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7.057,0:00:10.294 16세기에 수학자인 로버트 레코드는 0:00:10.294,0:00:13.044 "지혜의 숫돌"이라는 책을 썼습니다. 0:00:13.044,0:00:15.967 영국 학생들에게 [br]대수학을 가르치기 위해서였죠. 0:00:15.967,0:00:21.115 하지만 지루하게도 " ~와 같다"를 [br]쓰고 또 써야 했습니다. 0:00:21.115,0:00:22.626 그래서 어떻게 했을까요? 0:00:22.626,0:00:27.238 수평으로 평행하게 그은 두 선으로[br]이 말들을 모두 바꿔 썼습니다. 0:00:27.238,0:00:32.265 두 개의 평행선만큼 같은 것은 [br]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 0:00:32.265,0:00:34.954 선 2개 대신 4개를 [br]이용해도 되었을까요? 0:00:34.954,0:00:36.196 물론이죠. 0:00:36.196,0:00:38.289 세로 선을 이용할 수도 있었나요? 0:00:38.289,0:00:40.704 사실, 몇몇 사람들은 [br]그렇게 쓰기도 했습니다. 0:00:40.704,0:00:44.995 등호가 오늘날의 형식으로 [br]굳어지게 된 이유는 없습니다. 0:00:44.995,0:00:48.202 어떻게 보면, 단지 유행이었고,[br]따라하기 같은 거였죠. 0:00:48.202,0:00:50.728 점점 더 수학자들이[br]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0:00:50.728,0:00:55.568 마침내는 같음을 나타내는 표준 기호로 [br]자리잡게 되었습니다. 0:00:55.568,0:00:56.967 수학은 기호로 가득합니다. 0:00:56.967,0:00:57.742 선, 0:00:57.742,0:00:58.562 점, 0:00:58.562,0:00:59.301 화살표, 0:00:59.301,0:01:00.257 영문자, 0:01:00.257,0:01:01.212 그리스 문자, 0:01:01.212,0:01:02.189 윗첨자, 0:01:02.189,0:01:03.348 아랫첨자. 0:01:03.348,0:01:05.959 읽기 어렵게 마구 섞어 놓은 것 같죠. 0:01:05.959,0:01:09.819 이렇게 다양한 부호에 겁을 먹는 것은[br]어찌보면 당연합니다. 0:01:09.819,0:01:13.048 그 부호가 어디서 왔는지도[br]궁금해 하는 것도요. 0:01:13.048,0:01:16.608 때로는 레코드가 등호에 대해 [br]설명한 것처럼 0:01:16.608,0:01:21.508 기호와 기호가 나타내는 대상이[br]연관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0:01:21.508,0:01:25.200 이에 대한 예로는 덧셈을 나타내는[br]더하기 기호가 있습니다. 0:01:25.200,0:01:30.487 이 기호는 "그리고"를 뜻하는 [br]라틴 문자 et 을 축약한 것입니다. 0:01:30.487,0:01:33.840 하지만 때로는 다소 제멋대로[br]기호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0:01:33.840,0:01:36.571 가령 크리스티안 크램프라는 수학자는 0:01:36.571,0:01:40.181 팩토리얼를 느낌표로 표기했습니다. 0:01:40.181,0:01:42.863 단지 이런 긴 계산들을 [br]줄여쓰고 싶었기 때문이지요. 0:01:42.863,0:01:44.683 이런 식으로요. 0:01:44.683,0:01:48.058 사실, 이 모든 기호는 수학자들이[br]발명하거나 채택한 것입니다. 0:01:48.058,0:01:51.972 반복해서 사용하는 걸 피하고 0:01:51.972,0:01:57.022 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br]수학 개념을 작성 하려고 말이죠. 0:01:57.022,0:01:59.683 수학에서 사용 되는 많은 기호는 대부분 0:01:59.683,0:02:03.819 라틴 알파벳이나 그리스 문자입니다. 0:02:03.819,0:02:08.029 문자는 알 수 없는 [br]수량을 나타내기도 하고, 0:02:08.029,0:02:11.191 변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0:02:11.191,0:02:15.251 자주 나타나는[br]특정 숫자를 대신하기도 하지만 0:02:15.251,0:02:21.020 길고 복잡하거나 십진수 형식으로 쓰기 힘든 [br]수를 대신하기도 합니다. 0:02:21.020,0:02:26.351 숫자들의 조합이나 모든 방정식도 역시[br]문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0:02:26.351,0:02:29.489 연산을 나타내기 위해 [br]기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0:02:29.489,0:02:32.193 몇몇은 약어로 특히 [br]귀하게 사용 되는데, 0:02:32.193,0:02:36.882 반복되는 연산을 함축해서[br]기호 하나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0:02:36.882,0:02:41.553 같은 수를 더하는 반복해서 더하는 연산은[br]간단하게 곱셈 기호 표현할 수 있죠. 0:02:41.553,0:02:44.482 예전처럼 많은 공간을[br]차지할 필요도 없습니다. 0:02:44.482,0:02:47.922 같은 수를 반복해서 곱하는 건[br]지수로 나타낼 수 있고, 0:02:47.922,0:02:51.212 이 지수는 곱셈을[br]몇번 반복하는지 알려 줍니다. 0:02:51.212,0:02:54.252 순차적인 규칙으로 [br]덧셈을 하는 긴 연산은 0:02:54.252,0:02:57.213 대문자 시그마 기호로 줄여 씁니다. 0:02:57.213,0:03:01.403 이렇게 기호는 긴 연산을[br]짧은 수식으로 줄여서 0:03:01.403,0:03:05.024 보다 쉽게 연산할 수 있게 해주죠. 0:03:05.024,0:03:07.954 기호는 간단 명료하게 보여 줍니다. 0:03:07.954,0:03:10.637 어떤 방법으로 계산을 할지 말이죠. 0:03:10.637,0:03:13.965 다음의 연산들을 봅시다. 0:03:13.965,0:03:15.924 숫자 하나를 생각하세요. 0:03:15.924,0:03:17.394 그걸 두번 곱하고, 0:03:17.394,0:03:18.964 그 결과에서 하나를 빼고, 0:03:18.964,0:03:21.397 그 결과 값과 같은 값을 곱하고, 0:03:21.397,0:03:23.235 그 결과를 3으로 나누고, 0:03:23.235,0:03:26.645 그리고 하나를 더하면 [br]최종 결과가 나옵니다. 0:03:26.645,0:03:32.186 수학 기호와 규칙 없었다면[br]이런 문자 덩어리를 썼겠죠. 0:03:32.186,0:03:35.796 수학 기호 덕분에 표현이 이렇게 [br]간결하고 우아해졌습니다. 0:03:35.796,0:03:37.496 가끔 등호를 보면, 0:03:37.496,0:03:40.754 등식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0:03:40.754,0:03:43.607 하지만 대부분은 [br]어떤 수나 연산을 대체하죠. 0:03:43.607,0:03:46.678 등식의 이해는[br]기호가 뜻하는 걸 기억하고, 0:03:46.678,0:03:52.017 어느 언어에서건, 이들이 쓰이는[br]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문제입니다. 0:03:52.017,0:03:54.616 우리가 외계 문명을 만나게 되면 0:03:54.616,0:03:58.757 외계인은 완전히 다른 형태의[br]기호들을 사용할 것 입니다. 0:03:58.757,0:04:04.367 하지만 우리처럼 생각한다면,[br]기호를 가지고 있겠죠. 0:04:04.367,0:04:08.636 심지어 그들의 기호는 우리 기호와 [br]일대일로 맞출 수 있을 겁니다. 0:04:08.636,0:04:10.767 외계인들도 자신들만의 기호가 있겠죠,[br]곱셈 기호, 0:04:10.767,0:04:12.127 파이 기호, 그리고 물론 등호까지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