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725 --> 00:00:04,642 오늘 저는 교통 정체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2 00:00:04,642 --> 00:00:05,996 여기에 섰습니다. 3 00:00:05,996 --> 00:00:08,257 교통 정체는 광범위한 현상입니다. 4 00:00:08,257 --> 00:00:11,117 전 세계의 모든 도시에 존재합니다. 5 00:00:11,117 --> 00:00:13,065 생각해 보면, 약간 놀라운 일이죠. 6 00:00:13,065 --> 00:00:16,028 도시들이 실제로 얼마나 다른지 생각해 보세요. 7 00:00:16,028 --> 00:00:17,790 전형적인 유럽의 도시들은 8 00:00:17,790 --> 00:00:20,782 밀집된 도시 중심부에 편리한 대중교통 체계를 갖고 있지만 9 00:00:20,782 --> 00:00:23,237 대부분 도로 확보율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10 00:00:23,237 --> 00:00:25,686 하지만 그 반대인 미국의 도시들도 있죠. 11 00:00:25,686 --> 00:00:28,477 (이것이 혼자 움직이네요.) 12 00:00:28,477 --> 00:00:31,483 하여튼, 미국 도시들은 13 00:00:31,483 --> 00:00:34,411 넓은 지역에 많은 도로망이 분산되어 있으며, 14 00:00:34,411 --> 00:00:35,870 대중교통 수단이 거의 없죠. 15 00:00:35,870 --> 00:00:38,080 그리고 이제 막 떠오르는 세계의 도시들이 있습니다. 16 00:00:38,080 --> 00:00:39,606 이 도시들에는 다양한 교통 수단이 혼합되어 있고, 17 00:00:39,606 --> 00:00:42,148 혼합 토지 이용 형태를 갖고 분산되어 있기도 하지만 18 00:00:42,148 --> 00:00:44,747 종종 도시 중심부는 매우 밀집되어 있습니다. 19 00:00:44,747 --> 00:00:47,149 전 세계의 교통계획가들은 여러가지 시도를 해 왔죠: 20 00:00:47,149 --> 00:00:50,803 서로 다른 수많은 척도를 사용했습니다: 과밀하거나 분산된 도시, 21 00:00:50,803 --> 00:00:53,354 많은 도로, 혹은 많은 대중교통수단, 혹은 자전거 전용도로, 22 00:00:53,354 --> 00:00:56,140 보다 많은 정보, 그 외에도 다른 많은 것을을 23 00:00:56,140 --> 00:00:59,934 시도했지만 아무것도 효과가 없었죠. 24 00:00:59,934 --> 00:01:02,937 그런데 이런 모든 시도에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25 00:01:02,937 --> 00:01:05,288 기본적으로 러시아워에 운전을 하는 대신에 26 00:01:05,288 --> 00:01:08,615 사람들이 해야할 방안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27 00:01:08,615 --> 00:01:11,727 요점은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할지 28 00:01:11,727 --> 00:01:14,929 계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을 위해서 그들의 생활을 계획해주는 것이죠. 29 00:01:14,929 --> 00:01:17,381 이제, 복잡한 사회 시스템을 계획하는 것은 30 00:01:17,381 --> 00:01:20,456 하기 어려운 일이 되었습니다. 한 예를 들려 드리죠. 31 00:01:20,456 --> 00:01:23,183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을 때, 32 00:01:23,183 --> 00:01:25,805 런던의 한 도시 계획가는 모스크바에 있는 33 00:01:25,805 --> 00:01:28,355 동료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34 00:01:28,355 --> 00:01:30,873 "나 블라디미르인데, 런던의 빵공급은 35 00:01:30,873 --> 00:01:33,895 누가 책임지고 있는지 좀 알려줄래?" 36 00:01:33,895 --> 00:01:35,548 이야기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37 00:01:35,548 --> 00:01:37,518 "무슨 소리야 누가 그런걸 책임지냐니, 38 00:01:37,518 --> 00:01:38,789 그런 것은 없어." 39 00:01:38,789 --> 00:01:40,671 "하지만 누군가 책임자가 있어야 되잖아. 40 00:01:40,671 --> 00:01:44,327 그게 얼마나 복잡한 시스템인데 책임자가 어떻게 없겠어?" 41 00:01:44,327 --> 00:01:47,433 "아니, 아니, 정말 그런 사람 없어. 42 00:01:47,433 --> 00:01:50,034 내 말은 그런건 생각해본 적도 없다는 뜻이야. 43 00:01:50,034 --> 00:01:52,623 그냥 자동으로 조직되는 거지.:" 44 00:01:52,623 --> 00:01:55,200 저절로 조직되는 것입니다. 45 00:01:55,200 --> 00:01:58,043 이것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능력을 지닌 46 00:01:58,043 --> 00:02:00,771 복잡한 사회 시스템의 한 예인 것입니다. 47 00:02:00,771 --> 00:02:03,359 이것은 아주 깊이있는 통찰입니다. 48 00:02:03,359 --> 00:02:06,672 아주 복잡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49 00:02:06,672 --> 00:02:08,388 해야 하는 것은 거의 대부분 50 00:02:08,388 --> 00:02:09,979 동기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51 00:02:09,979 --> 00:02:11,923 자세한 것까지 계획하지 않아도, 52 00:02:11,923 --> 00:02:14,543 사람들은 무엇을 해야할지, 53 00:02:14,543 --> 00:02:16,403 새로운 틀에 어떻게 적응해야 할지 알아냅니다. 54 00:02:16,403 --> 00:02:19,894 교통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 이런 생각을 어떻게 55 00:02:19,894 --> 00:02:21,530 이용할 수 있는지 보시죠. 56 00:02:21,530 --> 00:02:23,762 이것은 제 고향인 스톡홀름의 지도입니다. 57 00:02:23,762 --> 00:02:27,403 스톡홀름은 약 인구 2백만의 중간크기 도시입니다. 58 00:02:27,403 --> 00:02:30,192 하지만 스톡홀름에는 강이 많습니다. 59 00:02:30,192 --> 00:02:33,469 이것은 좁고 오래된 다리가 많다는 의미죠. 60 00:02:33,469 --> 00:02:36,504 즉, 교통체증이 심하다는 의미인 것입니다. 61 00:02:36,504 --> 00:02:40,144 이 빨간 점들이 가장 혼잡한 부분인데, 62 00:02:40,144 --> 00:02:42,721 도시 중심부로 들어가는 다리들 입니다. 63 00:02:42,721 --> 00:02:45,247 그런데, 대중교통 수단을 늘리거나 64 00:02:45,247 --> 00:02:47,084 도로를 건설하는데 돈을 쏟아 붓지 말고 65 00:02:47,084 --> 00:02:49,685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곳을 지나는 차에 66 00:02:49,685 --> 00:02:53,900 1~2 유로의 사용료를 징수하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67 00:02:53,900 --> 00:02:56,824 1~2 유로는 그리 큰 액수가 아닙니다. 68 00:02:56,824 --> 00:02:59,481 주차료, 기름값 등과 비교해서 말압니다. 69 00:02:59,481 --> 00:03:02,199 즉, 사람들은 운전자가 그런 적은 액수에 반응할 것이라고 70 00:03:02,199 --> 00:03:04,637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71 00:03:04,637 --> 00:03:05,937 그런데 틀렸습니다. 72 00:03:05,937 --> 00:03:09,965 러시아워때 20%의 차를 줄이는데 1~2 유로로도 73 00:03:09,965 --> 00:03:12,349 충분했던 것입니다. 74 00:03:12,349 --> 00:03:15,900 20%면 상당히 큰 수치라고 생각하실 겁니다. 75 00:03:15,900 --> 00:03:18,107 하지만 나머지 80%가 문제로 남아 있지 않습니까? 76 00:03:18,107 --> 00:03:19,976 그래도 80%의 교통량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77 00:03:19,976 --> 00:03:23,243 하지만 이것도 틀렸습니다. 왜냐하면, 교통은 78 00:03:23,243 --> 00:03:25,935 비선형적 현상이기 때문인 것이죠. 즉, 79 00:03:25,935 --> 00:03:29,076 일단 어떤 한계 수용점을 넘어서면, 80 00:03:29,076 --> 00:03:32,244 혼잡은 정말로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81 00:03:32,244 --> 00:03:34,704 그렇지만 다행히도, 그 반대로 작용하기도 하죠. 82 00:03:34,704 --> 00:03:38,035 만약 교통량을 다소라도 줄일 수 있다면, 83 00:03:38,035 --> 00:03:41,664 혼잡은 생각 이상으로 빠르게 줄어듭니다. 84 00:03:41,664 --> 00:03:44,555 2006년 1월 3일 혼잡세가 도입되었습니다. 85 00:03:44,555 --> 00:03:49,159 이것은 혼잡세가 부과되기 하루 전인 1월 2일 86 00:03:49,159 --> 00:03:53,142 스톡홀름의 전형적인 도로 사진 입니다. 87 00:03:53,142 --> 00:03:56,955 혼잡세 부과 첫날의 사진은 바로 이런 모습이었습니다. 88 00:03:56,955 --> 00:03:59,875 이것이 도로에서 20%의 차량이 89 00:03:59,875 --> 00:04:01,940 빠져나간 결과인 것이죠. 90 00:04:01,940 --> 00:04:04,650 이렇게 교통 혼잡을 드라마틱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91 00:04:04,650 --> 00:04:08,308 앞서 말했듯, 운전자들이 적응한 것입니다. 92 00:04:08,308 --> 00:04:10,810 오래지 않아 그들이 혼잡세에 익숙해지면, 93 00:04:10,810 --> 00:04:12,758 다시 도로로 나올 것이라고 생각할 수 도 있죠. 94 00:04:12,758 --> 00:04:16,434 그것도 틀렸습니다. 이것은 6년 반전의 일이었으며, 95 00:04:16,434 --> 00:04:18,417 스톡홀름은 이 혼잡 통행료가 부과된 이래로 96 00:04:18,417 --> 00:04:22,406 기본적으로 똑같이 낮은 교통 혼잡을 유지해 왔습니다. 97 00:04:22,406 --> 00:04:24,677 보시다시피, 2007년을 보면, 재미있는 차이를 볼 수 98 00:04:24,677 --> 00:04:26,140 있습니다. 99 00:04:26,140 --> 00:04:28,529 이 혼잡 통행료가 처음에는 100 00:04:28,529 --> 00:04:31,625 시범적으로 도입된 것이어서, 1월에 시작했다가 101 00:04:31,625 --> 00:04:35,594 시민 투표 결과에 따라 7월 말에 다시 폐지되었습니다. 102 00:04:35,594 --> 00:04:38,188 그러다가 2007년에 다시 도입되었습니다. 103 00:04:38,188 --> 00:04:42,388 이것은 물론 놀라운 과학적 실험의 기회가 되었답니다. 104 00:04:42,388 --> 00:04:46,525 시작부터 정말 재미있는 실험이었죠. 105 00:04:46,525 --> 00:04:48,306 실제로 두번 실험할 수 있었죠. 106 00:04:48,306 --> 00:04:50,415 개인적으로, 저는 1년에 한번씩 정도 했으면 좋겠습니다. 107 00:04:50,415 --> 00:04:51,903 하지만 그렇게는 못하게 하겠죠. 108 00:04:51,903 --> 00:04:54,088 하여튼 참 재미 있었습니다. 109 00:04:54,088 --> 00:04:57,473 하여튼, 우리는 추적을 했고, 그때 어떤 일이 일어 났었는지 볼까요? 110 00:04:57,473 --> 00:05:01,339 이 사진은 7월 31일 혼잡통행료 부과 111 00:05:01,339 --> 00:05:03,117 마지막날 입니다. 앞서 보았던 것과 똑같은 도로지만 그때는 여름이에요. 112 00:05:03,117 --> 00:05:04,861 스톡홀름의 한 여름은 날씨가 좋아서 113 00:05:04,861 --> 00:05:07,111 1년중 아주 좋은 때이죠. 114 00:05:07,111 --> 00:05:09,954 그리고 혼잡 통행료 폐지 첫날의 사진은 115 00:05:09,954 --> 00:05:11,321 이렇습니다. 116 00:05:11,321 --> 00:05:13,984 모든 차들이 다시 돌아왔죠. 운전자들을 칭찬해야 할 정도였어요. 117 00:05:13,984 --> 00:05:16,894 그들의 적응은 정말 빨랐습니다. 118 00:05:16,894 --> 00:05:19,141 바로 첫 날 모두 돌아온 것입니다. 119 00:05:19,141 --> 00:05:24,491 이런 효과는 계속되었죠. 2007년 수치는 이렇습니다. 120 00:05:24,491 --> 00:05:26,822 이런 교통 수치는 정말 흥미진진하고 121 00:05:26,822 --> 00:05:29,473 좀 놀랍기 까지 합니다. 그리고 아주 유용합니다. 122 00:05:29,473 --> 00:05:32,232 여기 가장 놀라운 것이 있는데요, 제가 오늘 보여드릴 것은 123 00:05:32,232 --> 00:05:36,262 그 수치가 아니라 바로 이것입니다. 124 00:05:36,262 --> 00:05:39,593 이 그래프는 혼잡통행료에 대한 지지도인데요, 125 00:05:39,593 --> 00:05:42,262 2006년 봄 혼잡통행료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126 00:05:42,262 --> 00:05:46,579 사람들은 격렬하게 반대했습니다. 127 00:05:46,579 --> 00:05:49,607 인구의 70%가 반대를 했었죠. 128 00:05:49,607 --> 00:05:51,255 통행료가 부과되어 있을 때, 사람들은 점점 더 129 00:05:51,255 --> 00:05:54,716 싫어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130 00:05:54,716 --> 00:05:57,869 아니었습니다. 그 반대로 70%의 사람들이 131 00:05:57,869 --> 00:06:01,570 혼잡세 유지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70%정도까지 이르렀습니다. 132 00:06:01,570 --> 00:06:03,411 다시 말하자면, 이것은 133 00:06:03,411 --> 00:06:06,218 스톡홀름 인구의 70%가 이전에 무료였던 것에 134 00:06:06,218 --> 00:06:10,211 사용료를 내고 싶어한다는 의미입니다. 135 00:06:10,211 --> 00:06:13,837 어떻게, 왜 이런 걸까요? 136 00:06:13,837 --> 00:06:16,837 이런 식으로 생각해보죠. 누가 변했나요? 137 00:06:16,837 --> 00:06:19,463 도로에서 사라진 그 20%의 운전자들은 138 00:06:19,463 --> 00:06:21,408 어떤 면에서 분명히 불만을 가질 것입니다. 139 00:06:21,408 --> 00:06:23,742 그러면 그들은 어디로 갔죠? 우리가 이걸 이해한다면, 140 00:06:23,742 --> 00:06:27,872 어떻게 사람들이 혼잡세에 만족할 수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141 00:06:27,872 --> 00:06:30,274 그래서 많은 운송업체의 도움을 받아 142 00:06:30,274 --> 00:06:32,109 누가 변했는지 그 20%는 어떻게 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143 00:06:32,109 --> 00:06:33,864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144 00:06:33,864 --> 00:06:38,278 결과는 그들 자신도 모르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웃음) 145 00:06:38,278 --> 00:06:43,126 어떤 이유에선지 운전자들은 그냥 -- 146 00:06:43,126 --> 00:06:46,622 예전과 같은 방식으로 운전한다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147 00:06:46,622 --> 00:06:48,878 왜일까요? 그것은 교통 패턴이 생각보다 148 00:06:48,878 --> 00:06:51,277 훨씬 덜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149 00:06:51,277 --> 00:06:54,108 매일 사람들은 새로운 결정을 하고 변합니다. 150 00:06:54,108 --> 00:06:56,533 그들 주변의 세상도 변합니다, 그리고 매일 151 00:06:56,533 --> 00:06:59,786 모든 이런 결정들이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에 152 00:06:59,786 --> 00:07:01,753 러시아워일때 운전하는 습관으로 부터 153 00:07:01,753 --> 00:07:04,337 조금씩 멀어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154 00:07:04,337 --> 00:07:06,382 자신들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155 00:07:06,382 --> 00:07:09,183 또 다른 질문은, 누가 사람들의 마음을 바꾸는가 입니다. 156 00:07:09,183 --> 00:07:11,149 누가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일까요? 왜 그럴까요? 157 00:07:11,149 --> 00:07:13,675 그래서 저희는 사람들이 왜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지, 158 00:07:13,675 --> 00:07:18,051 어떤 부류의 사람들이 마음을 바꾸는지 알아 보려고 다시 설문조사를 했습니다. 159 00:07:18,051 --> 00:07:20,944 이 조사에서, 반 이상의 사람들이 160 00:07:20,944 --> 00:07:24,829 자신이 마음을 바꾼적이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161 00:07:24,829 --> 00:07:27,116 그들은 처음부터 쭉 통행료 부과에 162 00:07:27,116 --> 00:07:29,805 호의적이었다고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163 00:07:29,805 --> 00:07:31,524 이것은 이런 통행료 징수없이 20%까지 교통량을 164 00:07:31,524 --> 00:07:34,517 줄일 수 있는 위치에 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65 00:07:34,517 --> 00:07:37,728 그렇게 크게 혼잡을 줄였음에도 사람들은 166 00:07:37,728 --> 00:07:41,275 자신들이 변한 것 조차도 모르고 있습니다. 167 00:07:41,275 --> 00:07:45,186 그리고 이것을 계속해서 지지해 왔다고 믿고 있습니다. 168 00:07:45,186 --> 00:07:48,660 이것이 바로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의 169 00:07:48,660 --> 00:07:51,292 넛지 효과인 것입니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려 할 때, 170 00:07:51,292 --> 00:07:54,922 어떻게 적응하라고 일러줄 필요가 없습니다. 171 00:07:54,922 --> 00:07:57,109 그냥 옳은 방향으로 살짝 그들을 밀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172 00:07:57,109 --> 00:07:58,831 옳게만 하면, 173 00:07:58,831 --> 00:08:00,883 사람들은 실제로 변화를 받아들일 것입니다. 174 00:08:00,883 --> 00:08:03,945 옳은 계획을 제시한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지지할 것입니다. 175 00:08:03,945 --> 00:08:07,270 감사합니다.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