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000,0:00:04.834 log_3 (27x)를 간단화하는 문제입니다 0:00:04.834,0:00:06.564 솔직히 이미 꽤 간단한 형태지만 0:00:06.564,0:00:08.523 로그의 몇 가지 성질을 이용해 0:00:08.523,0:00:11.110 실제로는 조금 더 복잡해 보이는 형태로 0:00:11.110,0:00:13.346 바꾸라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0:00:13.346,0:00:15.323 한 번 해 봅시다 0:00:15.323,0:00:17.946 로그의 성질이 떠오릅니다 0:00:17.946,0:00:19.921 이 식은 0:00:19.921,0:00:23.121 3을 몇 번 거듭제곱하면 27x가 되냐는 의미입니다 0:00:23.121,0:00:26.444 27x는 27 곱하기 x이므로 0:00:26.444,0:00:30.552 처음 적용할 로그의 성질은 0:00:30.552,0:00:40.110 log_b (a*c) 0:00:40.110,0:00:41.656 이 식을 변형하면 0:00:41.656,0:00:48.079 log a 더하기 log c가 된다는 것입니다 0:00:48.079,0:00:50.982 이 결과는 지수적 성질에서 바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0:00:50.982,0:00:54.705 밑이 같은 지수식 두 개가 있으면 0:00:54.705,0:00:56.421 그 두 식을 더할 수 있습니다 0:00:56.421,0:00:57.941 좀 더 분명히 설명드리겠습니다 0:00:57.941,0:00:59.004 이 부분이 헷갈리신다면 0:00:59.004,0:01:02.656 이를 적용하는 게 주요 해결방법일 것입니다 0:01:02.656,0:01:04.479 직관적으로 이해한다면 더 좋겠지만 말입니다 0:01:04.479,0:01:10.571 log_b (a*c)=x라고 두겠습니다 0:01:10.571,0:01:13.777 여기 이 부분이 x이고 0:01:13.777,0:01:17.587 이 부분이 y라고 하면 0:01:17.587,0:01:22.079 즉 log_b a=y입니다 0:01:22.079,0:01:26.438 그리고 이 부분이 z라고 합시다 0:01:26.438,0:01:32.759 log_b c는 z입니다 0:01:32.759,0:01:34.715 이제 알 수 있는 것은 0:01:34.715,0:01:38.515 여기 이 부분이 0:01:38.515,0:01:40.695 의미하는 것이 0:01:40.695,0:01:46.829 b의 x제곱이 a*c라는 것입니다 0:01:46.829,0:01:49.823 이제 이 부분은 0:01:49.823,0:01:54.407 b^y=a라는 것을 0:01:54.407,0:01:56.859 그리고 이 부분은 0:01:56.859,0:01:59.823 b^z=c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0:01:59.823,0:02:02.029 똑같이 초록색으로 쓰겠습니다 0:02:02.029,0:02:04.198 이 식들은 항등식입니다 0:02:04.198,0:02:05.712 똑같은 사실을 지수식으로 쓰느냐 0:02:05.712,0:02:07.152 즉 지수방정식으로 쓰느냐 0:02:07.152,0:02:09.465 로그방정식으로 쓰느냐의 문제입니다 0:02:09.465,0:02:12.616 b^z=c입니다 0:02:12.616,0:02:15.187 이 두 식은 같은 식이고 0:02:15.187,0:02:18.015 이것도 같은 식이며 0:02:18.015,0:02:20.352 즉 같은 의미를 다르게 표현한 것입니다 0:02:20.352,0:02:23.377 이 두 식 역시 그렇습니다 0:02:23.377,0:02:25.087 여기서 우리가 0:02:25.087,0:02:28.531 a가 b^y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0:02:28.531,0:02:33.813 그리고 c가 b^z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0:02:33.813,0:02:35.710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0:02:35.710,0:02:41.808 b^x는 b^y 더하기 0:02:41.808,0:02:43.962 즉 a입니다 0:02:43.962,0:02:49.233 곱하기 b^z입니다 0:02:49.233,0:02:54.119 그리고 지수적 성질로부터 0:02:54.119,0:02:56.936 b^y*b^z는 0:02:56.936,0:02:58.744 다음 식과 같습니다 0:02:58.744,0:03:04.571 b의, 아 다른 색깔로 하겠습니다 b^(y+z)입니다 0:03:04.571,0:03:06.771 지수적 성질로부터 말입니다 0:03:06.771,0:03:10.925 b^(y+z)가 b^x와 같으므로 0:03:10.925,0:03:18.580 x=y+z입니다 0:03:18.580,0:03:21.695 만약 헷갈리시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십시오 0:03:21.695,0:03:24.264 중요한 것은, 적어도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은 0:03:24.264,0:03:26.536 이걸 적용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0:03:26.536,0:03:28.459 조금 더 생각해 보면 숫자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0:03:28.459,0:03:31.562 로그가 지수와 같다는 것을 깨달아야 합니다 0:03:31.562,0:03:34.675 많은 사람들이 무슨 의미냐고 질문하곤 합니다 0:03:34.675,0:03:36.984 로그를 계산하는 것은 0:03:36.984,0:03:41.608 b를 얼마나 거듭제곱해야 a*c가 되느냐는 문제입니다 0:03:41.608,0:03:45.141 일단 이 성질을 적용해 봅시다 0:03:45.141,0:03:47.223 만약 이 성질을 적용하면 0:03:47.223,0:03:51.669 log_3 (27*x)는 0:03:51.669,0:04:02.325 log 27 + log x와 같습니다 0:04:02.325,0:04:05.777 이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0:04:05.777,0:04:10.633 3을 몇 번 거듭제곱해야 27이 되나요? 0:04:10.633,0:04:15.152 3의 ?제곱이 27입니다 0:04:15.152,0:04:19.125 3의 세제곱이 27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04:19.125,0:04:21.577 3곱하기 3은 9, 3을 한 번 더 곱하면 27이 됩니다 0:04:21.577,0:04:23.567 즉 이 값은 3이 됩니다 0:04:23.567,0:04:24.629 그래서 간단히 하면 0:04:24.629,0:04:27.275 이게 간단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0:04:27.275,0:04:29.171 로그의 성질을 적용해 전개하면 0:04:29.171,0:04:32.392 처음에 한 개의 항이었는데 두 개의 항이 되었습니다 0:04:32.392,0:04:35.782 만약 이 모습으로 시작했으면[br]이 문제가 더 간단한 모습인 것 같습니다 0:04:35.782,0:04:41.929 다시 써 보면 첫 항은 3이 되고 0:04:41.929,0:04:45.818 더하기 log_3 x가 됩니다 0:04:45.818,0:04:50.198 처음의 식을 나타내는 다른 방법입니다 0:04:50.198,0:04:54.613 log_3 (27x) 0:04:54.613,0:04:58.299 다시 말씀드리지만 간단한 식이라기보다는 0:04:58.299,0:05:03.310 로그의 성질을 이용한 다른 형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