단에 추가하게 되는데 51 00:02:09,327 --> 00:02:13,900 이때 3' 말단에만 추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52 00:02:13,900 --> 00:02:16,828 왼쪽 말단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53 00:02:16,828 --> 00:02:18,456 아래쪽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신장하는 54 00:02:18,456 --> 00:02:21,741 방법 밖에 없습니다 55 00:02:21,741 --> 00:02:24,250 5' 말단이 있는 위쪽 방향으로 DNA 가닥을 56 00:02:24,250 --> 00:02:27,000 신장할 수 없습니다 57 00:02:27,000 --> 00:02:29,386 염기를 결합시켜 신장하는 과정은 58 00:02:29,386 --> 00:02:33,074 3' 말단에서만 가능합니다 59 00:02:33,080 --> 00:02:38,720 DNA의 신장은 5' 에서 3'의 방향으로만 가능합니다 60 00:02:38,800 --> 00:02:40,978 3' 쪽에서 계속 붙여나가면 61 00:02:40,978 --> 00:02:45,038 5' 에서 3'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을 뜻합니다 62 00:02:45,038 --> 00:02:47,733 3' 에서 5'의 방향으로는 진행할 수 없습니다 63 00:02:47,733 --> 00:02:52,410 DNA 중합효소를 이용해서 5' 말단을 신장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64 00:02:52,410 --> 00:02:55,146 DNA 중합효소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습니다 65 00:02:55,146 --> 00:02:57,046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66 00:02:57,046 --> 00:02:58,985 위의 다이어그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67 00:02:58,985 --> 00:03:01,023 위의 다이어그램을 확인해보겠습니다 68 00:03:01,023 --> 00:03:03,512 이쪽에 복제되지 않은 69 00:03:03,512 --> 00:03:07,270 자연 상태의 DNA 가닥을 볼 수 있습니다 70 00:03:07,270 --> 00:03:09,769 자연 상태의 DNA 가닥을 볼 수 있습니다 71 00:03:09,769 --> 00:03:13,591 이쪽에 3'과 5' 말단이 써져있으며 72 00:03:13,591 --> 00:03:15,436 3' 말단의 가닥을 따라가겠습니다 73 00:03:15,436 --> 00:03:19,204 3' 말단의 가닥을 따라가면 74 00:03:19,204 --> 00:03:22,914 끝쪽에 상보적인 5' 말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5 00:03:22,914 --> 00:03:26,741 이쪽과 이쪽 끝은 같은 가닥입니다 76 00:03:26,741 --> 00:03:30,402 아래쪽 가닥을 따라가면 77 00:03:30,402 --> 00:03:32,409 이쪽 끝의 가닥과 같은 것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78 00:03:32,409 --> 00:03:33,654 이쪽 말단이 3' 이며 79 00:03:33,660 --> 00:03:38,920 이와 연결되는 가닥의 반대쪽 말단은 5'입니다 80 00:03:38,960 --> 00:03:40,118 전의 동영상에서 81 00:03:40,118 --> 00:03:41,795 DNA 복제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82 00:03:41,795 --> 00:03:44,154 간단하게 설명을 하였습니다 83 00:03:44,160 --> 00:03:49,920 전체적인 아이디어는 이중 나선 가닥이 84 00:03:50,000 --> 00:03:54,031 2 개의 가닥으로 서로 끊기며 85 00:03:54,031 --> 00:03:56,271 각 가닥에서 새로운 가닥을 생성하여 86 00:03:56,271 --> 00:03:58,757 DNA 복제가 이루어짐을 알아보았습니다 87 00:03:58,757 --> 00:04:01,076 DNA 복제가 이루어짐을 알아보았습니다 88 00:04:01,076 --> 00:04:04,092 DNA 가닥의 모습을 지퍼처럼 생각하면 89 00:04:04,092 --> 00:04:08,299 지퍼를 열고 각 부분에 새로운 지퍼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90 00:04:08,299 --> 00:04:10,041 실제로는 더욱 복잡한 과정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91 00:04:10,041 --> 00:04:12,419 '지퍼를 열고 새로운 지퍼를 단다' 라는 92 00:04:12,419 --> 00:04:15,300 표현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93 00:04:15,300 --> 00:04:18,296 복제 과정에 많은 효소들과 다른 것들이 있으며 94 00:04:18,296 --> 00:04:20,151 심지어 이 다이어그램에도 모든 요소들을 95 00:04:20,151 --> 00:04:21,845 담지 못했습니다 96 00:04:21,845 --> 00:04:24,000 우선적으로 중요한 인자들로 97 00:04:24,000 --> 00:04:26,459 사람들이 DNA 복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면 98 00:04:26,459 --> 00:04:30,249 반드시 들을 것들을 포함하였습니다 99 00:04:30,249 --> 00:04:31,576 가장 먼저 일어나는 것을 설명하면 100 00:04:31,576 --> 00:04:35,484 오른쪽의 DNA가 매우 꼬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01 00:04:35,484 --> 00:04:36,445 매우 꼬여있다는 것을 적겠습니다 102 00:04:36,445 --> 00:04:40,300 매우 꼬여있다는 것을 적겠습니다 103 00:04:40,300 --> 00:04:41,440 왼쪽에서 DNA 결합을 많이 분해할수록 104 00:04:41,443 --> 00:04:44,052 오른쪽에서 가닥들이 서로 105 00:04:44,052 --> 00:04:46,421 더욱 많이 꼬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06 00:04:46,421 --> 00:04:48,903 지퍼를 열기 위해서 107 00:04:48,903 --> 00:04:50,584 가닥들이 꼬인 것은 풀어줄 수 있는 108 00:04:50,584 --> 00:04:54,861 효소가 필요합니다 109 00:04:54,861 --> 00:04:58,676 이 효소를 DNA 회전효소라고 합니다 110 00:04:58,676 --> 00:05:00,993 이 효소는 골격 중 일부분을 111 00:05:00,993 --> 00:05:04,776 일시적으로 분해한 후 꼬인 것을 푼 뒤 112 00:05:04,776 --> 00:05:07,982 다시 결합을 시키면서 꼬인 것을 푸는데 113 00:05:07,982 --> 00:05:11,097 전체적인 개념은 꼬인 것을 풀어주는 것입니다 114 00:05:11,097 --> 00:05:12,762 헬리케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15 00:05:12,762 --> 00:05:14,044 가닥들을 분리하는 헬리케이스는 116 00:05:14,044 --> 00:05:16,351 실제로 그림과 같이 삼각형으로 생기지 않았습니다 117 00:05:16,351 --> 00:05:18,057 헬리케이스의 구조를 실제로 본다면 118 00:05:18,057 --> 00:05:19,427 지금 보는 모형보다 119 00:05:19,427 --> 00:05:21,659 많이 근사할 것입니다 120 00:05:21,660 --> 00:05:23,460 헬리케이스는 121 00:05:23,460 --> 00:05:26,874 염기와 염기 사이의 수소 결합을 122 00:05:26,874 --> 00:05:29,156 끊으면서 가닥을 서로 분리시킵니다 123 00:05:29,156 --> 00:05:31,550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데닌과 티민이 결합하고 있습니다 124 00:05:31,550 --> 00:05:35,514 헬리케이스는 이 둘 사이의 결합을 끊게됩니다 125 00:05:35,520 --> 00:05:39,460 처음에는 꼬인 것을 풀어준 다음에 126 00:05:39,520 --> 00:05:40,841 헬리케이스가 작용하게 됩니다 127 00:05:40,841 --> 00:05:42,831 DNA 회전효소가 꼬인 것을 풀어주며 128 00:05:42,831 --> 00:05:45,555 다음에 헬리케이스가 작용하여 사이의 129 00:05:45,555 --> 00:05:47,504 결합을 끊게 됩니다 130 00:05:47,504 --> 00:05:49,744 앞에서 말하였듯이 뉴클레오타이드는 131 00:05:49,744 --> 00:05:51,109 5'에서 3'의 방향으로만 붙일 수 있기 때문에 132 00:05:51,109 --> 00:05:53,633 두 개의 가닥은 다른 방식으로 133 00:05:53,640 --> 00:05:57,580 신장을 하게 됩니다 134 00:05:57,700 --> 00:05:59,864 아래쪽에 있는 가닥은 135 00:05:59,864 --> 00:06:02,399 일직선으로 되어 있으며 136 00:06:02,399 --> 00:06:04,236 이를 선도가닥이라고 합니다 137 00:06:04,236 --> 00:06:06,428 이쪽이 5' 말단이라는 것을 알아야합니다 138 00:06:06,428 --> 00:06:07,829 이쪽 방향으로 진행하며 139 00:06:07,829 --> 00:06:10,349 뉴클레오타이드를 신장할 수 있으며 140 00:06:10,349 --> 00:06:13,527 최종적으로 이쪽 부분에서 추가됩니다 141 00:06:13,527 --> 00:06:16,400 이 방향이 5'에서 3' 으로의 방향입니다 142 00:06:16,500 --> 00:06:20,116 이 다음부터 DNA의 복제가 시작됩니다 143 00:06:20,120 --> 00:06:22,900 RNA 프라이머가 필요합니다 144 00:06:22,900 --> 00:06:26,234 RNA 프라이머를 가닥과 결합시켜주는 것은 145 00:06:26,234 --> 00:06:28,107 DNA 프리메이스입니다 146 00:06:28,107 --> 00:06:29,684 이에 대해서는 이쪽에 있는 147 00:06:29,684 --> 00:06:31,967 지연가닥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48 00:06:31,967 --> 00:06:33,328 이쪽에 RNA를 추가하게 됩니다 149 00:06:33,328 --> 00:06:35,650 잘 알아볼 수 있도록 색을 칠하겠습니다 150 00:06:35,650 --> 00:06:37,768 RNA 프라이머가 이쪽에 결합할 것이며 151 00:06:37,768 --> 00:06:39,598 프라이머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152 00:06:39,598 --> 00:06:44,239 DNA 중합효소가 뉴클레오타이드를 153 00:06:44,239 --> 00:06:47,159 3'에 추가하며 신장하게 됩니다 154 00:06:47,159 --> 00:06:49,430 선도가닥의 신장이 보다 쉬운 이유는 155 00:06:49,430 --> 00:06:53,780 이쪽에 위치한 DNA 중합효소가 156 00:06:53,780 --> 00:06:55,692 앞에서 말하였듯이 157 00:06:55,692 --> 00:06:59,107 다이어그램에 나와있는 것처럼 완벽한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158 00:06:59,107 --> 00:07:01,326 사진과는 다르게 훨씬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159 00:07:01,326 --> 00:07:02,712 이쪽에 중합효소가 있게 되며 160 00:07:02,712 --> 00:07:07,079 이를 밑에 적어보겠습니다 161 00:07:07,079 --> 00:07:08,477 열린 지퍼를 생각해보면 162 00:07:08,477 --> 00:07:11,601 중합효소는 3' 말단에서 163 00:07:11,601 --> 00:07:13,760 계속적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결합시키며 164 00:07:13,760 --> 00:07:17,191 가닥을 신장시킵니다 165 00:07:17,191 --> 00:07:20,831 이쪽의 부분이 일직선처럼 보입니다 166 00:07:20,831 --> 00:07:23,232 뉴클레오타이드를 5' 말단에도 추가할 수 있으면 167 00:07:23,232 --> 00:07:26,893 더욱 쉬울 것입니다 168 00:07:26,893 --> 00:07:28,433 왜냐하면 다른 종류의 중합효소가 169 00:07:28,433 --> 00:07:31,128 3'에서 5' 방향으로 신장을 만들면 170 00:07:31,128 --> 00:07:33,399 그림과 같이 계속적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171 00:07:33,399 --> 00:07:35,563 추가할 수 있을 것이고 172 00:07:35,563 --> 00:07:37,308 이전보다 훨씬 쉽게 복제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173 00:07:37,308 --> 00:07:40,011 하지만 실제로는 이렇지 않습니다 174 00:07:40,011 --> 00:07:43,841 5' 말단에 뉴클레오타이드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 175 00:07:43,841 --> 00:07:46,620 3' 말단이 이쪽에 있는 가닥에 대해서 176 00:07:46,620 --> 00:07:48,401 설명을 할 것입니다 177 00:07:48,401 --> 00:07:50,295 이쪽에 있는 가닥의 일부분을 보기 쉽게 178 00:07:50,295 --> 00:07:52,332 색으로 나타내겠습니다 179 00:07:52,332 --> 00:07:55,454 표시한 일부분의 왼쪽은 3'이며 180 00:07:55,460 --> 00:07:59,020 오른쪽은 5'입니다 181 00:07:59,020 --> 00:07:59,689 그렇기 때문에 182 00:07:59,689 --> 00:08:03,343 뉴클레오타이드를 계속적으로 추가할 수 없습니다 183 00:08:03,343 --> 00:08:06,343 그렇다면 생물은 어떻게 이 문제점을 해결할까요? 184 00:08:07,439 --> 00:08:10,659 DNA의 가닥이 끊기면서 바로 프라이머를 185 00:08:10,659 --> 00:08:14,278 결합시키는 방법을 통해 해결합니다 186 00:08:14,278 --> 00:08:17,197 이 다이어그램은 프라이머를 하나의 뉴클레오타이드로 표현하였지만 187 00:08:17,197 --> 00:08:19,570 실제로는 여러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있으며 188 00:08:19,570 --> 00:08:21,467 대략 1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189 00:08:21,467 --> 00:08:27,000 이쪽 부분에 대략 1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추가할 것이며 190 00:08:27,160 --> 00:08:29,060 이는 DNA 프리메이스가 진행할 것입니다 191 00:08:29,060 --> 00:08:32,415 DNA 프리메이스가 192 00:08:32,415 --> 00:08:36,800 위쪽 가닥(지연 가닥)을 이동하면서 193 00:08:36,800 --> 00:08:38,382 RNA 프라이머를 가닥에 추가해줍니다 194 00:08:38,382 --> 00:08:41,280 RNA 프라이머를 가닥에 추가해줍니다 195 00:08:41,280 --> 00:08:42,773 실제로 하나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아니라 196 00:08:42,773 --> 00:08:45,186 여러 개의 뉴클레오타이드를 결합시킵니다 197 00:08:45,186 --> 00:08:48,008 RNA 프라이머가 결합하였으니 198 00:08:48,008 --> 00:08:53,520 중합효소가 5'에서 3'의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으며 199 00:08:53,520 --> 00:08:56,420 뉴클레오타이드를 3' 쪽에서 추가합니다 200 00:08:56,420 --> 00:08:58,600 그리는 것과 같이 뉴클레오타이드를 201 00:08:58,606 --> 00:09:00,918 계속적으로 결합하며 신장하게 됩니다 202 00:09:00,918 --> 00:09:02,286 프리메이스가 프라이머를 DNA 가닥에 결합시키고 203 00:09:02,286 --> 00:09:06,766 중합효소가 5'에서 3'의 방향으로 뉴클레오타이드를 204 00:09:06,766 --> 00:09:12,400 추가하며 신장하는 과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205 00:09:12,460 --> 00:09:14,680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신장을 하게 되며 206 00:09:14,684 --> 00:09:16,818 가닥의 뒤쪽에 다시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됩니다 207 00:09:16,818 --> 00:09:20,665 결국에는 짧은 DNA 절편들로 이루어져있으며 208 00:09:20,665 --> 00:09:24,492 이 짧은 단편들을 오카자키 절편이라고 합니다 209 00:09:24,500 --> 00:09:28,180 오카자키 절편입니다 210 00:09:28,260 --> 00:09:30,750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것은 생각해보면 211 00:09:30,750 --> 00:09:31,621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것은 생각해보면 ` 212 00:09:31,621 --> 00:09:32,705 왜 지연가닥이라고 부르는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213 00:09:32,705 --> 00:09:34,996 지연가닥에서 일어나는 과정은 214 00:09:35,000 --> 00:09:36,420 DNA 복제 방법 중에서 차선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15 00:09:36,560 --> 00:09:39,020 DNA 복제가 진행됨에 따라 216 00:09:39,020 --> 00:09:41,337 지속적으로 오카자키 절편을 만들어야합니다 217 00:09:41,337 --> 00:09:45,600 과정 자체가 지연되기 때문에 느리게 진행되지만 218 00:09:45,600 --> 00:09:49,074 이 절편들이 DNA 연결효소를 통해서 219 00:09:49,080 --> 00:09:52,200 하나로 연결됩니다 220 00:09:52,200 --> 00:09:55,927 DNA 연결효소는 절편들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221 00:09:55,927 --> 00:09:59,148 절편에서의 RNA 부분들을 222 00:09:59,148 --> 00:10:02,102 DNA로 바뀌며 복제를 마무리하게 됩니다 223 00:10:02,102 --> 00:10:05,623 복제가 완료된 DNA 가닥을 224 00:10:05,623 --> 00:10:08,293 이쪽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225 00:10:08,293 --> 00:10:10,995 모든 과정이 마무리 되면 위쪽의 지연가닥과 226 00:10:10,995 --> 00:10:12,904 아래쪽의 선도가닥에서 227 00:10:12,904 --> 00:10:16,321 총 2개의 이중 가닥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