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536 --> 00:00:06,236 이 영상은 우리 Patreon들의 도움으로 제작되었습니다. 2 00:00:07,092 --> 00:00:10,912 여러분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만큼 일을 잘 하나요? 3 00:00:10,913 --> 00:00:13,852 돈 관리는 얼마나 잘하나요? 4 00:00:13,852 --> 00:00:16,262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어내는 것은요? 5 00:00:16,262 --> 00:00:20,112 주위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당신은 얼마나 건강한가요? 6 00:00:20,112 --> 00:00:22,864 문법 실력은 평균이상인가요? 7 00:00:22,864 --> 00:00:24,727 우리가 얼마나 능력 있고 8 00:00:24,727 --> 00:00:27,833 다른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뛰어난지 안다는 것은 9 00:00:27,833 --> 00:00:30,172 단순히 자부심을 올려주는 것 이상의 일을 합니다. 10 00:00:30,172 --> 00:00:34,714 이것은 스스로의 결정과 본능에 따라 빠르게 일을 추진할지 11 00:00:34,714 --> 00:00:39,023 아니면 타인의 조언을 구해야 할지 구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12 00:00:39,023 --> 00:00:42,705 그러나 심리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자기 스스로를 13 00:00:42,705 --> 00:00:45,664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을 잘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14 00:00:45,664 --> 00:00:50,001 사실, 우리는 자신의 능력을 종종 과대평가하곤 합니다. 15 00:00:50,001 --> 00:00:52,293 연구원들은 이러한 현상을 16 00:00:52,293 --> 00:00:55,656 "더닝 크루거 효과"라고 부릅니다. 17 00:00:55,656 --> 00:00:58,204 이 효과는 사람들이 왜 100개가 넘는 연구에서 18 00:00:58,204 --> 00:01:02,205 자신이 우월하다는 착각에 빠졌는지를 설명해줍니다. 19 00:01:02,205 --> 00:01:04,544 우리는 스스로가 타인들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는데 20 00:01:04,544 --> 00:01:08,104 이 과대평가의 정도는 수학의 법칙들을 무시할 정도입니다. 21 00:01:08,104 --> 00:01:10,570 두 회사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에게 22 00:01:10,570 --> 00:01:12,665 그들의 업무능력을 스스로 평가하도록 했을 때, 23 00:01:12,665 --> 00:01:15,916 한 회사에서 엔지니어들의 32%와 24 00:01:15,916 --> 00:01:17,982 다른 회사의 엔지니어들의 42%는 25 00:01:17,982 --> 00:01:21,357 자신들의 업무능력이 상위 5%이내라고 대답했습니다. 26 00:01:21,357 --> 00:01:25,195 다른 연구에서도 88%의 미국인 운전자들이 27 00:01:25,195 --> 00:01:29,465 그들 스스로 자신이 평균 이상의 운전 실력을 가졌다고 말했습니다. 28 00:01:29,465 --> 00:01:31,606 이러한 결과들은 한 둘이 아닙니다. 29 00:01:31,606 --> 00:01:34,730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이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30 00:01:34,730 --> 00:01:42,110 건강, 리더십, 윤리, 그리고 그 외 여러 부분에서 더 낫다고 평가합니다. 31 00:01:42,110 --> 00:01:45,756 특히 흥미로웠던 것은 가장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32 00:01:45,756 --> 00:01:50,636 자신들의 능력을 가장 과대평가한다는 것입니다. 33 00:01:50,636 --> 00:01:53,367 무언가에 유난히 취약한 사람들, 예를 들면 논리적인 추론, 34 00:01:53,367 --> 00:01:54,070 문법, 35 00:01:54,070 --> 00:01:55,117 재무관리지식, 36 00:01:55,117 --> 00:01:55,983 수학, 37 00:01:55,983 --> 00:01:57,361 공감 능력, 38 00:01:57,361 --> 00:01:59,277 임상실험을 진행하는 것, 39 00:01:59,277 --> 00:02:00,637 그리고 체스와 같은 40 00:02:00,637 --> 00:02:03,290 각 분야에서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41 00:02:03,290 --> 00:02:08,148 거의 전문가들만큼이나 자신의 능력을 높게 평가합니다. 42 00:02:08,158 --> 00:02:11,397 그렇다면 누가 이러한 망상에 가장 취약할까요? 43 00:02:11,397 --> 00:02:13,268 슬프게도 정답은 우리 모두인데 왜냐하면 44 00:02:13,268 --> 00:02:18,618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취약한 분야가 하나씩 있기 때문입니다. 45 00:02:18,638 --> 00:02:19,820 그런데 왜 그럴까요? 46 00:02:19,820 --> 00:02:24,719 심리학자 더닝과 크루거는 이 효과를 1999년에 처음 발표했고 47 00:02:24,719 --> 00:02:28,873 특정분야의 지식과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48 00:02:28,873 --> 00:02:31,329 이중고에 시달린다고 주장했습니다. 49 00:02:31,329 --> 00:02:35,148 첫 째, 그들은 실수를 하고 잘못된 결론에 도달합니다. 50 00:02:35,148 --> 00:02:40,581 둘 째, 그들은 부족한 지식 때문에 오류를 수정하지도 못합니다. 51 00:02:40,581 --> 00:02:44,449 다시 말하자면, 어설픈 사람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전문지식이 부족하여 52 00:02:44,449 --> 00:02:47,449 스스로 얼마나 부족한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53 00:02:47,449 --> 00:02:49,419 예를 들어, 연구자들이 54 00:02:49,419 --> 00:02:51,979 한 대학 토론 대회의 참가자들을 연구했을 때, 55 00:02:51,979 --> 00:02:55,569 예선전에서 하위 25%에 속했던 팀들이 56 00:02:55,569 --> 00:02:59,623 5경기 중 4경기에서 패배했습니다. 57 00:02:59,623 --> 00:03:03,229 그러나 그들은 60%정도 이기고 있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58 00:03:03,229 --> 00:03:06,001 토론의 규칙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했던 이 학생들은 59 00:03:06,001 --> 00:03:09,550 자신들의 주장이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60 00:03:09,550 --> 00:03:12,491 엉망이 되어 버리는지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61 00:03:12,491 --> 00:03:15,340 더닝 크루거효과는 우리가 약점을 보지 못하게 만드는 62 00:03:15,340 --> 00:03:17,440 자존심에 관한 문제가 아닙니다. 63 00:03:17,440 --> 00:03:21,341 사람들은 보통 약점을 발견하면 그것을 인정합니다. 64 00:03:21,351 --> 00:03:25,651 한 연구에서는 논리 퀴즈에서 처음에 성적이 좋지 않았던 학생들이 65 00:03:25,651 --> 00:03:28,040 짧은 코스의 논리학 강좌를 듣고 나서 66 00:03:28,040 --> 00:03:33,941 자신의 처음의 문제풀이가 끔찍했다는 것을 기꺼이 인정했습니다. 67 00:03:33,961 --> 00:03:38,061 아마 이것이 보통의 실력이나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68 00:03:38,061 --> 00:03:41,291 자신의 능력을 덜 과대평가하는 이유일 것입니다. 69 00:03:41,291 --> 00:03:44,531 그들은 자신이 모르는 것이 많다는 걸 알정도로는 똑똑합니다. 70 00:03:44,531 --> 00:03:49,151 한편, 전문가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박학다식한지 알고 있지요. 71 00:03:49,161 --> 00:03:51,201 그러나 그들은 종종 또 다른 실수를 합니다. 72 00:03:51,201 --> 00:03:56,322 다른 사람들도 박학다식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73 00:03:56,332 --> 00:04:00,072 결국에는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나 능력이 월등한 사람들은 74 00:04:00,083 --> 00:04:04,342 부정확한 자기인식이라는 거품 속에 사로잡히고 맙니다. 75 00:04:04,342 --> 00:04:07,673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자신의 결점을 보지 못합니다. 76 00:04:07,673 --> 00:04:09,461 정말로 유능한 사람들은 77 00:04:09,461 --> 00:04:14,293 얼마나 자신의 능력이 특별한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78 00:04:14,303 --> 00:04:18,483 만일 더닝 크루거 효과가 이를 경험하는 이에게 보이지 않는다면, 79 00:04:18,503 --> 00:04:21,973 여러분이 어떤 것에 실제로 얼마나 소질이 있는지를 80 00:04:21,983 --> 00:04:24,863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요? 81 00:04:24,873 --> 00:04:27,524 첫째,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요청하여 들어보고 82 00:04:27,524 --> 00:04:30,584 그것에 대해 신중히 생각해보세요. 그게 듣기에 속상할 지라도요. 83 00:04:30,584 --> 00:04:33,235 둘 째, 더 중요한 것은 계속 배워나가는 것입니다. 84 00:04:33,235 --> 00:04:34,935 아는 것이 많아질수록 85 00:04:34,935 --> 00:04:40,464 우리의 능력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수 있습니다. 86 00:04:40,464 --> 00:04:43,333 아마도 옛 속담 하나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87 00:04:43,333 --> 00:04:44,835 바보와 논쟁할 때는 88 00:04:44,835 --> 00:04:49,115 상대방이 나와 같은 논쟁을 하고 있지 않다는 걸 알아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