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280 --> 00:00:07,086 제 연구실은 여기 날아다니는 것처럼 자동 비행 로봇을 만듭니다. 2 00:00:08,720 --> 00:00:12,416 오늘날 구매할 수 있는 상업용 드론과는 달리 3 00:00:12,440 --> 00:00:15,080 이 로봇은 GPS를 탑재하고 있지 않습니다. 4 00:00:16,160 --> 00:00:17,376 GPS없이는 5 00:00:17,400 --> 00:00:20,680 이런 로봇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기 힘듭니다. 6 00:00:22,240 --> 00:00:26,930 이 로봇은 자체 센서와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를 가지고 7 00:00:26,930 --> 00:00:28,670 주변 환경을 탐색합니다. 8 00:00:28,670 --> 00:00:31,760 환경의 특이사항들을 탐지하고 9 00:00:31,760 --> 00:00:34,510 그 사항들이 관련있는 곳에서 10 00:00:34,510 --> 00:00:36,696 삼각측량법을 이용해서 결정합니다. 11 00:00:36,700 --> 00:00:40,160 그러고 나서 이 특징들을 뒤에 보시는 것 같은 12 00:00:40,160 --> 00:00:41,936 지도로 조합할 수 있습니다. 13 00:00:41,940 --> 00:00:45,860 이 지도는 로봇이 장애물의 위치를 알아서 14 00:00:45,860 --> 00:00:48,640 충돌없이 날아다닐 수 있게 합니다. 15 00:00:49,160 --> 00:00:51,220 다음에 보여 드리고 싶은 것은 16 00:00:51,220 --> 00:00:54,470 연구실에서 진행했던 몇 가지 실험인데 17 00:00:54,470 --> 00:00:58,000 이 로봇이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는 겁니다. 18 00:00:58,400 --> 00:01:03,390 보시면 오른쪽 맨 위에 로봇이 카메라로 보는 것입니다. 19 00:01:03,390 --> 00:01:07,156 주 화면에는 이건 4배속으로 돌린 겁니다. 20 00:01:07,160 --> 00:01:09,811 주 화면에 지도를 만드는 것이 보입니다. 21 00:01:09,811 --> 00:01:14,090 이것은 저희 연구실 복도의 고화질 지도입니다. 22 00:01:14,090 --> 00:01:16,470 이것이 곧 연구실로 들어오는게 보일 겁니다. 23 00:01:16,470 --> 00:01:19,330 어지럽게 널린 물건들을 보고 알 수 있으시죠. 24 00:01:19,330 --> 00:01:20,410 (웃음) 25 00:01:20,410 --> 00:01:22,392 여러분께 알려드릴 중요한 점은 26 00:01:22,392 --> 00:01:28,570 이 로봇들이 5cm 해상도의 고화질 지도를 만들어서 27 00:01:28,570 --> 00:01:32,770 연구실이나 건물 밖에 있는 사람이 28 00:01:32,770 --> 00:01:35,980 안에 들어가지도 않고 로봇을 보내고 29 00:01:35,980 --> 00:01:39,800 건물 안에서 벌어지는 일을 알아내게 해 줍니다. 30 00:01:40,400 --> 00:01:42,640 이런 로봇에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31 00:01:43,600 --> 00:01:45,800 첫 번째 문제는 이것이 매우 큽니다. 32 00:01:46,120 --> 00:01:47,800 크다보니 무겁습니다. 33 00:01:48,640 --> 00:01:51,680 이 로봇들은 1파운드 당 100와트를 소모합니다. 34 00:01:52,360 --> 00:01:54,640 그래서 임무수행 시간이 매우 짧습니다. 35 00:01:56,000 --> 00:01:57,450 두 번째 문제는 36 00:01:57,450 --> 00:02:01,350 이 로봇들이 매우 비싼 데 37 00:02:01,350 --> 00:02:04,840 내장 센서, 레이저 스캐너, 카메라와 처리장치가 있습니다. 38 00:02:05,280 --> 00:02:08,320 그것 때문에 이 로봇가격이 치솟습니다. 39 00:02:09,440 --> 00:02:12,070 그래서 이런 질문을 해 봤습니다. 40 00:02:12,070 --> 00:02:15,880 전자제품 매장의 어떤 소비재가 41 00:02:15,880 --> 00:02:22,200 저렴하고, 가벼우며 내장 센서와 처리장치가 있을까요? 42 00:02:24,080 --> 00:02:26,720 그래서 저희가 날아다니는 전화를 발명했습니다. 43 00:02:26,720 --> 00:02:28,680 (웃음) 44 00:02:28,680 --> 00:02:34,870 이 로봇은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썼고 45 00:02:34,870 --> 00:02:38,910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 하기만 하면 됩니다. 46 00:02:38,910 --> 00:02:43,150 로봇이 글자도 인식합니다. 여기서는 "TED"를 읽죠. 47 00:02:43,150 --> 00:02:46,100 T와 E의 가장자리를 보며 48 00:02:46,100 --> 00:02:49,640 자동비행을 하며 삼각측량을 합니다. 49 00:02:50,720 --> 00:02:53,950 조이스틱이 로봇이 마구 움직이지 않게 조정합니다. 50 00:02:53,950 --> 00:02:55,410 쥬세페가 로봇을 끌 수 있죠. 51 00:02:55,410 --> 00:02:57,080 (웃음) 52 00:02:58,920 --> 00:03:02,736 이러한 작은 로봇을 제작함과 더불어 53 00:03:02,740 --> 00:03:07,560 여기서 보시는 이런 역동적인 행동도 실험합니다. 54 00:03:07,920 --> 00:03:13,200 이 로봇은 초당 2-3m로 움직이며 55 00:03:13,200 --> 00:03:16,710 방향을 바꿀 때 공격적으로 올라가거나 돕니다. 56 00:03:16,710 --> 00:03:21,000 요점은 더 빨리 갈 수 있고 비구조화된 환경에서 움직일 수 있는 57 00:03:21,000 --> 00:03:24,000 더 작은 로봇을 가질 수 있다는 겁니다. 58 00:03:25,120 --> 00:03:27,176 다음 영상에서는 59 00:03:27,180 --> 00:03:33,090 새나 독수리가 우아하게 날개와 60 00:03:33,090 --> 00:03:37,400 눈, 다리를 조정해서 물 밖으로 먹이를 잡아 채는 걸 보시듯이 61 00:03:37,400 --> 00:03:39,300 우리 로봇도 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62 00:03:39,300 --> 00:03:40,830 (웃음) 63 00:03:40,830 --> 00:03:44,910 이 경우에는 갑자기 필리 치즈스테이크를 낚아 챕니다. 64 00:03:44,910 --> 00:03:47,360 (웃음) 65 00:03:47,680 --> 00:03:50,960 이 로봇이 초당 3m로 움직이는 걸 보시는데 66 00:03:50,960 --> 00:03:56,110 걷는 속도보다 빠르며 팔, 발톱과 비행을 67 00:03:56,110 --> 00:04:00,280 눈 깜짝할 사이에 조정해서 이렇게 하는 겁니다. 68 00:04:02,120 --> 00:04:03,320 다른 실험에서는 69 00:04:03,320 --> 00:04:07,000 로봇이 비행을 어떻게 조절하여 70 00:04:07,000 --> 00:04:09,410 부유 하중을 통제하는 지 보여드리겠습니다. 71 00:04:09,410 --> 00:04:13,240 창 넓이보다 실제로 더 큰 길이입니다. 72 00:04:13,680 --> 00:04:15,330 이렇게 하기 위해서 73 00:04:15,330 --> 00:04:19,060 고도를 높이고 조절하여 74 00:04:19,060 --> 00:04:21,440 적재 하중을 흔들어 통과합니다. 75 00:04:26,920 --> 00:04:29,180 물론 이것을 더욱 작게 하고 싶어서 76 00:04:29,180 --> 00:04:32,240 특히 꿀벌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77 00:04:32,240 --> 00:04:35,510 이것은 느린 영상인데, 꿀벌을 보시면 78 00:04:35,510 --> 00:04:39,280 아주 작은데 관성이 매우 가벼워서 79 00:04:39,960 --> 00:04:41,110 (웃음) 80 00:04:41,110 --> 00:04:44,640 가령 제 손에 튕겨도 신경도 안 씁니다. 81 00:04:44,640 --> 00:04:47,880 이것은 꿀벌의 행동을 흉내내는 소형 로봇입니다. 82 00:04:48,600 --> 00:04:49,760 작을수록 더 좋은 것이 83 00:04:49,760 --> 00:04:53,340 이렇게 소규모로 하면 관성이 더 낮아집니다. 84 00:04:53,340 --> 00:04:54,920 관성이 낮아지면 -- 85 00:04:54,920 --> 00:04:57,800 (윙윙거리는 로봇) (웃음) 86 00:04:57,800 --> 00:05:00,650 관성이 낮아지면, 충돌에 저항력이 있습니다. 87 00:05:00,650 --> 00:05:02,400 그것이 더욱 튼튼하게 해 줍니다. 88 00:05:03,800 --> 00:05:06,420 저희는 꿀벌같은 소형 로봇을 만듭니다. 89 00:05:06,420 --> 00:05:09,840 특히 이것은 25g밖에 안 됩니다. 90 00:05:09,840 --> 00:05:12,040 전력도 6와트만 소모하지요. 91 00:05:12,440 --> 00:05:14,960 초당 6m까지 움직일 수 있습니다. 92 00:05:14,960 --> 00:05:17,320 제가 이것을 이 크기에 표준화시키면 93 00:05:17,320 --> 00:05:21,000 보잉787이 음속의 10배로 나는 것과 같습니다. 94 00:05:24,000 --> 00:05:26,070 (웃음) 95 00:05:26,070 --> 00:05:28,040 제가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96 00:05:28,840 --> 00:05:34,080 이것이 최초의 계획된 공중 충돌일텐데요, 1/20 표준속입니다. 97 00:05:34,080 --> 00:05:36,942 초당 2m의 상대속으로 갑니다. 98 00:05:36,942 --> 00:05:39,482 이것이 기본 원리를 잘 설명해 줍니다. 99 00:05:40,200 --> 00:05:45,170 2g짜리 탄소섬유로 두르면 프로펠러가 엉키는 걸 방지하지만 100 00:05:45,170 --> 00:05:50,460 기본적으로 충돌이 흡수되고 로봇이 충돌에 반응합니다. 101 00:05:50,460 --> 00:05:53,080 매우 작다는 건 또한 안전하다는 뜻입니다. 102 00:05:53,400 --> 00:05:55,410 제 연구실에서 이 로봇을 개발했을 때 103 00:05:55,410 --> 00:05:57,044 이런 대형 로봇도 시작했고 104 00:05:57,044 --> 00:05:59,880 지금은 이런 소형 로봇에 매진합니다. 105 00:05:59,880 --> 00:06:03,360 저희가 과거에 주문한 반창고 수를 그래프로 그리면 106 00:06:03,360 --> 00:06:05,950 지금은 그래프가 차차 감소했을 겁니다. 107 00:06:05,950 --> 00:06:07,960 이 로봇이 매우 안전하기 때문입니다. 108 00:06:08,760 --> 00:06:11,216 소형 크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109 00:06:11,220 --> 00:06:15,320 자연은 이런 단점들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보상할 방법을 찾았죠. 110 00:06:15,960 --> 00:06:19,960 기본적인 원리는 큰 집단, 또는 떼를 짓는 겁니다. 111 00:06:20,320 --> 00:06:24,270 연구실에서 비슷하게 인공적인 로봇 떼를 만들어 봤습니다. 112 00:06:24,270 --> 00:06:25,665 이건 매우 힘들었는데 113 00:06:25,665 --> 00:06:29,045 로봇의 연결망을 생각해야 했기 때문입니다. 114 00:06:29,360 --> 00:06:30,640 각각의 로봇 안에서 115 00:06:30,640 --> 00:06:36,260 감지, 의사소통, 신호처리의 상호작용을 생각해야 하는데 116 00:06:36,260 --> 00:06:41,280 이 연결망은 통제 관리가 매우 어렵게 됩니다. 117 00:06:42,160 --> 00:06:48,460 그래서 자연에서 필수적으로 알고리즘을 짜게 한 세 가지 조직 원리를 뽑았습니다. 118 00:06:49,640 --> 00:06:54,160 첫 번째 원리는 로봇이 근접한 로봇을 인지해야 하는 겁니다. 119 00:06:54,160 --> 00:06:57,640 다른 로봇들을 인식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합니다. 120 00:06:58,040 --> 00:07:00,670 이 영상은 그 기본 원리를 보여줍니다. 121 00:07:00,670 --> 00:07:01,990 로봇이 네 대가 있습니다. 122 00:07:01,990 --> 00:07:06,280 한 로봇이 인간 조종사에게 그야 말로 납치되었습니다. 123 00:07:07,217 --> 00:07:09,456 그러나 로봇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124 00:07:09,460 --> 00:07:12,430 다른 로봇을 감지하고 기본적으로 따라갑니다. 125 00:07:12,430 --> 00:07:17,840 여기 한 명이 이 추종로봇의 연결망을 주도합니다. 126 00:07:20,000 --> 00:07:25,050 다시 말하면 모든 로봇이 어디로 갈지 알기 때문이 아니라 127 00:07:25,050 --> 00:07:29,400 근접 로봇들의 위치에 그저 반응하기 때문인 겁니다. 128 00:07:31,720 --> 00:07:35,840 (웃음) 129 00:07:36,280 --> 00:07:41,520 다음 실험은 두 번째 조직 원리를 보여줍니다. 130 00:07:42,920 --> 00:07:46,720 이 원리는 익명의 원리와 관계가 있습니다. 131 00:07:47,400 --> 00:07:51,660 중심 생각은 132 00:07:51,660 --> 00:07:55,960 로봇들이 다른 로봇의 정체를 모른다는 것이죠. 133 00:07:56,440 --> 00:07:59,030 이들이 원형을 만들도록 명령 받으면 134 00:07:59,030 --> 00:08:02,350 이 과정에 몇 개의 로봇을 투입하거나 135 00:08:02,350 --> 00:08:04,950 몇 개를 빼든지 136 00:08:04,950 --> 00:08:08,110 각 로봇은 단지 다른 로봇에 반응합니다. 137 00:08:08,110 --> 00:08:13,130 원형을 만들어야 하는 사실을 인지하지만 138 00:08:13,130 --> 00:08:14,930 다른 로봇과 협력하여 139 00:08:14,930 --> 00:08:18,680 중앙 통제가 없이 모양을 형성합니다. 140 00:08:19,520 --> 00:08:21,890 이 생각들을 한데 모으면 141 00:08:21,890 --> 00:08:25,830 세 번째 생각이 기본적으로 저희는 이 로봇들에게 142 00:08:25,830 --> 00:08:30,140 실행해야 할 모양의 수학적 설명을 주는 겁니다. 143 00:08:30,140 --> 00:08:33,670 이런 모양은 시간의 함수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144 00:08:33,670 --> 00:08:38,190 이 로봇들이 원형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고 145 00:08:38,190 --> 00:08:41,470 직사각형 모양으로 바뀌고 직선으로 쭉 뻗어 146 00:08:41,470 --> 00:08:42,879 타원형으로 다시 돌아가는 게 보이실 겁니다. 147 00:08:42,879 --> 00:08:46,530 로봇들이 순간적인 조정으로 하는 것인데 148 00:08:46,530 --> 00:08:49,840 자연에서 보는 벌떼와 같은 것이죠. 149 00:08:51,080 --> 00:08:53,190 왜 떼로 작업하느냐고요? 150 00:08:53,190 --> 00:08:57,360 저희가 매우 흥미를 갖고 있는 두 가지 응용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51 00:08:58,160 --> 00:09:00,530 첫 번째는 농업과 관련되어 있는데 152 00:09:00,530 --> 00:09:03,920 전 세계적으로 우리가 당면한 최대의 문제일 겁니다. 153 00:09:04,760 --> 00:09:06,000 여러분이 잘 아시듯이 154 00:09:06,000 --> 00:09:09,560 지구상에 7명 중 한 명이 영양실조입니다. 155 00:09:09,920 --> 00:09:13,400 경작할 수 있는 땅은 다 농사짓고 있습니다. 156 00:09:13,960 --> 00:09:17,140 세계의 대부분 시스템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지만 157 00:09:17,140 --> 00:09:20,720 생산 시스템의 효율성은 실제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158 00:09:21,080 --> 00:09:25,270 대부분 물 부족, 작물 병, 기후 변화와 159 00:09:25,270 --> 00:09:26,840 다른 몇 가지들 때문입니다. 160 00:09:27,360 --> 00:09:28,840 로봇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161 00:09:29,200 --> 00:09:33,790 농업계에는 정밀 농법이라고 하는 방법을 채택합니다. 162 00:09:33,790 --> 00:09:39,180 기본 원리는 과수원에 로봇을 비행시켜서 163 00:09:39,180 --> 00:09:42,360 각 작물의 정밀한 모형을 구축하는 겁니다. 164 00:09:42,829 --> 00:09:44,460 마치 개인별 맞춤 의학처럼 165 00:09:44,460 --> 00:09:49,320 개별 환자들을 모두 다르게 치료하는 것을 상상하시는 것 처럼 166 00:09:49,320 --> 00:09:53,040 저희가 하고 싶은 것이 개별 작물의 모형을 만들어서 167 00:09:53,040 --> 00:09:57,190 농부에게 각 작물이 필요한 사항을 알려주는 겁니다. 168 00:09:57,190 --> 00:10:01,680 이 경우에는 물, 비료, 농약을 주는 것이죠. 169 00:10:02,640 --> 00:10:06,210 여기 보시면 사과 농장을 비행하는 로봇이 보이는데 170 00:10:06,210 --> 00:10:08,480 잠시 후에 두 대의 동료 로봇이 171 00:10:08,480 --> 00:10:10,370 왼쪽에서 같은 일을 하고 있는게 보일 겁니다. 172 00:10:10,800 --> 00:10:14,420 이 로봇이 하는 일은 기본적으로 과수원의 지도를 제작하는 겁니다. 173 00:10:14,420 --> 00:10:17,270 지도 안에는 과수원의 모든 작불이 들어 갑니다. 174 00:10:17,270 --> 00:10:18,940 (윙윙거리는 로봇) 175 00:10:18,940 --> 00:10:20,890 그 지도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겠습니다. 176 00:10:20,890 --> 00:10:25,200 다음 영상에서 이 로봇에 쓰이는 카메라가 보입니다. 177 00:10:25,200 --> 00:10:28,480 맨 위 왼쪽에 뛰어난 컬러 카메라가 있습니다. 178 00:10:29,640 --> 00:10:32,900 왼쪽 중앙에는 적외선 카메라가 있습니다. 179 00:10:32,900 --> 00:10:36,700 아래 왼쪽에는 온도감지 카메라가 있죠. 180 00:10:36,700 --> 00:10:40,060 주 패널에는 3차원으로 과수원의 모든 나무가 재구성된 것을 보고 계십니다. 181 00:10:40,060 --> 00:10:46,240 센서가 나무 사이를 비행하면서 생긴 것이죠. 182 00:10:47,640 --> 00:10:51,680 이런 정보를 갖추고 있으면 몇 가지를 할 수 있습니다. 183 00:10:52,200 --> 00:10:56,430 가장 중요한 첫 번째는 매우 단순합니다. 184 00:10:56,430 --> 00:10:58,920 모든 나무의 열매를 세는 겁니다. 185 00:10:59,520 --> 00:11:04,010 이렇게 하면 농부에게 모든 나무의 열매 수를 알려주고 186 00:11:04,010 --> 00:11:08,290 과수원의 수확량을 추정하게 해 줘서 187 00:11:08,290 --> 00:11:11,200 생산과정을 최적화 하게 해 줍니다. 188 00:11:11,640 --> 00:11:13,220 두 번째로 할 수 있는 일은 189 00:11:13,220 --> 00:11:17,750 작물의 모형을 따서 3차원으로 재구성하고 190 00:11:17,750 --> 00:11:20,290 덮개 크기 추정치로 191 00:11:20,290 --> 00:11:24,110 모든 작물의 잎 개수와 덮개 크기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는 겁니다. 192 00:11:24,110 --> 00:11:26,300 이것은 잎사귀 지표라고 합니다. 193 00:11:26,300 --> 00:11:28,260 이런 잎사귀 지표를 아신다면 194 00:11:28,260 --> 00:11:33,740 모든 작물의 가능한 광합성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고 195 00:11:33,740 --> 00:11:36,680 그럼 각 나무의 건강정도를 알 수 있는 겁니다. 196 00:11:37,520 --> 00:11:41,710 시각 정보와 적외선 정보를 결합하면 197 00:11:41,710 --> 00:11:45,000 NDVI같은 지표를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198 00:11:45,000 --> 00:11:47,870 특히 이 경우에는 실제로 199 00:11:47,870 --> 00:11:50,910 다른 작물만큼 좋지 않은 작물이 있음을 알 수 있죠. 200 00:11:50,910 --> 00:11:54,980 이미지를 통해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201 00:11:54,980 --> 00:11:57,230 그저 시각 이미지가 아니라 202 00:11:57,230 --> 00:12:00,030 시각과 적외선 이미지를 결합하는 것이죠. 203 00:12:00,030 --> 00:12:01,380 마지막으로 204 00:12:01,380 --> 00:12:05,440 저희가 흥미를 갖고 있는 것이 백화 초기상태를 탐지하는 겁니다. 205 00:12:05,440 --> 00:12:06,930 이것은 오렌지 나무인데 206 00:12:06,930 --> 00:12:09,560 잎이 황색으로 보이시죠. 207 00:12:09,880 --> 00:12:13,750 하지만 로봇이 위에서 비행하면 쉽게 발견하고 208 00:12:13,750 --> 00:12:16,736 농부에게 209 00:12:16,740 --> 00:12:18,280 과수원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보고합니다. 210 00:12:18,800 --> 00:12:21,440 이런 시스템은 정말 도움이 되는데 211 00:12:21,440 --> 00:12:27,290 약 10% 정도 수확량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12 00:12:27,290 --> 00:12:30,570 더욱 중요한 것은 물을 주는 것을 213 00:12:30,570 --> 00:12:33,880 로봇 떼를 이용하면 25%정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14 00:12:35,200 --> 00:12:40,910 마지막으로 실제로 미래를 만들고 있는 분들에게 박수를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215 00:12:40,910 --> 00:12:45,830 야쉬 물가온카, 시캉 리유와 쥬세페 로이아노가 216 00:12:45,830 --> 00:12:49,400 보셨던 세 가지 시범을 담당해 주셨습니다. 217 00:12:49,400 --> 00:12:50,610 감사합니다. 218 00:12:50,610 --> 00:12:56,560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