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번역의뢰: 이근영(ksmtesoler@naver.com) (낭송자)그 사람이 누군가를 군중가운데에서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학습장애인들은 그 중에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학습장애인자신도 모릅니다. (크리스틴) 나는 항상 학구적으로 몸부림쳤습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1학년이후로는 그리고 저는 계속 맘속으로 저 자신에게 다짐하듯 되새긴 것은 학교는 제게 너무 어렵다라는 것입니다. 정말 그랬습니다. (낭송자)학습장애는 보이지 않는 장애입니다. 아동은 학교공부로 수년간 고생하고나서야 진단을 받게 되는데 수년간 그녀는 왜 학교공부에 적응할 수 없는가를 깨우치지지 못합니다. (크리스틴) 제 친구 대부분은 30분정도 공부하고 A학점을 받습니다. 하지만 저는 학교초기에는 거의 4시간을 공부해도 D를 받습니다. (낭송자)크리스틴 그녀는 대학교학점을 위해서 복학을 할 겁니다. 그녀는 대학에 가기 전까지 난독증이 있는 줄 몰랐습니다. 첫번째 단계는 진단입니다. 학구성취가 눈에 띄게 낮을 때 그 원인은 학습장애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크리스는 고등학생으로서 난독증과 서자착오증으로 진단을 받았습니다. (크리스) 2학년때까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2학년때 어머님이 수십시간 테스트하는 곳으로 데리고 가기 시작하셨습니다. 정말 지루했고 급기야 알아채리게 된 건 어머님이 제가 특정영역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 시작한 연후였습니다. (낭송자) 학습장애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 장애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개인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개개인마다 공통점은 두뇌가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는 겁니다. (라일라) 제 생각에 학습장애를 가진다는 것은 학생들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간섭때문에 정보를 다른 학생들이 쉽게 소화하고 표현하는 것처럼 하지 못하는 겁니다. 그래서 열심히 공부해도 다른 학생들 처럼 이해하지 못하는 겁니다. (낭송자) 아니면 학습장애자들은 처음 정보를 접하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는 겁니다. (크리스) 가끔 저는 행을 읽고 나서 다음행을 읽고 중간쯤 가서 또다시 읽었던 행으로 뛰어넘어가서 읽었던 행을 다시 읽습니다. 정말 신경질 납니다. 어떨때는 단어들이 위치가 바뀌고 거꾸로 보이고 그래서 계속 어려움을 겪습니다. (낭송자) 학습장애는 누구에게든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카테코리가 4개 있습니다. 구어- 듣고 말하기; 문어- 읽기, 쓰기, 그리고 철자 산술- 계산과 개념; 이해- 생각의 조직화와 통합 개인은 1 카테고리이상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이 카테고리안에서 학습장애는 몇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서자착오증은 철자와 단어를 이해하고 읽을 수 있는 핸드라이팅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난산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수학개념과 기호를 이해하고 사용하는게 어렵습니다. 통합운동장애를 가지면 언어이해는 언어발화와 일치하지 않게 됩니다. 통합운동장애를 가진 사람은 단어와 문장을 마구 뒤섞여 서 화행하게 됩니다. 난독증을 가진 사람은 단어안에서 철자들이 뒤엉키고 문장내의 단어들도 독서하는 동안에 뒤엉킵니다. 이런 난독증장애인은 철자를 쓸 때도 저수준입니다. (크리스틴)학습장애가 각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학습유형에 대한 영향방식을 다릅니다. 예를 들어서, 저의 경우엔, 학습장애가 읽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데 수학은 잘합니다. 최소한 과거에는 그랬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은 수학이 어렵고 읽기이해는 단락의 용이함에 의존합니다. (크리스)잠을 자고 있다고 상상하시면 됩니다. 책을 읽는 동안에 잠을 자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눈이 페이지안에서 헤매고 같은 행을 읽는데 글자들이 마구 움직입니다. 그런 거랑 똑같습니다. 실제로는 완전히 깨어있는데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