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7,080 --> 00:00:10,586 지진은 항상 끔찍한 현상으로 지속되어 왔죠. 2 00:00:10,586 --> 00:00:14,051 그리고 도시가 커질수록 더욱 치명적이 되었고, 3 00:00:14,051 --> 00:00:17,720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것은 가장 큰 위험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4 00:00:17,720 --> 00:00:20,279 왜 지진이 나면 건물이 무너질까요? 5 00:00:20,279 --> 00:00:22,756 그리고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6 00:00:22,756 --> 00:00:25,734 여러분이 재난 영화를 많이 봤다면 생길 수 있는 아이디어는 7 00:00:25,734 --> 00:00:32,853 빌딩 붕괴가 빌딩 바로 아래의 땅의 격한 진동으로 갈라진다는 것입니다. 8 00:00:32,853 --> 00:00:35,298 하지만 사실 그렇게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9 00:00:35,298 --> 00:00:39,374 우선, 대부분의 빌딩은 단층선 바로 위에 있지 않습니다. 10 00:00:39,374 --> 00:00:43,966 그리고 움직이는 지질구조판은 건물의 토대보다 더 깊이 있습니다. 11 00:00:43,966 --> 00:00:46,316 그럼 실제로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12 00:00:46,316 --> 00:00:51,747 사실, 지진의 실체와 지진이 건물에 미치는 영향은 좀 복잡합니다. 13 00:00:51,747 --> 00:00:55,592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려고 건축가들과 엔지니어들은 모형을 이용했습니다. 14 00:00:55,592 --> 00:00:59,778 건물의 보와 기둥을 나타내는 2차원 선으로 이루어진 모형이나 15 00:00:59,778 --> 00:01:05,432 건물의 질량을 나타내는 원형구가 달린 사탕 모양의 선형 모형을 사용했습니다. 16 00:01:05,432 --> 00:01:09,280 이 모형들은 지진의 정도를 단순화해 나타낼 때 꽤 유용할 뿐만 아니라 17 00:01:09,280 --> 00:01:12,009 지진이 미치는 빌딩에 대한 영향을 18 00:01:12,009 --> 00:01:14,553 물리학에 기초해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19 00:01:14,553 --> 00:01:16,868 지진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하는 대부분의 건물 붕괴는 20 00:01:16,868 --> 00:01:20,332 사실상 지진 자체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21 00:01:20,332 --> 00:01:23,259 대신, 건물 아래에 땅이움직일 때 22 00:01:23,259 --> 00:01:29,014 건물의 토대와 저층부의 위치를 옮기면서 나머지 부분에 충격파를 보내서 23 00:01:29,014 --> 00:01:32,504 이 때문에 건물들이 왔다 갔다하며 흔들리게 되는 겁니다. 24 00:01:32,504 --> 00:01:36,136 이 진동의 강도는 두 가지 요인에 좌우 됩니다. 25 00:01:36,136 --> 00:01:40,426 건물 하단부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 건물의 질량과 '강성도입니다.' 26 00:01:40,426 --> 00:01:44,595 강성도는 특정 양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정도를 말합니다. 27 00:01:44,595 --> 00:01:48,155 건물이 만들어진 소재와 기둥의 모양과 더불어 28 00:01:48,155 --> 00:01:51,207 강성도는 주로 높이와 연관됩니다. 29 00:01:51,207 --> 00:01:54,105 낮은 건물은 대체로 더 견고하고 움직임이 없는 편이고 30 00:01:54,105 --> 00:01:57,347 그에 반해 높은 건물은 상대적으로 더 움직임이 많습니다. 31 00:01:57,347 --> 00:02:00,557 따라서, 해결책은 낮은 건물을 지어서 32 00:02:00,557 --> 00:02:02,843 가능한 한 조금 움직이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할 수 있죠. 33 00:02:02,843 --> 00:02:08,250 하지만 1985년에 멕시코에서 일어난 지진은 그 생각에대한 좋은 반례입니다. 34 00:02:08,250 --> 00:02:13,912 지진이 일어나는 동안 상당히 많은 6-15층 높이의 건물이 붕괴되었죠. 35 00:02:13,912 --> 00:02:17,999 이상한 점은 그 근처 낮은 건물들은 무너지지 않았다는 것이고, 36 00:02:17,999 --> 00:02:22,405 15층보다 더 높은 건물들도 비교적 적게 손상되었습니다. 37 00:02:22,405 --> 00:02:24,555 그리고 무너진 중간 크기의 빌딩들은 38 00:02:24,555 --> 00:02:28,730 지진이 일으키는 진동보다 더 격하게 흔들리는 것이 관측되었습니다. 39 00:02:28,730 --> 00:02:30,590 어떻게 이런게 가능할까요? 40 00:02:30,590 --> 00:02:34,322 정답은 '고유 진동수'라 알려진 것과 관계 있습니다. 41 00:02:34,322 --> 00:02:35,988 진동 시스템에서 42 00:02:35,988 --> 00:02:41,461 진동수란 앞뒤로 흔들리는 횟수가 1초에 몇 번인지를 나타냅니다. 43 00:02:41,461 --> 00:02:47,021 반대로 말하자면,한 번 흔들릴 때 몇 초가 걸리는지를 의미합니다. 44 00:02:47,021 --> 00:02:51,763 그리고 질량과 강성도에 의해 결정되는 건물의 고유 진동수는, 45 00:02:51,763 --> 00:02:55,330 건물의 진동이 응집되는 빈도를 의미합니다. 46 00:02:55,330 --> 00:03:00,067 건물 질량의 증가는 자연적으로 진동을 느리게 하는 반면, 47 00:03:00,067 --> 00:03:03,725 강성도의 증가는 진동을 빠르게 만듭니다. 48 00:03:03,725 --> 00:03:09,812 그래서, 이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에서 견고성과 고유진동수는 서로 비례합니다. 49 00:03:09,812 --> 00:03:14,184 반면 질량과 고유진동수는 반비례하지요. 50 00:03:14,184 --> 00:03:17,658 멕시코 시티에서 일어난 현상을 '공진(共振)'이라고 부르는데요, 51 00:03:17,658 --> 00:03:24,768 그 지진의 지진파의 진동수가 중간 크기 빌딩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했던 거죠. 52 00:03:24,768 --> 00:03:27,466 박자가 잘 맞춰진 그네가 흔들리듯이 53 00:03:27,466 --> 00:03:36,226 매회 더해지는 진동이 건물의 흔들림을 그 방향으로 더 크게 흔들게 되는거죠. 54 00:03:36,226 --> 00:03:40,643 결국 처음 위치보다 훨씬 더 멀리 이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55 00:03:40,643 --> 00:03:44,685 오늘날, 엔지니어들은 지질학자, 지진학자들과 함께 56 00:03:44,685 --> 00:03:48,702 건설현장에서 지진운동의 진동수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하는데요, 57 00:03:48,702 --> 00:03:51,626 이는 공진으로 인한 붕괴를 막기 위함입니다. 58 00:03:51,626 --> 00:03:54,947 흙의 종류와 단층 유형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고, 59 00:03:54,947 --> 00:03:57,837 이전의 지진 데이타도 살펴봅니다. 60 00:03:57,837 --> 00:04:02,915 빈도가 낮은 진동은, 높고 유연한 건물에 더 큰 피해를 입히는 반면, 61 00:04:02,915 --> 00:04:08,469 빈도가 높은 진동은, 작고 견고한 건물에 더 위협적입니다. 62 00:04:08,469 --> 00:04:11,596 엔지니어들은 또한 충격을 흡수하고 63 00:04:11,596 --> 00:04:14,763 변형을 최소화할 방법을 혁신적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구하죠. 64 00:04:14,763 --> 00:04:18,206 [기초면진]은 유연한 층을 이용하여 65 00:04:18,206 --> 00:04:21,275 건물의 기초가 다른부분으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격리시킵니다. 66 00:04:21,275 --> 00:04:25,486 반면, [동주질량시스템]은 공진을 상쇄시키는데, 67 00:04:25,486 --> 00:04:30,056 흔들림이 고유 진동수와 맞지 않게 하여 떨림을 줄이는 겁니다. 68 00:04:30,056 --> 00:04:33,836 결국, 견고한 건물이라고 무너지지 않는게 아니고, 69 00:04:33,836 --> 00:04:36,756 스마트하게 지어진 건물이 무너지지 않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