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251 --> 00:00:08,422 프랑스 혁명과 2 00:00:08,422 --> 00:00:14,460 나사의 2억 달러짜리 인공위성을 우연히 화성 표면에 추락하게 한 것과 3 00:00:14,460 --> 00:00:17,062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4 00:00:17,452 --> 00:00:19,781 사실, 전부 연관 돼있죠. 5 00:00:19,781 --> 00:00:21,622 그 충돌은 두 가지 측정법을 6 00:00:21,622 --> 00:00:24,657 바꾸는 과정에서 일어난 오류 때문입니다. 7 00:00:24,657 --> 00:00:26,163 바로 미국의 단위 법과 8 00:00:26,163 --> 00:00:29,324 미터법이라 불리는 국제 단위법 사이에서 말이죠. 9 00:00:29,324 --> 00:00:31,936 그럼 이것이 프랑스 혁명과는 무슨 관련이 있을까요? 10 00:00:31,936 --> 00:00:33,453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1 00:00:33,453 --> 00:00:35,672 인류의 역사 대부분에서 12 00:00:35,672 --> 00:00:40,493 곡물의 무게나 손의 길이와 같은 단위는 정확하지 않고 13 00:00:40,493 --> 00:00:42,693 지역마다 달랐습니다. 14 00:00:42,693 --> 00:00:45,682 다른 지역에서 그저 다른 측량법만 사용한 것은 아닙니다. 15 00:00:45,682 --> 00:00:49,173 숫자 체계 또한 완전히 달랐습니다. 16 00:00:49,173 --> 00:00:52,304 중세 말기에는 아라비아 십진법 체계가 17 00:00:52,304 --> 00:00:56,773 유럽의 로마 숫자와 분수들을 대체했지만 18 00:00:56,773 --> 00:01:01,592 존 윌킨스와 같은 학자들의 표준 십진법을 육성하려는 노력은 19 00:01:01,592 --> 00:01:03,383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20 00:01:03,383 --> 00:01:06,683 프랑스에서만 25만 개의 단위가 있었기 때문에 21 00:01:06,683 --> 00:01:11,256 광범위한 변화를 위해서는 큰 계기가 필요했습니다. 22 00:01:11,256 --> 00:01:14,837 그리고 1789년, 그 계기가 일어났습니다. 23 00:01:14,837 --> 00:01:19,264 프랑스 혁명의 주도자들은 군주제만 타도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24 00:01:19,264 --> 00:01:22,223 그들은 계몽 운동의 합리 원칙에 근거해서 25 00:01:22,223 --> 00:01:25,703 사회를 완전히 변화시키고자 했습니다. 26 00:01:25,703 --> 00:01:27,343 새로운 정부가 정권을 잡았을 때 27 00:01:27,343 --> 00:01:32,574 과학 협회는 측정 시스템을 바꾸기 위해 회의를 소집했습니다. 28 00:01:33,114 --> 00:01:37,095 독단적인 권위나 지역 전통을 기반으로 한 옛 기준들은 29 00:01:37,095 --> 00:01:41,343 수학적이고 자연적인 기준으로 교체되었습니다. 30 00:01:41,343 --> 00:01:44,695 예를 들어, 그리스어의 '재다'라는 단어에서 나온 '미터'는 31 00:01:44,695 --> 00:01:49,853 적도와 북극 사이의 천만 분의 일로 정의되었습니다. 32 00:01:49,853 --> 00:01:53,955 그리고 새로운 미터법은, 콩도르세에 의하면 33 00:01:53,955 --> 00:01:57,846 "모든 사람과 모든 시대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34 00:01:57,846 --> 00:02:00,664 측량을 표준화시키는 것은 혁명가들에게 35 00:02:00,664 --> 00:02:03,045 정치적 이점이 있었습니다. 36 00:02:03,045 --> 00:02:08,285 귀족들은 평민들에게 더 많은 소작료를 걷기 위해 단위를 조작할 수 없게 되고 37 00:02:08,285 --> 00:02:12,046 정부는 세금을 더 효과적으로 걷을 수 있었습니다. 38 00:02:12,046 --> 00:02:15,617 또한, 주 10일제인 새로운 공화력으로 바꾼 것은 39 00:02:15,617 --> 00:02:20,065 일요일을 없앰으로써 교회의 권력을 약화했습니다. 40 00:02:20,065 --> 00:02:22,805 새로운 시스템을 채택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41 00:02:22,805 --> 00:02:25,125 사실, 조금 엉망이었죠. 42 00:02:25,125 --> 00:02:29,016 처음에는 사람들이 새 단위를 옛날 단위와 함께 사용했고 43 00:02:29,016 --> 00:02:32,718 공화력 달력은 결국 버려졌습니다. 44 00:02:32,718 --> 00:02:34,487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정권을 잡았을 때 45 00:02:34,487 --> 00:02:38,016 작은 기업들이 미터법으로 재정립된 46 00:02:38,016 --> 00:02:40,256 기존의 측량법을 사용하게 했습니다. 47 00:02:40,256 --> 00:02:43,686 그러나 미터법은 보편적 사용을 위해 계속해서 기준으로 남았고 48 00:02:43,686 --> 00:02:48,085 프랑스의 국경과 더불어 유럽 전체에 널리 퍼졌습니다. 49 00:02:48,085 --> 00:02:50,806 나폴레옹의 제국은 8년 동안 지속하였지만 50 00:02:50,806 --> 00:02:53,777 그의 유산은 훨씬 더 오래 남았습니다. 51 00:02:53,777 --> 00:02:58,276 몇몇 유럽 국가들은 독립과 함께 옛날 측량법으로 돌아갔고 52 00:02:58,276 --> 00:03:01,069 다른 국가들은 국제 교류의 시대에서 53 00:03:01,069 --> 00:03:03,837 표준화의 가치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54 00:03:03,837 --> 00:03:08,037 포르투갈과 네덜란드가 자발적으로 미터법으로 바꾼 이후 55 00:03:08,037 --> 00:03:09,955 다른 나라들도 따랐고 56 00:03:09,955 --> 00:03:14,328 식민지 제국들이 그 시스템을 전 세계에 퍼트렸습니다. 57 00:03:14,328 --> 00:03:15,818 프랑스의 주요 경쟁자인 58 00:03:15,818 --> 00:03:21,299 영국은 혁명적인 아이디어를 거부하고 전통적 단위를 유지했습니다. 59 00:03:21,299 --> 00:03:25,598 그러나 이후 두 세기 동안 영국 제국은 서서히 변화했고 60 00:03:25,598 --> 00:03:28,869 처음에는 미터법을 선택적인 방안으로 인정했다가 61 00:03:28,869 --> 00:03:31,428 결국, 공식화시켰습니다. 62 00:03:31,428 --> 00:03:35,638 하지만 이 변화는 벌써 독립을 맞이한 63 00:03:35,638 --> 00:03:38,288 13개의 과거 식민지에는 너무 늦었습니다. 64 00:03:38,288 --> 00:03:42,947 미국은 식민 과거의 영국 단위를 떨쳐버리지 못했고 65 00:03:42,947 --> 00:03:45,728 오늘날 완전히 미터법을 수용하지 않은 66 00:03:45,728 --> 00:03:48,677 단 세 국가 중의 하나로 남았습니다. 67 00:03:48,677 --> 00:03:51,539 미터법으로의 전환을 위한 꾸준한 계획에도 불구하고 68 00:03:51,539 --> 00:03:56,509 많은 미국인은 피트와 파운드와 같은 단위들이 더 쉽다고 여깁니다. 69 00:03:56,509 --> 00:04:00,328 그리고 아이러니하게도, 어떤 이들은 한때 혁명적이었던 미터법을 70 00:04:00,328 --> 00:04:03,509 국제적 협력의 상징으로 여깁니다. 71 00:04:03,509 --> 00:04:09,650 그런데도 미터법은 거의 전 세계의 과학과 의학에 사용되며 72 00:04:09,650 --> 00:04:13,850 원래의 원리대로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습니다. 73 00:04:13,850 --> 00:04:14,948 오랫동안 74 00:04:14,948 --> 00:04:19,509 표준 단위들은 사실 신중하게 유지된 물리적 원형으로 정의되었습니다. 75 00:04:19,509 --> 00:04:22,608 그러나 개선된 기술과 정확성 덕분에 76 00:04:22,608 --> 00:04:26,896 이 보편적이지 않고 지속성을 신뢰할 수 없는 기준들은 77 00:04:26,899 --> 00:04:31,429 이제 보편적인 요소들을 기반으로 한 기준들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78 00:04:31,429 --> 00:04:33,914 빛의 속도로 말이죠. 79 00:04:33,914 --> 00:04:37,520 일관된 측량법은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부분이며 80 00:04:37,520 --> 00:04:42,940 이 엄청난 인류의 업적을 다 감사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81 00:04:42,940 --> 00:04:45,879 이것이 정치적 혁명으로부터 발생한 것처럼 82 00:04:45,879 --> 00:04:50,231 미터법은 앞으로의 과학적 혁명에 매우 중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