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000 --> 00:00:02.420 00:00:02.420 --> 00:00:04.810 압력과 부피에 대한 논리를 00:00:04.810 --> 00:00:05.630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00:00:05.630 --> 00:00:07.560 그리고 제가 일으켰을 수도 있는 00:00:07.560 --> 00:00:10.660 오해들을 다시 재확립하고 싶습니다 00:00:10.660 --> 00:00:12.064 오해를 불러서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00:00:12.064 --> 00:00:13.730 하지만 이 기회에 압력과 부피에 대한 새로운 논리를 쌓고 00:00:13.730 --> 00:00:15.870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반영해보는데 00:00:15.870 --> 00:00:18.290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00:00:18.290 --> 00:00:22.980 부피를 x축으로 하고 압력을 y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려 봅시다 00:00:22.980 --> 00:00:25.510 첫 번째로 시작하고 싶은 것 중 하나는 00:00:25.510 --> 00:00:30.190 수축기말 압력-부피 관계선이었습니다 00:00:30.190 --> 00:00:31.780 그림처럼 일차함수의 형태로 그려졌습니다 00:00:31.780 --> 00:00:34.140 그래서 이 직선이 00:00:34.140 --> 00:00:36.740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라고 했습니다 00:00:36.740 --> 00:00:39.070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라고 했습니다 00:00:39.070 --> 00:00:41.990 여기서 바로 꺼내고 싶었던 말은 00:00:41.990 --> 00:00:44.780 부피를 증가시킨다는 생각이었습니다 00:00:44.780 --> 00:00:48.672 그래서 노란색 선을 따라 이동할수록 부피가 증가합니다 00:00:48.672 --> 00:00:51.130 이 그래프를 그린 방법은; 말하기 전에 00:00:51.130 --> 00:00:54.060 칠판에 공간을 조금 더 크게 만들겠습니다 00:00:54.060 --> 00:00:56.580 그래서 때로는 부피가 증가하는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 00:00:56.580 --> 00:00:58.844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습니다 00:00:58.844 --> 00:01:00.510 과거에는, 예를 들어, 칠판에 그려진 것처럼 00:01:00.510 --> 00:01:03.450 좌심실을 그렸던 적이 있습니다 00:01:03.450 --> 00:01:06.550 그후 저는 혈액이 좌심실로 들어갈때 00:01:06.550 --> 00:01:08.090 이렇게 말했습니다 00:01:08.090 --> 00:01:10.800 더 많은 혈액이 심장을 채우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00:01:10.800 --> 00:01:13.590 이런 분류의 그림을 그렸었는데 00:01:13.590 --> 00:01:16.210 이러한 심장 그림은 확실히 몇 가지를 말해줍니다 00:01:16.210 --> 00:01:19.580 그 중 하나는 채우기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00:01:19.580 --> 00:01:21.270 이 사실은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00:01:21.270 --> 00:01:22.720 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부분은 00:01:22.720 --> 00:01:24.390 심장이 기본적으로 고정된 부피라는 00:01:24.390 --> 00:01:26.710 관점으로 보는 것입니다 00:01:26.710 --> 00:01:30.820 칠판에 그려져 있는 좌심실이 00:01:30.820 --> 00:01:32.360 고정된 부피를 가진 것처럼 보입니다 00:01:32.360 --> 00:01:34.130 다시 말해, 좌심실 그림은 혈액이 채워지는 것이 00:01:34.130 --> 00:01:36.150 마치 잔에 물을 채우는 것처럼 보이게 만듦니다 00:01:36.150 --> 00:01:39.660 근본적으로, 좌심실이 잔처럼 보이게 만듦니다 00:01:39.660 --> 00:01:43.400 그래서 좌심실에 혈액이 채워지는 올바른 방법은 00:01:43.400 --> 00:01:46.200 이것이 조금 더 적당합니다 00:01:46.200 --> 00:01:49.460 이 좌심실 그림과 같이 기본적으로 더 작은 좌심실이 00:01:49.460 --> 00:01:52.160 혈액으로 채워진다는 것의 00:01:52.160 --> 00:01:56.940 혈액으로 채워진다는 것의 00:01:56.940 --> 00:01:58.310 문맥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00:01:58.310 --> 00:02:01.590 시간이 지나면 완전히 혈액으로 가득 찰 것입니다 00:02:01.590 --> 00:02:03.302 처음에는 작은 부피로 시작합니다 00:02:03.302 --> 00:02:05.510 그 후 혈액이 더 유입되면 좌심실의 부피가 더 커지게 됩니다 00:02:05.510 --> 00:02:07.660 그리고 마지막으로 최대 부피가 될 때까지 채워지게 됩니다 00:02:07.660 --> 00:02:09.990 이렇게 좌심실의 부피가 혈액의 유입에 의해 순차적으로 커지는 것이 00:02:09.990 --> 00:02:12.132 어떤 일이 있는지에 대한 더 정확한 그림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00:02:12.132 --> 00:02:13.590 당연히, 이 세 좌심실은 00:02:13.590 --> 00:02:17.000 서로 다른 시간때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00:02:17.000 --> 00:02:21.320 두 번째 그림은 혈액의 유입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00:02:21.320 --> 00:02:23.930 혈액이 심장을 채우고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00:02:23.930 --> 00:02:26.240 그에 이어 첫번째 그림보다 00:02:26.240 --> 00:02:29.030 부피가 변화한다는 것을 더 확실하게 보여줍니다 00:02:29.030 --> 00:02:33.900 좌심실의 부피는 변하기 때문에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00:02:33.900 --> 00:02:34.740 그게 맞습니다 00:02:34.740 --> 00:02:36.790 두 번째 그림이 좌심실을 보는 더 낳은 관점입니다 00:02:36.790 --> 00:02:39.410 그리고 심장에 혈액이 채워지는 과정이 00:02:39.410 --> 00:02:43.420 풍선과 비슷하다는 유추를 할 수 있습니다 00:02:43.420 --> 00:02:47.560 좌심실은 유리와 같이 고정된 부분이 아니라는 점을 00:02:47.560 --> 00:02:48.850 확실히 하고 싶습니다 00:02:48.850 --> 00:02:50.340 그것은 마치 풍선과 같습니다 00:02:50.340 --> 00:02:52.610 부피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00:02:52.610 --> 00:02:54.250 실제로 부피는 변화합니다 00:02:54.250 --> 00:02:56.750 그래서 두 번째 그림이 더 정확한 심장에 대한 관점입니다 00:02:56.750 --> 00:03:00.280 이런 고정되어있는 것처럼 보인 좌심실을 그려 정말 죄송합니다 00:03:00.280 --> 00:03:02.190 솔직하게 말하자면, 그저 채워지는 과정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싶었고 00:03:02.190 --> 00:03:04.790 햇갈리게 만들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습니다 00:03:04.790 --> 00:03:07.940 너무 급하게 그리느라 그림을 잘못 그린 것 같습니다 00:03:07.940 --> 00:03:09.650 그 점을 명백하게 하고 싶습니다 00:03:09.650 --> 00:03:11.440 이 두 번째 그림이 혈액이 유입되는 올바른 과정입니다 00:03:11.440 --> 00:03:13.330 그럼 한 단계 더 나아가서 00:03:13.330 --> 00:03:16.120 이렇게 했었다면 어떻게 했을까요? 00:03:16.120 --> 00:03:19.890 좌심실의 한 단면을 보기 위해 00:03:19.890 --> 00:03:23.670 각각 다른 상태인 세 개의 좌심실을 칼로 자른다고 했으면 어떨까요? 00:03:23.670 --> 00:03:25.420 만약 칼로 자른 윗부분을 제거하고 00:03:25.420 --> 00:03:29.230 잘라진 부분의 단면을 보게 된다면 00:03:29.230 --> 00:03:31.050 신비롭게 보이지 않을까요? 00:03:31.050 --> 00:03:33.530 신비롭게 보이지 않을까요? 00:03:33.530 --> 00:03:35.840 그리고 심장의 단면을 보게 된다면 00:03:35.840 --> 00:03:40.120 놀라운 모습일 것입니다 00:03:40.120 --> 00:03:42.660 한번 그 단면을 그려 보겠습니다 00:03:42.660 --> 00:03:45.160 그리고 그림을 보는 것이 더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00:03:45.160 --> 00:03:47.960 단면이 왜 그렇게 생겼는지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00:03:47.960 --> 00:03:50.300 가장 작게 보이는 좌심실의 단면은 이렇게 보일 것입니다 00:03:50.300 --> 00:03:54.160 중간에 있는 그림은 그 전보다 조금 더 크게 보일 것입니다 00:03:54.160 --> 00:03:55.900 그리고 가장 큰 좌심실은 훨씬 큰 단면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00:03:55.900 --> 00:03:57.690 그리고 가장 큰 좌심실은 훨씬 큰 단면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00:03:57.690 --> 00:03:59.986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 그림은 단면을 보려주고 있기 때문에 00:03:59.986 --> 00:04:01.360 좌심실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00:04:01.360 --> 00:04:04.290 단지 좌심실의 단면을 보고 있는 것 뿐입니다 00:04:04.290 --> 00:04:07.420 그리고 당연히 세 단면들은 혈액으로 가득 차 있어야 합니다 00:04:07.420 --> 00:04:10.442 저는 이런 방식으로 도표를 사용할 것입니다 00:04:10.442 --> 00:04:12.400 이러한 단면 그림들을 통해 00:04:12.400 --> 00:04:15.750 더 사실적인 감각을 느끼기 위해 좌심실에 혈액이 유입되는 것이 00:04:15.750 --> 00:04:19.160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줄 것입니다 00:04:19.160 --> 00:04:22.420 그 과정에서 나오는 흥미로운 문제들도 보게 될 것입니다 00:04:22.420 --> 00:04:24.240 시작해보죠 00:04:24.240 --> 00:04:25.760 몇 개의 원을 먼저 그립시다 00:04:25.760 --> 00:04:28.140 가장 큰 원은 압력 부피 관계선의 위쪽에 그릴 것입니다 00:04:28.140 --> 00:04:30.050 가장 큰 원은 압력 부피 관계선의 위쪽에 그릴 것입니다 00:04:30.050 --> 00:04:32.600 중간 지점에는 큰 원보다 부피가 조금 더 작은 원이 있다고 합시다 00:04:32.600 --> 00:04:34.190 중간 지점에는 큰 원보다 부피가 조금 더 작은 원이 있다고 합시다 00:04:34.190 --> 00:04:36.440 그리고 가장 아랫부분에는 부피가 더 작은 원을 그립시다 00:04:36.440 --> 00:04:38.260 가장 작은 원은 부피 축 밑에 그립시다 00:04:38.260 --> 00:04:41.410 이제 세가지 부피를 다 그리고 나서 00:04:41.410 --> 00:04:44.340 혈액이 채워지는 과정이기 때문에 당연히 색칠을 해야죠 00:04:44.340 --> 00:04:47.250 하지만 곡선의 가장 밑에 00:04:47.250 --> 00:04:50.990 아주 작은 원이 있는데 부피도 작지만 00:04:50.990 --> 00:04:53.810 아주 작은 원이 있는데 부피도 작지만 00:04:53.810 --> 00:04:57.230 혈액이 채워지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00:04:57.230 --> 00:04:58.850 부피가 0일때, 곡선 상에서 00:04:58.850 --> 00:05:01.060 혈액이 없는 부분일때, 00:05:01.060 --> 00:05:03.777 좌심실은 비어 있을 것입니다 00:05:03.777 --> 00:05:06.110 그리고 사실 혈액을 조금 유입할 것입니다 00:05:06.110 --> 00:05:07.690 한번 혈액을 채운다고 생각해봅시다 00:05:07.690 --> 00:05:09.420 중간까지만요 00:05:09.420 --> 00:05:11.915 그러면 반만 채워진 좌심실이 나옵니다 00:05:11.915 --> 00:05:14.290 혈액을 채우는 과정을 좌심실이 꽉 찰때까지 계속합니다 00:05:14.290 --> 00:05:18.670 원래부터 이 압력-부피 관계선을 따라 좌심실의 부피가 변화하는 것입니다 00:05:18.670 --> 00:05:20.640 여기서 핵심은, 꽉 찬 심실이 되기 전까지는 00:05:20.640 --> 00:05:23.020 압력변화가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00:05:23.020 --> 00:05:25.930 압력변화가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00:05:25.930 --> 00:05:28.990 전에 압력-부피 관계선을 그렸을 때도 00:05:28.990 --> 00:05:32.060 지금 보시는 것과 같이 그렸습니다 00:05:32.060 --> 00:05:34.300 지금 보시는 것과 같이 그렸습니다 00:05:34.300 --> 00:05:37.584 하지만 사실을 말하자면 특히 곡선의 00:05:37.584 --> 00:05:39.250 밑부분이 살짝 다르게 보입니다 00:05:39.250 --> 00:05:40.730 밑부분이 살짝 다르게 보입니다 00:05:40.730 --> 00:05:43.760 그 부분을 지우고 다시 정확하게 그리겠습니다 00:05:43.760 --> 00:05:46.050 이것이 곡선을 더 정확하게 그리는 방법입니다 00:05:46.050 --> 00:05:48.495 원래부터 심실이 꽉 찰때까지의 곡선 부분은 00:05:48.495 --> 00:05:49.370 거의-아니 진짜 압력 변화가 없습니다 00:05:49.370 --> 00:05:51.520 거의 압력 변화라고 말하면 안됩니다 00:05:51.520 --> 00:05:55.200 그리고 꽉 찬 상태가 되었을 때 00:05:55.200 --> 00:05:57.110 비로소 압력의 증가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00:05:57.110 --> 00:06:00.190 압력의 증가의 실현 방식은 부피의 증가에 있습니다 00:06:00.190 --> 00:06:02.805 압력의 증가의 실현 방식은 부피의 증가에 있습니다 00:06:02.805 --> 00:06:04.430 부피의 증가가 바로 압력이 증가하면서 보이게 되는 현상입니다 00:06:04.430 --> 00:06:06.690 심실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보게 되기 시작합니다 00:06:06.690 --> 00:06:08.440 따라서 아주 약한 압력이 있을지라도 00:06:08.440 --> 00:06:10.800 좌심실을 확장시킬 것입니다 00:06:10.800 --> 00:06:13.762 실제로 좌심실의 부피가 커진다는 것을 통해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00:06:13.762 --> 00:06:15.970 처음에 좌심실의 크기 변화는 없습니다 00:06:15.970 --> 00:06:16.862 처음에 좌심실의 크기 변화는 없습니다 00:06:16.862 --> 00:06:19.320 하지만 좌심실에 압력이 가해지기 시작할 때 비로소 00:06:19.320 --> 00:06:21.220 크기가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00:06:21.220 --> 00:06:23.050 제가 왜 이 노란 곡선이 틀렸는지 이제 납득이 가실 것입니다 00:06:23.050 --> 00:06:26.570 제가 왜 이 노란 곡선이 틀렸는지 이제 납득이 가실 것입니다 00:06:26.570 --> 00:06:29.500 헷갈리지 않게 이 노란 곡선을 완전히 지우겠습니다 00:06:29.500 --> 00:06:32.400 수축기 말 압력-부피 관계선을 그렸는데 00:06:32.400 --> 00:06:35.380 추가하고 싶은 것은 확장기 말 압력-부피 관계선 입니다 00:06:35.380 --> 00:06:38.460 추가하고 싶은 것은 확장기 말 압력-부피 관계선 입니다 00:06:38.460 --> 00:06:40.430 우리는 그 곡선이 하얀색 선처럼 그려진다는 것을 대충 알고 있습니다 00:06:40.430 --> 00:06:42.790 수축기 말 관계선과 비교하기 위해서 00:06:42.790 --> 00:06:45.000 마찬가지로 확장기 말 관계선 이름을 노란색으로 쓰겠습니다 00:06:45.000 --> 00:06:49.570 이것이 바로 확장기 말 압력-부피 관계선입니다 00:06:49.570 --> 00:06:53.681 그럼 이번엔 단면적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00:06:53.681 --> 00:06:54.180 그럼 이번엔 단면적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00:06:54.180 --> 00:06:56.450 수축기 말 관계선 그래프에서 무작위 점을 몇 개 고르겠습니다 00:06:56.450 --> 00:06:57.570 수축기 말 관계선 그래프에서 무작위 점을 몇 개 고르겠습니다 00:06:57.570 --> 00:07:00.960 표시한 점은 그려져 있는 각각의 그림에 대응된다고 합시다 00:07:00.960 --> 00:07:05.030 그러면 점에 대응되는 확장기 말에서의 부피-압력 상태를 찾으려면 00:07:05.030 --> 00:07:07.010 점을 부피 축에 수직으로 내려 만나는 점을 보면 되는 것입니다 00:07:07.010 --> 00:07:09.500 점을 부피 축에 수직으로 내려 만나는 점을 보면 되는 것입니다 00:07:09.500 --> 00:07:12.170 두 점 중 더 왼쪽에 있는 점은 특정한 부피를 갖습니다 00:07:12.170 --> 00:07:17.090 더 오른쪽에 있는 점도 마찬가지이고요 00:07:17.090 --> 00:07:19.950 그리고 그 점들을 따라서..... 00:07:19.950 --> 00:07:23.320 사실 그 점들을 확장기 말 압력-부피 관계선에 표시해봅시다 00:07:23.320 --> 00:07:25.390 또 특정한 점에 대응되겠죠 00:07:25.390 --> 00:07:27.870 위에서 그린것과 마찬가지로 비슷하게 다른 곡선에서도 그릴 수 있습니다 00:07:27.870 --> 00:07:32.050 좀 더 왼쪽에 있는 점에 대응되는 그림은 한 이 정도일 것입니다 00:07:32.050 --> 00:07:35.120 그 다른 점은 처음 것보다 조금 클 것입니다 00:07:35.120 --> 00:07:37.330 크기는 첫 번째보다 조금 더 크게 그려지겠죠 00:07:37.330 --> 00:07:38.800 그래서 지금 그림에는 두 개의 곡선이 그려져 있습니다 00:07:38.800 --> 00:07:39.300 그렇죠? 00:07:39.300 --> 00:07:41.591 그리고 이 두 그림들을 위에 그려진 다른 두 그림들과 최대한 00:07:41.591 --> 00:07:42.460 비슷하게 그릴려고 합니다 00:07:42.460 --> 00:07:43.970 색칠도 하고요 00:07:43.970 --> 00:07:47.260 지금 보이는 것이 바로 특정한 점에서의 부피입니다 00:07:47.260 --> 00:07:52.210 실제로 같은 점에서의 각각의 부피들을 비교해 볼때 00:07:52.210 --> 00:07:53.410 비슷하게 보일 것입니다 00:07:53.410 --> 00:07:55.050 전혀 다르게 보이지 않습니다 00:07:55.050 --> 00:07:57.590 이제 남은 문제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00:07:57.590 --> 00:07:59.680 햇갈릴 수 있는 문제인데, 00:07:59.680 --> 00:08:01.830 어떻게 그림이 똑같은데도 00:08:01.830 --> 00:08:06.390 수축기 말 관계선에서의 압력은 말도 안되게 큰 반면 00:08:06.390 --> 00:08:09.650 확장기 말에서는 왜 엄청 작은지 궁금할 것입니다 00:08:09.650 --> 00:08:10.310 확장기 말에서는 왜 엄청 작은지 궁금할 것입니다 00:08:10.310 --> 00:08:12.330 놀랍게도, 압력은 전혀 다르게 보이지 않습니다 00:08:12.330 --> 00:08:16.730 이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 - 제가 생각하기에 근육에서 어떤 00:08:16.730 --> 00:08:21.460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쉬운 요령이 있습니다 00:08:21.460 --> 00:08:24.960 근육 세포들은 z선 내에서 수축과 이완을 하고 있습니다 00:08:24.960 --> 00:08:26.960 근육 세포들은 z선 내에서 수축과 이완을 하고 있습니다 00:08:26.960 --> 00:08:30.760 수축기 말에서도 마찬가지로 수축 현상이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00:08:30.760 --> 00:08:33.080 그래프 선상에서도 마찬가지이고요 00:08:33.080 --> 00:08:38.419 사실, 수축기 말 곡선 모든 부분에서 수축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00:08:38.419 --> 00:08:40.900 몇백개의 화살표를 그리는 것보다 00:08:40.900 --> 00:08:42.799 모든 구간에서 수축이 일어난다는 점을 이용해 그림을 조금 더 00:08:42.799 --> 00:08:44.172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00:08:44.172 --> 00:08:45.880 따라서 몇백개의 화살표를 그리는 대신 00:08:45.880 --> 00:08:47.421 실제로 화살표들을 이어서 그리면 00:08:47.421 --> 00:08:50.060 원래 화살표들이 수축을 의도했던 것과 00:08:50.060 --> 00:08:52.480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00:08:52.480 --> 00:08:53.910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00:08:53.910 --> 00:08:57.040 밧줄이나 밴드처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00:08:57.040 --> 00:09:01.290 밧줄이나 밴드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00:09:01.290 --> 00:09:03.900 밧줄이나 밴드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당기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00:09:03.900 --> 00:09:06.130 위에 그려진 것처럼 밴드가 당기는 것은 00:09:06.130 --> 00:09:08.280 생각해보면 수백개의 작은 근육들이 00:09:08.280 --> 00:09:11.590 수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0:09:11.590 --> 00:09:13.430 조금 더 나아가서, 당신은 00:09:13.430 --> 00:09:16.440 사람들이 밴드를 홱 당기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00:09:16.440 --> 00:09:18.840 이것이 사람들이 밴드를 홱 당기는 것을 00:09:18.840 --> 00:09:21.300 제가 이미지화하는 방식입니다 00:09:21.300 --> 00:09:22.720 밴드를 두고 두 일꾼이 서로 반대로 잡아당긴다고 가정해봅시다 00:09:22.720 --> 00:09:26.175 밴드를 두고 두 일꾼이 서로 반대로 잡아당긴다고 가정해봅시다 00:09:26.175 --> 00:09:27.520 밴드를 두고 두 일꾼이 서로 반대로 잡아당긴다고 가정해봅시다 00:09:27.520 --> 00:09:29.645 만약 그들이 서로 반대로 당기고 있었다면 00:09:29.645 --> 00:09:32.150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수축의 이미지를 줍니다 00:09:32.150 --> 00:09:33.860 이런 일꾼들이 00:09:33.860 --> 00:09:37.800 모든 구간에서 밴드를 잡아당기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00:09:37.800 --> 00:09:40.400 잡아당기는 것을 통해 수축할 수 있는 힘을 얻습니다 00:09:40.400 --> 00:09:43.380 잡아당기는 것을 통해 수축할 수 있는 힘을 얻습니다 00:09:43.380 --> 00:09:46.100 일꾼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밴드를 당기는 것이 00:09:46.100 --> 00:09:48.620 제가 수축을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00:09:48.620 --> 00:09:51.120 그리고 일꾼들이 심장을 둘러싼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방향으로 00:09:51.120 --> 00:09:53.300 밴드를 당긴다고 하는 것이 바로 수축된 심장의 모습이 되는 것입니다 00:09:53.300 --> 00:09:56.270 밴드를 당긴다고 하는 것이 바로 수축된 심장의 모습이 되는 것입니다 00:09:56.270 --> 00:09:59.230 이런 일꾼들이 줄을 엄청 세게 당기고 있기 때문에 00:09:59.230 --> 00:10:02.110 이런 일꾼들이 줄을 엄청 세게 당기고 있기 때문에 00:10:02.110 --> 00:10:03.930 심실 안에서 압력이 커지는 것입니다 00:10:03.930 --> 00:10:07.974 심실 안에서 압력이 커지는 것입니다 00:10:07.974 --> 00:10:10.390 반면 확장기 말에서는 수축이 일어나고 있지 않습니다-- 00:10:10.390 --> 00:10:13.730 왜냐하면-- 확장기 말에 일꾼들이 있나요? 00:10:13.730 --> 00:10:15.980 왜냐하면-- 확장기 말에 일꾼들이 있나요? 00:10:15.980 --> 00:10:16.780 서로 밴드를 잡아당기고 있나요? 00:10:16.780 --> 00:10:18.350 아닙니다 00:10:18.350 --> 00:10:20.860 근육 세포들은 완전히 이완되어 있습니다 00:10:20.860 --> 00:10:21.940 근육 세포들은 완전히 이완되어 있습니다 00:10:21.940 --> 00:10:25.390 일꾼들은 놀고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00:10:25.390 --> 00:10:29.090 일꾼들은 당기는 일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00:10:29.090 --> 00:10:31.372 그 결과, 압력의 증가가 거의 없습니다 00:10:31.372 --> 00:10:32.580 그 결과, 압력의 증가가 거의 없습니다 00:10:32.580 --> 00:10:35.940 압력이 매우 낮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00:10:35.940 --> 00:10:37.789 두 그래프 상의 부피가 같은데도 불구하고 00:10:37.789 --> 00:10:39.830 압력에 차이가 있는 것이 바로 그 이유입니다 00:10:39.830 --> 00:10:42.450 압력에 차이가 있는 것이 바로 그 이유입니다 00:10:42.450 --> 00:10:45.010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마지막 질문 --- 저는 이 질문에 00:10:45.010 --> 00:10:46.843 대답하기 위해 밑에 공간을 만들 것인데-- 00:10:46.843 --> 00:10:51.224 그것이 바로 '수축기 말 심실에 왜 혈액이 들어있느냐' 입니다 00:10:51.224 --> 00:10:52.140 그것이 바로 '수축기 말 심실에 왜 혈액이 들어있느냐' 입니다 00:10:52.140 --> 00:10:54.910 수축기 말은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가는 때가 아닌가요? 00:10:54.910 --> 00:10:57.596 수축기 말은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가는 때가 아닌가요? 00:10:57.596 --> 00:10:59.220 심실에 왜 혈액이 존재해요? 00:10:59.220 --> 00:11:00.990 비어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00:11:00.990 --> 00:11:03.390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압력 부피 루프를 그려볼 수 있습니다 00:11:03.390 --> 00:11:05.560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압력 부피 루프를 그려볼 수 있습니다 00:11:05.560 --> 00:11:07.310 루프를 색깔을 다르게 하기 위해 보라색으로 그릴 것입니다 00:11:07.310 --> 00:11:09.570 루프를 색깔을 다르게 하기 위해 보라색으로 그릴 것입니다 00:11:09.570 --> 00:11:12.260 수축이 보라색 점이 찍혀있는 부분부터 일어난다고 해봅시다 00:11:12.260 --> 00:11:14.230 수축이 보라색 점이 찍혀있는 부분부터 일어난다고 해봅시다 00:11:14.230 --> 00:11:15.970 보라색 점이 수축을 시작하는 지점입니다 00:11:15.970 --> 00:11:19.740 그 다음 보라색 지점에서 올라가는 선을 그릴 것입니다 00:11:19.740 --> 00:11:24.090 그 후 심실에서 박출이 일어난다고 해봅시다 00:11:24.090 --> 00:11:27.860 보라색 선이 또 일꾼을 타고 넘어간다고 해봅시다 00:11:27.860 --> 00:11:28.560 보라색 선이 또 일꾼을 타고 넘어간다고 해봅시다 00:11:28.560 --> 00:11:32.500 마지막으로 보라색 줄을 타고 있는 00:11:32.500 --> 00:11:34.710 부피 구간을 그리겠습니다 00:11:34.710 --> 00:11:37.020 하얀색으로 표시된 부피 구간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00:11:37.020 --> 00:11:38.540 일정한 부피로 볼 수 있습니다 00:11:38.540 --> 00:11:41.490 하얀색 구간 바로 다음부터, 심실박출이 일어납니다 00:11:41.490 --> 00:11:44.240 하얀색 점과 만나는 부분까지 모두 심실박출이 일어나는 구간입니다 00:11:44.240 --> 00:11:48.370 저는 휘어져 있는 선 밑에다가 'ejection' 이라고 쓰겠습니다 00:11:48.370 --> 00:11:51.950 심실박출은 이렇게 둔덕 위로 00:11:51.950 --> 00:11:53.500 일어나고 있습니다 00:11:53.500 --> 00:11:56.500 다시 말해, 하얀색 선으로 잘린 구간 사이에서 심실박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00:11:56.500 --> 00:12:01.500 새로 그은 하얀색 수직선에서는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00:12:01.500 --> 00:12:04.330 저는 제 심장이 꽉 차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00:12:04.330 --> 00:12:06.677 제 심장의 모습은- 조금 더 크게 그립시다 00:12:06.677 --> 00:12:08.510 제 심장은 엄청 가득 차있을 것입니다 00:12:08.510 --> 00:12:10.970 깔끔하게 그려볼께요 00:12:10.970 --> 00:12:13.080 제 심장은 이렇게 생겼을 것입니다 00:12:13.080 --> 00:12:15.780 제 심장은 이렇게 생겼을 것입니다 00:12:15.780 --> 00:12:19.740 제 심장이 이렇게 크면-- 색칠 먼저 하겠습니다 00:12:19.740 --> 00:12:21.780 제 심장이 이렇게 크면-- 색칠 먼저 하겠습니다 00:12:21.780 --> 00:12:25.360 심실박출이 일어날 때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00:12:25.360 --> 00:12:29.250 이 큰 심장을 복사해서 화면 위에다가 보여드리겠습니다 00:12:29.250 --> 00:12:33.580 이 큰 심장을 복사해서 화면 위에다가 보여드리겠습니다 00:12:33.580 --> 00:12:36.410 복사한 심장을 위쪽에다가 끌고 오겠습니다 00:12:36.410 --> 00:12:41.110 지금 위에 있는 심장으로 순환이 시작된다면 00:12:41.110 --> 00:12:43.714 박출을 할 때, 이런 현상이 일어날 것입니다 00:12:43.714 --> 00:12:45.130 박출을 할 때, 이런 현상이 일어날 것입니다 00:12:45.130 --> 00:12:49.210 일정량의 혈액이 빠져나가고 00:12:49.210 --> 00:12:50.820 혈액의 일부분만 남아 있을 것입니다 00:12:50.820 --> 00:12:54.030 제가 검은색으로 색칠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00:12:54.030 --> 00:12:57.580 남은 혈액의 양입니다 00:12:57.580 --> 00:12:58.880 지금 그 부분을 자르겠습니다 00:12:58.880 --> 00:13:01.080 그리고 도넛 모양처럼 생긴 도형이 00:13:01.080 --> 00:13:03.620 바로 일회박출량인 것입니다 00:13:03.620 --> 00:13:05.810 바로 일회박출량인 것입니다 00:13:05.810 --> 00:13:08.930 생각해보면 많은 양의 혈액이 실제로 대동맥으로 이동합니다 00:13:08.930 --> 00:13:11.340 물론, 이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00:13:11.340 --> 00:13:13.690 그리고 혈액의 일부만 남았습니다 00:13:13.690 --> 00:13:18.220 따라서 수축이 시작될 때, 박출 전 단계에서 00:13:18.220 --> 00:13:21.450 혈액이 많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00:13:21.450 --> 00:13:23.220 그 부분에서 시작합니다 00:13:23.220 --> 00:13:25.210 그 후 심장에서 많은 혈액을 잃습니다 00:13:25.210 --> 00:13:27.070 도넛 모양의 이 도형이 박출되는 혈액의 양인 것입니다 00:13:27.070 --> 00:13:29.660 그 후에는 심장에 혈액이 조금 남아있습니다 00:13:29.660 --> 00:13:32.540 그 부분이 바로 수축기 말인 것입니다 그리고 수축기 말에서 00:13:32.540 --> 00:13:35.510 혈액은 조금 남아 있지만, 수축을 시작했을때 만큼 00:13:35.510 --> 00:13:38.520 혈액이 많이 있지는 않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