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1.459 --> 00:00:05.686 여기 우리 모두가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00:00:05.686 --> 00:00:08.127 우리 사회에서 돈과 시장의 역할이 00:00:08.127 --> 00:00:11.613 무엇이 되어야 하는걸까요? NOTE Paragraph 00:00:11.613 --> 00:00:14.107 오늘날,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은 00:00:14.107 --> 00:00:16.795 거의 없습니다. 00:00:16.795 --> 00:00:18.452 만약에 캘리포니아의 산타바바라에 있는 00:00:18.452 --> 00:00:20.903 교도소에 수감되었는데 00:00:20.903 --> 00:00:22.255 기존 수감 시설이 00:00:22.255 --> 00:00:24.970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이라면 00:00:24.970 --> 00:00:29.313 돈을 주고 감방을 상향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00:00:29.313 --> 00:00:32.159 사실이에요. 얼마면 될까요? 00:00:32.159 --> 00:00:34.100 알마면 되겠어요? 00:00:34.100 --> 00:00:35.805 500 달러요? 00:00:35.805 --> 00:00:39.140 리츠-칼튼 호텔이 아니라 감방이에요! 00:00:39.140 --> 00:00:41.164 하루에 82달러입니다. 00:00:41.164 --> 00:00:43.536 하루에 82달러면 됩니다. 00:00:43.536 --> 00:00:45.736 놀이 공원에 갔는데 00:00:45.736 --> 00:00:48.428 타고 싶은 기구 앞의 긴 줄에 00:00:48.428 --> 00:00:49.884 서있고 싶지 않으면 00:00:49.884 --> 00:00:52.771 해결 방안이 있습니다. 00:00:52.771 --> 00:00:57.035 믾은 놀이 공원에서 돈을 좀 더 내면 00:00:57.035 --> 00:00:58.649 맨 앞에 가서 바로 탈 수 있어요. 00:00:58.649 --> 00:01:03.164 그런 걸 '급행' 또는 'VIP' 입장권이라고 하죠. NOTE Paragraph 00:01:03.164 --> 00:01:06.753 이런게 놀이 공원에만 있는게 아니에요. 00:01:06.753 --> 00:01:09.969 워싱턴 DC 에서도 00:01:09.969 --> 00:01:11.909 때로는 긴 줄이 00:01:11.909 --> 00:01:15.778 중요한 의회 청문회에 늘어서게 됩니다. 00:01:15.778 --> 00:01:19.283 어떤 사람들은 긴 줄에 서있고 싶어하지 않죠. 00:01:19.283 --> 00:01:21.788 때로는 밤을 새고 비를 맞기도 하니까요. 00:01:21.788 --> 00:01:23.785 이제 로비스트나 누가 됐든 00:01:23.785 --> 00:01:25.591 공청회에는 정말로 참석하고 싶은데 00:01:25.591 --> 00:01:28.310 기다리기 싫다면 회사를 찾아갑니다. 00:01:28.310 --> 00:01:30.353 줄을 대신 서주는 회사에요. 00:01:30.353 --> 00:01:32.216 거기 가서 00:01:32.216 --> 00:01:34.105 돈을 좀 주면 됩니다. 00:01:34.105 --> 00:01:37.370 회사는 이런 일을 하겠다는 노숙인이나 다른 사람을 써서 00:01:37.370 --> 00:01:40.653 기다리는 동안 대신 줄을 서주는 겁니다. 00:01:40.653 --> 00:01:43.521 로비스트는 공청회가 시작하기 직전에 00:01:43.521 --> 00:01:46.400 맨 앞줄로 가서 자리를 차지한 다음 00:01:46.400 --> 00:01:49.145 공청회장 맨 첫줄에 앉는 겁니다. 00:01:49.145 --> 00:01:52.224 돈을 내고 줄을 서는 것이죠. NOTE Paragraph 00:01:52.224 --> 00:01:55.806 그런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시장 원리에 맡기는거죠. 00:01:55.806 --> 00:01:58.480 시장주의적 사고, 시장주의적 해결책입니다. 00:01:58.480 --> 00:02:01.112 크게 보면 말이죠. 00:02:01.112 --> 00:02:03.783 전쟁을 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볼까요. 00:02:03.783 --> 00:02:06.850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전에는 00:02:06.850 --> 00:02:10.895 민간 군사 기업의 용병들이 00:02:10.895 --> 00:02:14.715 미군보다 많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십니까? 00:02:14.715 --> 00:02:17.834 이것은 '전쟁을 사기업들에게 외주로 맡길 것인가?'와 같은 00:02:17.834 --> 00:02:20.811 주제를 갖고 공공의 논의를 거쳐서 00:02:20.811 --> 00:02:22.982 나타난 결과가 아닙니다. 00:02:22.982 --> 00:02:25.689 그럼에도 이렇게 되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2:25.689 --> 00:02:28.117 지난 30년간 00:02:28.117 --> 00:02:32.215 우리는 조용한 혁명 속에서 살아왔습니다. 00:02:32.215 --> 00:02:37.182 그 과정을거의 인식하지 못한 채, 00:02:37.182 --> 00:02:40.430 '시장 경제'에서 00:02:40.430 --> 00:02:44.397 '시장 사회'로 흘러왔습니다. 00:02:44.397 --> 00:02:47.982 그 차이는 이런 겁니다: 시장 경제라는 도구입니다. 00:02:47.982 --> 00:02:49.644 생산적인 활동을 조직화하는 00:02:49.644 --> 00:02:52.702 가치있고 효과적인 도구지요. 00:02:52.702 --> 00:02:55.760 한편 시장 사회는 거의 모든 걸 00:02:55.760 --> 00:02:58.608 사고 팔 수 있는 사회를 말합니다. 00:02:58.608 --> 00:03:02.060 일종의 생활 방식이죠. 00:03:02.060 --> 00:03:04.781 시장적 사고와 가치가 00:03:04.781 --> 00:03:08.305 삶의 모든 면을 지배하는 사회입니다. 00:03:08.305 --> 00:03:13.040 인간 관계, 가족 생활, 건강, 교육, 00:03:13.040 --> 00:03:16.339 정치, 법, 시민 생활까지도요. NOTE Paragraph 00:03:16.339 --> 00:03:21.830 자, 왜 걱정하느냐구요? 우리 사회가 시장 사회로 되는 걸 00:03:21.830 --> 00:03:24.376 왜 걱정할까요? 00:03:24.376 --> 00:03:27.480 제 생각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00:03:27.480 --> 00:03:32.161 하나는 불평등에 관련된 것입니다. 00:03:32.161 --> 00:03:35.494 돈으로 더 많은 것을 살 수 있을수록 00:03:35.494 --> 00:03:39.788 돈의 많고 적음이 훨씬 더 중요하게 되거든요. 00:03:39.788 --> 00:03:42.645 돈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00:03:42.645 --> 00:03:48.334 요트를 갖거나, 멋진 휴가를 보내거나, BMW를 사는 것뿐이라면 00:03:48.334 --> 00:03:52.686 불평등은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 00:03:52.686 --> 00:03:56.113 하지만 돈이 본질적으로 행복한 삶에 00:03:56.113 --> 00:04:00.950 도달하는 과정을 지배하게 된다면 -- 00:04:00.950 --> 00:04:04.876 충분한 의료 서비스나 양질의 교육을 받을 기회, 00:04:04.876 --> 00:04:09.746 정치적 발언권이나 선거에서의 영향력 등 -- 00:04:09.746 --> 00:04:13.326 돈이 이런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되면 00:04:13.326 --> 00:04:15.876 불평등은 심각한 문제가 됩니다. 00:04:15.876 --> 00:04:18.131 그래서 모든 것을 시장화하는 것은 00:04:18.131 --> 00:04:21.701 불평등의 병폐와 함께 00:04:21.701 --> 00:04:23.885 시민 사회의 위기를 더욱 심화하게 됩니다. 00:04:23.885 --> 00:04:26.871 그게 걱정해야 할 한 가지 이유예요. NOTE Paragraph 00:04:26.871 --> 00:04:29.108 두번째 이유가 있습니다. 00:04:29.108 --> 00:04:33.007 불평등에 대한 걱정은 제외하고라도 말이죠 00:04:33.007 --> 00:04:35.326 한 번 봅시다: 00:04:35.326 --> 00:04:39.250 사회적 재원이나 사회적 관습의 영역에 00:04:39.250 --> 00:04:44.716 시장적 사고와 가치가 간섭하게 되면 00:04:44.716 --> 00:04:47.488 본래의 의미가 변질되어 00:04:47.488 --> 00:04:50.837 소중히 해야 할 자세나 규범을 00:04:50.837 --> 00:04:52.786 몰아내 버립니다. NOTE Paragraph 00:04:52.786 --> 00:04:55.410 시장 매커니즘의 적용에 관한 논란을 00:04:55.410 --> 00:04:59.136 예로 들어 보려 합니다. 00:04:59.136 --> 00:05:03.881 현금 유인책인데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십시다. 00:05:03.881 --> 00:05:07.046 일선의 많은 학교들이 00:05:07.046 --> 00:05:09.585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00:05:09.585 --> 00:05:13.540 특히 사회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가진 아이들은 00:05:13.540 --> 00:05:16.579 학업에 전념하고,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있습니다. 00:05:16.579 --> 00:05:20.067 일부 경제학자들은 시장적 해법을 제안했습니다. 00:05:20.067 --> 00:05:24.126 현금으로 보상해주는 겁니다. 00:05:24.126 --> 00:05:26.500 아이들이 성적이 좋거나 시험을 잘 보거나 00:05:26.500 --> 00:05:28.451 책을 읽으면 말이죠. 00:05:28.451 --> 00:05:30.233 실제로 이런 방법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00:05:30.233 --> 00:05:31.518 미국의 몇몇 주요 도시에서 00:05:31.518 --> 00:05:34.949 실험을 한 거죠. 00:05:34.949 --> 00:05:38.596 뉴욕, 시카고, 워싱턴 DC 에서 00:05:38.596 --> 00:05:42.307 이런 방식을 사용했어요. A를 받으면 50달러를 00:05:42.307 --> 00:05:44.499 B를 받으면 35달러를 줬습니다. 00:05:44.499 --> 00:05:47.673 텍사스의 댈러스에서는 8살짜리 아이들에게 00:05:47.673 --> 00:05:52.093 책 한 권 읽을 때 마다 2달러 씩 주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5:52.093 --> 00:05:55.012 이제, 볼까요 -- 일부는 여기에 찬성했고 00:05:55.012 --> 00:05:58.402 일부는 성취 동기를 부여한다면서 00:05:58.402 --> 00:06:00.100 돈을 주는 것에 반대했습니다. 00:06:00.100 --> 00:06:02.737 여기서 사람들이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볼까요. 00:06:02.737 --> 00:06:07.245 여러분이 중요한 학교 시스템의 책임자라고 상상해 보시죠. 00:06:07.245 --> 00:06:10.230 누군가 다가와서 이런 제안을 합니다. 00:06:10.230 --> 00:06:12.867 어떤 재단이라고 칩시다. 그 사람들이 돈을 지원합니다. 00:06:12.867 --> 00:06:14.733 우리 예산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상황입니다. 00:06:14.733 --> 00:06:16.015 몇 분이나 찬성하십니까? 00:06:16.015 --> 00:06:19.609 그런 시도를 하는데 몇 분이나 반대하십니까? 00:06:19.609 --> 00:06:21.205 손을 들어 볼까요. NOTE Paragraph 00:06:21.205 --> 00:06:24.799 우선, 최소한 시도해 볼 가치는 있다는 분. 00:06:24.799 --> 00:06:28.695 몇 분이나 계시죠? 손 들어 보세요. NOTE Paragraph 00:06:28.695 --> 00:06:31.426 그럼 몇 분이 반대하십니까? 몇 분이나 NOTE Paragraph 00:06:31.426 --> 00:06:34.240 그러니까 대부분은 반대하시는군요. 00:06:34.240 --> 00:06:37.222 하지만 일부는 찬성하시네요. 00:06:37.222 --> 00:06:38.791 논의를 해봅시다. 00:06:38.791 --> 00:06:41.834 반대하시는 분들 부터 시작해 볼까요? 00:06:41.834 --> 00:06:44.715 아직 시도도 해보기 전에 반대하시는 분, 계신가요? 00:06:44.715 --> 00:06:46.336 그 이유가 뭐죠? 00:06:46.336 --> 00:06:50.208 누가 먼저 말문을 열어주시겠습니까 NOTE Paragraph 00:06:50.208 --> 00:06:52.106 하이카 모세: 안녕하세요. 하이카라고 합니다. 00:06:52.106 --> 00:06:54.873 저는 그런 방법이 내재적인 동기를 없앨 거라고 생각합니다. 00:06:54.873 --> 00:07:00.021 그런 의미에서 아이들은 책을 읽고 싶더라도 00:07:00.021 --> 00:07:02.138 오히려 그런 동기를 빼앗기는 겁니다. 00:07:02.138 --> 00:07:05.590 그저 돈을 받고 다른 행동을 한 것 뿐이지요 00:07:05.590 --> 00:07:09.008 마이클 샌델: 내재적인 동기가 사라진다. NOTE Paragraph 00:07:09.008 --> 00:07:13.243 내재적 동기는 무엇이며 어때야 하는 거죠? NOTE Paragraph 00:07:13.243 --> 00:07:14.933 하이카 모세: 내재적 동기라 하면 00:07:14.933 --> 00:07:16.610 배우고자 함이죠. NOTE Paragraph 00:07:16.610 --> 00:07:19.753 하이카 모세: 배움이요. 마이클 샌델: 세상을 알아가는 거요. 00:07:19.753 --> 00:07:22.647 그러면 돈을 안 준다고 어떻게 되기라도 할까요? 00:07:22.647 --> 00:07:24.394 그럼 아이들이 책읽는 것을 멈추기라도 하나요? NOTE Paragraph 00:07:24.394 --> 00:07:27.394 마이클 샌델: 이제 찬성하시는 분들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00:07:27.394 --> 00:07:29.742 이걸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 NOTE Paragraph 00:07:29.742 --> 00:07:31.714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엘리자베스 로프터스입니다. 00:07:31.714 --> 00:07:35.844 시도해볼 가치가 있다면서요. 그럼 해보면 되는거죠. 00:07:35.844 --> 00:07:39.967 실험을 해보고 상황을 평가해보면 어떨까요? 00:07:39.967 --> 00:07:42.140 마이클 샌델: 평가라.. .뭘 평가하죠? 00:07:42.140 --> 00:07:43.861 무엇이 얼마나 되는지 -- 00:07:43.861 --> 00:07:45.705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 00:07:45.705 --> 00:07:48.395 또 얼마나 계속 읽고 있는지 00:07:48.395 --> 00:07:50.110 장려금 지원을 중단한 후에요. NOTE Paragraph 00:07:50.110 --> 00:07:52.467 마이클 샌델: 아, 장려금을 중단한 다음에요. 00:07:52.467 --> 00:07:53.821 좋습니다. 이건 어떻습니까? NOTE Paragraph 00:07:53.821 --> 00:07:55.798 하이카 모세: 솔직히, 제가 생각하기에 00:07:55.798 --> 00:08:00.431 여기있는 분들을 비난하는 건 아닌데 굉장히 미국식이네요. NOTE Paragraph 00:08:00.431 --> 00:08:06.903 (웃음) (박수) NOTE Paragraph 00:08:06.903 --> 00:08:09.106 마이클 샌델: 좋습니다. 이 논의에서 나온 건 00:08:09.106 --> 00:08:11.226 다음과 같은 의문점입니다: 00:08:11.226 --> 00:08:15.477 장려금이 과연 양질의 동기를 00:08:15.477 --> 00:08:18.666 망쳐버리거나 내쳐버리는가? 00:08:18.666 --> 00:08:23.460 우리가 내심 바라는 효과는 00:08:23.460 --> 00:08:27.547 아이들 스스로 배우고 읽는 걸 좋아하는 법을 00:08:27.547 --> 00:08:29.550 깨닫는 거잖아요? 00:08:29.550 --> 00:08:33.647 모두 그 효과가 어떨지에 대해서 동의하진 않았지만 00:08:33.647 --> 00:08:36.304 그게 의문점인것 같군요. 00:08:36.304 --> 00:08:38.340 어떻든 시장 매커니즘이나 00:08:38.340 --> 00:08:43.201 장려금 지급이 잘못된 교훈을 줄 것이다. 00:08:43.201 --> 00:08:46.808 그렇다면, 나중에 아이들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까요? NOTE Paragraph 00:08:46.808 --> 00:08:50.181 이 실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말씀드려야겠군요. 00:08:50.181 --> 00:08:54.699 성적별 장려금 제도는 상당히 혼재된 결과를 보였지만 00:08:54.699 --> 00:08:57.846 대부분은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습니다. 00:08:57.846 --> 00:09:00.217 책 한 권에 2달러를 준 것은 00:09:00.217 --> 00:09:03.518 아이들이 더 많은 책을 읽도록 만들었습니다. 00:09:03.518 --> 00:09:06.162 게다가 더 얇은 책을 읽도록 만들었죠. NOTE Paragraph 00:09:06.162 --> 00:09:10.340 (웃음) NOTE Paragraph 00:09:10.340 --> 00:09:11.990 그런데 진짜 의문은 00:09:11.990 --> 00:09:14.562 아이들이 나중에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겁니다. 00:09:14.562 --> 00:09:16.676 우려했던 것 처럼 아이들이 책읽기를 00:09:16.676 --> 00:09:19.648 돈 받고서 하는 일 정도로 여기게 되었을까요 00:09:19.648 --> 00:09:24.265 아니면 처음에는 잘못된 의도로 읽기 시작했지만 00:09:24.265 --> 00:09:29.011 자연히 책읽기를 좋아하게 되었을까요? NOTE Paragraph 00:09:29.011 --> 00:09:33.832 자, 이 짧은 논의에서 나온 이야기는 00:09:33.832 --> 00:09:37.650 그 많은 경제학자들도 간과했던 겁니다. 00:09:37.650 --> 00:09:39.746 경제학자들은 종종 00:09:39.746 --> 00:09:42.370 시장은 그대로 있는 거라서 00:09:42.370 --> 00:09:46.736 교환하는 재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봅니다. 00:09:46.736 --> 00:09:49.840 그들은 시장적 교환이 00:09:49.840 --> 00:09:52.300 교환되는 상품의 의미나 가치를 00:09:52.300 --> 00:09:53.583 바꾸지 못한다고 가정합니다. 00:09:53.583 --> 00:09:55.159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00:09:55.159 --> 00:09:57.576 유형의 재화라면 말이죠. 00:09:57.576 --> 00:10:00.082 제게 평면 텔레비전를 팔거나 00:10:00.082 --> 00:10:02.260 선물로 주든 간에 00:10:02.260 --> 00:10:03.620 물건 자체는 똑같겠지요. 00:10:03.620 --> 00:10:06.106 어떤 방향으로든 같을 겁니다 00:10:06.106 --> 00:10:08.882 하지만 무형의 재화라면 00:10:08.882 --> 00:10:11.214 말이 좀 다를 겁니다. 00:10:11.214 --> 00:10:15.164 가르치고 배우는 사회적인 행위나 00:10:15.164 --> 00:10:18.896 사회적 행위와 결부되는 영역을 포함해서요. 00:10:18.896 --> 00:10:22.317 이런 영역에 시장 매커니즘과 00:10:22.317 --> 00:10:26.235 현금 장려금을 도입하는 행위는 00:10:26.235 --> 00:10:30.555 소중한 비상업적 가치 또는 마음가짐을 00:10:30.555 --> 00:10:32.914 해치거나 몰아낼 수도 있습니다. 00:10:32.914 --> 00:10:35.138 일단 00:10:35.138 --> 00:10:38.849 시장이나 상품이 유형 재화의 영역을 벗어나 00:10:38.849 --> 00:10:42.510 그 너머로 확장되면 00:10:42.510 --> 00:10:47.960 상품의 특성 자체를 바꿀 수 있다는 점. 00:10:47.960 --> 00:10:50.521 사회적인 행위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는 점을 00:10:50.521 --> 00:10:53.985 교육과 학습의 예에서 살펴 보았습니다. 00:10:53.985 --> 00:10:58.631 시장의 영역이 과연 어디까지여야 하는지 00:10:58.631 --> 00:11:00.562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00:11:00.562 --> 00:11:02.935 소중한 가치와 자세를 잠식하는 영역은 00:11:02.935 --> 00:11:05.938 어디까지인지도 알아야 합니다. 00:11:05.938 --> 00:11:09.200 다만 이러한 논의를 위해선 00:11:09.200 --> 00:11:12.698 쉽지 않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00:11:12.698 --> 00:11:16.180 우리가 소중히 여길 사회적 행위의 00:11:16.180 --> 00:11:19.420 가치와 의미를 00:11:19.420 --> 00:11:23.424 공론의 장에서 함께 따져보아야 합니다. 00:11:23.424 --> 00:11:25.929 우리 몸에서부터 가족 생활, 00:11:25.929 --> 00:11:27.882 사적인 관계, 건강, 00:11:27.882 --> 00:11:31.595 교육과 공공 생활의 영역 까지도요. NOTE Paragraph 00:11:31.595 --> 00:11:34.579 모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질문들입니다. 00:11:34.579 --> 00:11:37.339 그래서 우리는 그런 문제로부터 물러서는 경향이 있죠. 00:11:37.339 --> 00:11:40.259 사실 지난 30여년간 00:11:40.259 --> 00:11:42.756 시장 논리, 시장적 사고가 00:11:42.756 --> 00:11:46.244 힘과 특권을 얻었을 때 00:11:46.244 --> 00:11:49.726 이 시기동안 우리의 대중적 담론은 00:11:49.726 --> 00:11:51.961 허울만 공허히 남고 00:11:51.961 --> 00:11:55.667 보다 큰 도적적 의미를 잃어버렸습니다. 00:11:55.667 --> 00:11:58.879 의견 충돌이 두려워서 이런 질문으로부터 물러섰던 것이죠. 00:11:58.879 --> 00:12:02.406 하지만 일단 우리가 시장이 상품의 성격을 00:12:02.406 --> 00:12:04.579 바꾸는 것을 본 이상 00:12:04.579 --> 00:12:09.146 우리는 재화의 가치를 어떻게 매길 것인지에 대해 00:12:09.146 --> 00:12:11.483 이런 더 큰 문제를 가지고 00:12:11.483 --> 00:12:13.443 논의해야만 합니다. NOTE Paragraph 00:12:13.443 --> 00:12:16.438 모든 것에 가격을 매기는 일이 00:12:16.438 --> 00:12:19.225 가장 좀먹는 건 00:12:19.225 --> 00:12:21.594 공공성 입니다. 00:12:21.594 --> 00:12:24.772 우리가 함께하고 있다는 의식 말입니다. 00:12:24.772 --> 00:12:29.495 불평등이 점점 커지는 현실에 반하여 00:12:29.495 --> 00:12:33.362 삶의 모든 측면을 시장화하게 되면 00:12:33.362 --> 00:12:38.913 부유한 사람들과 00:12:38.913 --> 00:12:40.763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00:12:40.763 --> 00:12:45.145 점점 분리된 삶을 살게 됩니다. 00:12:45.145 --> 00:12:48.364 우리가 서로 다른 곳에서 00:12:48.364 --> 00:12:50.095 살고, 일하고, 쇼핑하고 즐기게 됩니다. 00:12:50.095 --> 00:12:53.211 우리 아이들도 서로 다른 학교에 가게 되고요. NOTE Paragraph 00:12:53.211 --> 00:12:55.760 이것은 민주주의에 좋지도 않고 00:12:55.760 --> 00:12:58.683 그다지 만족스런 삶도 아닙니다. 00:12:58.683 --> 00:13:01.963 심지어 줄 앞으로 끼어드는 비용을 00:13:01.963 --> 00:13:04.718 부담할 만큼 부유한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00:13:04.718 --> 00:13:06.491 왜 그럴까요. 00:13:06.491 --> 00:13:11.420 민주주의는 완벽한 평등을 요구하지는 않습니다만 00:13:11.420 --> 00:13:13.183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것은 00:13:13.183 --> 00:13:16.811 시민들이 보편적인 삶을 공유하는 겁니다. 00:13:16.811 --> 00:13:19.440 중요한 것은 00:13:19.440 --> 00:13:21.209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과 00:13:21.209 --> 00:13:22.933 삶의 이력을 지닌 사람들이 00:13:22.933 --> 00:13:25.217 서로 마주치는 겁니다. 00:13:25.217 --> 00:13:27.240 일상에서 서로서로 00:13:27.240 --> 00:13:30.730 부대낄 수 있어야하는 거죠. 00:13:30.730 --> 00:13:33.454 왜냐하면 이 때 우리는 00:13:33.454 --> 00:13:37.126 서로의 차이에 대해 타협하고 수용하게 되거든요. 00:13:37.126 --> 00:13:41.340 또한 우리가 공공 재화에 관심을 갖게되는 길이기도 하죠. NOTE Paragraph 00:13:41.340 --> 00:13:44.690 그래서 결국, 시장화의 질문은 00:13:44.690 --> 00:13:48.830 경제학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00:13:48.830 --> 00:13:52.918 우리가 어떻게 함께 살아갈지에 대한 물음입니다. 00:13:52.918 --> 00:13:57.458 모든 걸 사고 파는 사회를 원합니까? 00:13:57.458 --> 00:14:00.970 아니면 특정 도덕이나 공공재화가 있어서 00:14:00.970 --> 00:14:02.899 시장에 좌우되지 않고 00:14:02.899 --> 00:14:05.693 돈으로는 살 수 없는 사회를 원합니까? NOTE Paragraph 00:14:05.693 --> 00:14:07.155 대단히 감사합니다. NOTE Paragraph 00:14:07.155 --> 00:14:12.340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