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30,912 --> 00:00:32,725 흰긴수염고래는 지구를 돌아다니는 2 00:00:32,725 --> 00:00:34,644 가장 큰 동물입니다. 3 00:00:34,644 --> 00:00:37,785 가장 큰 공룡보다 적어도 2배나 큽니다. 4 00:00:38,954 --> 00:00:40,275 "참 크지요!" 5 00:00:40,275 --> 00:00:41,736 농구장만한 길이에 6 00:00:41,736 --> 00:00:44,781 아프리카 코끼리 40마리를 합친 만큼 무겁습니다. 7 00:00:44,781 --> 00:00:46,579 그래도 놀라지 않으셨다면 8 00:00:46,579 --> 00:00:48,659 여기에 놀랄 만한 사실이 있습니다. 9 00:00:48,659 --> 00:00:50,367 흰긴수염고래는 10 00:00:50,367 --> 00:00:54,705 크릴이라고 하는 새우처럼 생긴 생물만 먹고 이렇게 크게 자랐습니다. 11 00:00:58,333 --> 00:01:00,568 크릴은 여러분의 새끼 손가락보다 작죠. 12 00:01:00,568 --> 00:01:02,559 여러 모로 볼 때 크릴 새우의 크기 자체가 13 00:01:02,559 --> 00:01:05,940 흰긴수염고래를 진화하게 만든 것처럼 보입니다. 14 00:01:08,032 --> 00:01:10,093 보다시피 크릴 새우는 아주 작지만 15 00:01:10,093 --> 00:01:12,132 빽빽하게 몰려있습니다. 16 00:01:12,132 --> 00:01:13,133 높은 효율을 위해 17 00:01:13,133 --> 00:01:14,467 흰긴수염고래는 18 00:01:14,467 --> 00:01:15,715 '돌진하여 먹기' 라는 19 00:01:15,715 --> 00:01:17,596 먹이 사냥 전략을 사용하게끔 진화했습니다. 20 00:01:17,596 --> 00:01:20,846 근본적으로, 고래는 먹잇감을 향해 달려들어 21 00:01:20,846 --> 00:01:22,900 입을 크게 벌립니다. 22 00:01:22,900 --> 00:01:26,062 용량을 늘이려고 입이 팽창시킵니다. 23 00:01:26,062 --> 00:01:28,178 아코디언처럼 생긴 특별한 지방층이 24 00:01:28,178 --> 00:01:30,441 주둥이부터 배꼽까지 늘어져 있어서 25 00:01:30,441 --> 00:01:32,944 먹잇감이 잔뜩 들어있는 물을 26 00:01:32,944 --> 00:01:35,176 엄청나게 많이 삼킬 수 있습니다. 27 00:01:42,836 --> 00:01:44,376 크게 한 번 삼킬 때마다 28 00:01:44,376 --> 00:01:48,129 고래는 몸무게의 125%에 상당하는 29 00:01:48,129 --> 00:01:50,300 물과 크릴 새우를 삼킬 수 있습니다. 30 00:01:50,300 --> 00:01:51,968 고래는 맛있는 크릴 새우를 머금은 채로 31 00:01:51,968 --> 00:01:54,227 물을 내보내야 합니다. 32 00:01:54,227 --> 00:01:56,446 그렇게 하려면 고래수염과 혀를 써야 하는데 33 00:01:56,446 --> 00:01:58,272 빗처럼 생긴 구조의 고래수염은 34 00:01:58,272 --> 00:02:00,884 사람의 손톱과 털을 만드는 것과 35 00:02:00,884 --> 00:02:02,616 같은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6 00:02:08,599 --> 00:02:10,909 희긴수염고래의 심장은 37 00:02:10,909 --> 00:02:12,674 소형차만큼 크고, 38 00:02:12,674 --> 00:02:15,139 아이가 동맥 속으로 기어다닐 수 있고, 39 00:02:15,139 --> 00:02:17,255 혀는 코끼리 한 마리 만큼 무게가 나가지만 40 00:02:17,255 --> 00:02:20,051 식도는 정말 작아서, 41 00:02:20,051 --> 00:02:23,263 빵 한 덩어리에도 질식할 수 있습니다. 42 00:02:23,263 --> 00:02:24,844 희긴수염고래들은 크릴 새우보다 큰 것을 43 00:02:24,844 --> 00:02:27,415 먹기에는 정말 적합하지 않습니다. 44 00:02:31,459 --> 00:02:35,629 흰긴수염고래는 크릴 새우를 하루에 4톤씩 먹는다고 추정합니다. 45 00:02:35,629 --> 00:02:36,889 믿기 어려운 구조 때문에, 46 00:02:36,889 --> 00:02:38,541 한 번 입수할 때마다 47 00:02:38,541 --> 00:02:42,181 사용하는 에너지의 90%를 공급합니다. 48 00:02:42,181 --> 00:02:46,937 크릴 새우를 한 번 입안에 넣으면 거의 48만 칼로리를 제공하는데 49 00:02:46,937 --> 00:02:52,160 햄버거 1,900 개를 먹은 것과 같은 칼로리이죠. 50 00:02:54,780 --> 00:02:57,680 하지만 흰긴수염고래는 왜 그렇게 클까요? 51 00:02:57,680 --> 00:02:59,186 흰긴수염고래는 땅에서 사는 가장 큰 동물인 52 00:02:59,186 --> 00:03:02,047 코끼리보다 훨씬 더 큽니다. 53 00:03:02,047 --> 00:03:03,691 동물이 무거울 수록 54 00:03:03,691 --> 00:03:06,204 상대적인 표면적이 더 큽니다. 55 00:03:06,204 --> 00:03:07,519 무게가 늘어남에 따라서 56 00:03:07,519 --> 00:03:09,680 동물의 다리가 57 00:03:09,680 --> 00:03:12,421 그냥 무너지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58 00:03:12,421 --> 00:03:14,263 이것이 코끼리가 왜 59 00:03:14,263 --> 00:03:17,179 말과 같은 섬세한 다리를 갖지 못했는지를 설명해주죠. 60 00:03:17,179 --> 00:03:19,181 코끼리는 중력에 대항하여 몸을 받쳐줄 61 00:03:19,181 --> 00:03:22,341 퉁퉁한 받침대 같은 다리가 필요합니다. 62 00:03:25,234 --> 00:03:28,032 하지만 물에서는 상황이 아주 다르죠. 63 00:03:28,032 --> 00:03:30,705 몸에 작용하는 중력에 부력이 대항해주니까 64 00:03:30,705 --> 00:03:33,243 큰 덩치는 부분적으로 65 00:03:33,243 --> 00:03:35,080 물이 받쳐줍니다. 66 00:03:35,080 --> 00:03:37,164 그러니까 바다는 덩치가 커지려고 하는 67 00:03:37,164 --> 00:03:39,499 종에게는 훌륭한 장소입니다. 68 00:03:39,499 --> 00:03:42,333 흰긴수염고래의 크기에 관한 다른 비밀은 먹이입니다. 69 00:03:42,333 --> 00:03:44,045 아주 큰 입을 가지도록 진화를 해서 70 00:03:44,045 --> 00:03:46,640 아주 양이 많고 영양가 있는 먹이를 71 00:03:46,640 --> 00:03:49,267 많이 잡을 수 있게끔 특화되었습니다. 72 00:03:49,267 --> 00:03:53,427 그래서 그렇게 크게 자랄 수 있는 에너지를 얻는 거죠. 73 00:03:56,063 --> 00:03:58,178 하지만 이제는 왜 흰긴수염고래가 74 00:03:58,178 --> 00:04:00,771 더이상 커지지 않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75 00:04:00,771 --> 00:04:02,869 어쨋건 덩치가 큰 괴물한테는 76 00:04:02,869 --> 00:04:04,447 바다가 천국처럼 들리니까요. 77 00:04:04,447 --> 00:04:07,179 자, 돌진하여 먹는 방법이 흰긴수염고래를 78 00:04:07,179 --> 00:04:08,640 지구를 돌아다니는 동물 중에서 79 00:04:08,640 --> 00:04:10,337 가장 큰 동물로 만들었습니다. 80 00:04:10,337 --> 00:04:13,819 잔뜩 뭉쳐있는 먹잇감을 효율적으로 먹었기 때문이죠. 81 00:04:13,819 --> 00:04:15,656 하지만 거저는 아니었습니다. 82 00:04:15,656 --> 00:04:18,776 과학자들은 돌진하여 먹는 방법에 대한 댓가를 83 00:04:18,776 --> 00:04:21,459 고래가 크릴새우를 먹고 얻은 에너지와 비교했습니다. 84 00:04:21,459 --> 00:04:24,832 과학자들이 발견한 사실은 고래의 몸이 커지면 85 00:04:24,832 --> 00:04:27,375 몸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는 86 00:04:27,375 --> 00:04:31,495 먹이에서 얻은 여분의 에너지보다 훨씬 더 많다는 것입니다. 87 00:04:31,495 --> 00:04:35,592 고래가 먹이를 먹을 때는 가만히 있을 때에 비해서 15배의 에너지가 필요하고 88 00:04:35,592 --> 00:04:39,556 헤엄칠 때보다 5배의 에너지가 더 필요합니다. 89 00:04:39,556 --> 00:04:40,959 계산을 해 본 결과 90 00:04:40,959 --> 00:04:44,782 돌진하여 먹는 동물은 최대 33 미터까지 자랄 수 있는데 91 00:04:44,782 --> 00:04:47,313 대략 흰긴수염고래와 같은 크기입니다. 92 00:04:47,313 --> 00:04:49,780 흰긴수염고래는 크릴 새우한테 많이 고마워해야 합니다. 93 00:04:49,780 --> 00:04:51,406 크릴 새우가 그렇게 작지 않았다면 94 00:04:51,406 --> 00:04:54,872 깔끔하게 진화에 적응할 수 없었을 겁니다. 95 00:04:54,872 --> 00:04:56,924 이렇게 작은 생물들이 96 00:04:56,924 --> 00:04:59,739 흰긴수염고래가 지구상에서 한계를 97 00:04:59,739 --> 00:05:01,557 끝까지 밀어붙일 수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습니다. 98 00:05:01,557 --> 00:05:03,671 오래된 격언인 99 00:05:03,671 --> 00:05:05,518 "당신이 먹는 음식이 곧 당신이다." 가 100 00:05:05,518 --> 00:05:09,131 흰긴수염고래의 세계에는 정말 적용이 되는건인지 궁금하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