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악질적인 전쟁이 끝날 무렵, 이곳에서 나치 SS 친위대 병사들이 두 명의 독일군을 목메 달았다.] 수잔 필립스: 베를린에서는 아직도 역사의 존재가 생생하게 느껴지죠. 그건 아마도 이 도시가 그 역사의 기억을 지우고 싶지 않아서인 것 같아요. [1943년 3월 1일 추방 아우슈이츠에서 사망] 제가 처음 베를린에 왔을 때, 이 장소를 가장 먼저 방문했었죠. 굉장한 영감을 주는 장소죠, 기차역은. 출발과 이별의 장소이기도 하고요. 이곳은 어떤 그리움이 뭍어나는 장소인 것 같아요. 저 소리가 너무 좋아요. [수잔 필립스] 저는 소리가 사람의 감정과 정신에 주는 영향에 대해 관심이 많아요. 가끔씩 음향적으로, 혹은 건축적으로 흥미로운 장소들을 찾아다니죠. 예를 들면, 카셀(독일의 도시)에서는 이 기차역의 분위기가 저를 끌리게 했죠. "Study for Strings"는 역의 끝자락에서 저 멀리 들려오는 소리를 듣고 영감을 얻었어요. 카셀에서 수많은 유대인들이 테레지엔슈타트로 보내졌다는걸 알게됐죠. 그 곳은 특히 예술인들이 많이 보내졌었던 수용소였어요. 저는 이 음악을 작곡한 파벨 하스에 대해 많이 생각하기 시작했죠. 그가 수용소에 갇혀있었을 때 작곡한 "Study for Strings"라는 작품이요. 이 곡은 적십자에 보낼 프로파간다 영화에 소개될 예정이였죠. 독일은 수용소의 환경이 괜찮다는 행세를 하고 싶어했어요. 너무 비극적이였죠. 그들은 그 장면을 찍고 난 뒤, 곧바로 아우슈이츠로 보내졌거든요. 하스의 원곡은 24명 단원의 오케스트라가 연주했죠. 저는 그중에 2명의 파트만 녹음하기로 결정했어요. 곡 사이사이의 침묵은 목숨을 잃은 다른 단원들의 존재를 상기시키죠. [녹음에 대한 이야기중] 오웬 매티그: 저희는 일부러 함께 작업을 할려고 하진 않았아요. 오히려 같이 살며 자연스럽게 발전됐다고나 할까요. [오웬 매티그: 남편, 스튜디오 매니저] 베를린으로 이사를 오고, 수잔은 굉장히 바빠졌죠. 가끔씩 수잔의 작업을 직접 관리하게 됐어요. 수잔은 굉장히 직감적이고, 어떤 한 공간의 톤과 분위기를 정확하게 집어내죠. 수잔은 공간에 대한 이해도가 뛰어나요. 공간 속, 겹겹이 쌓인 층 아래 어떤 진실이 숨어있을 때, [오스트리아 빈] 그녀는 자그마한 변화를 줌으로써 그것이 자연스레 드러나게 하죠. [영상 속 나레이션] [헬덴 광장] 저는 이 히틀러의 연설 직후 일어난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합병 80주년을 기념하는 작품을 만들어달라고 초대받았죠. 그들은 이 사건을 자랑스러워 하진 않죠. 하지만 책임을 인정할려고 해요. 공공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면 항상 음향 테스트를 하죠. 이 공간에서 소리가 어떻게 들릴지 알기 위해서요. 가끔씩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하기도 하거든요. [작업에 관한 대화] 헬덴 광장은 만능이에요. 어느 작품이던 그 배경으로 인해 정치적인 색채를 띄게되죠. 처음에는 비올라 소리를 가지고 장소를 시험해 봤어요. 그 다음에는 제 목소리를 사용했죠. 노래는 제 삶의 일부에요. 언니들과 항상 노랠 불렀죠. 잠시동안 밴드에 있기도 했고요. 그래서 저는 어떤 장소에서 노래를 부를 때, 그 소리를 통해 공간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느꼈죠. [메트로폴라 1997년] 느끼셨겠지만 제 목소리는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죠. 저는 마치 혼자 있을 때 노래하는 목소리로 부르고 있어요. 제가 슈퍼마켓에서 부른 노래들은 한 시간 마다 매장 스피커로 직접 노래했죠. 신경을 누그러뜨리는 효과가 있죠. 누군가의 사생활을 듣는 것 같은 느낌을 줌으로써. 굉장히 공공적인 장소에서 개인의 존재를 부각시키려 했죠. 저는 노래가 "발견된 오브제"라 생각해요. 따로 노래를 부르고 난 뒤, 그 노래를 어떤 장소나 배경에 접목시켰을 때, 그 장소가 새롭게 보이거나, 가사가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는 거죠. [로우랜드 2010년] "로우랜드"란 이 곡은 16세기에 나온 스코트랜드의 발라드 노래인데, 애인에게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한 선원에 대한 이야기에요. 굉장히 슬픈 곡인데, 주변의 소리가 감상을 방해하죠. 녹음된 제 목소리, 혹은 주변의 기차소리와 차소리. 시끄럽고 자극하는 내 주변의 소리로 인해, 오히려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내 존재를 명확히 인지하게 되죠. [독일 존더스하우젠] 저는 어렸을 때, 미술관 보다는 역사 박물관을 더 선호했어요. 미술은 재미없었거든요. [울프강 벤커 보존전문가] 이 트럼펫은 군에서 사용됐었죠. 이 공간에 총알이 통과했어요. 이런 형태로 보존되어 있는 악기는 이 하나 뿐일 거에요. "전쟁시절 손상된 악기들"이란 제 작품은 벌써 몇년째 진행중이죠. 전쟁으로 인해 손상된 악기들의 소리를 계속 녹음해 왔어요. 이 악기들은 가장 처음 여기 베를린에서 발견했죠. 여기를 시작으로 독일 곳곳의 악기박물관을 찾아가게 됬죠. [작업중 대화] 이 악기들이 더 이상 연주에는 쓰이지 못할 것은 당연했어요. 너무 손상됬기 때문이죠. 하지만 아직 소리를 낼 순 있었어요. 때론 예민하고, 불안정한 소리가 들렸죠. 그리고 숨소리도 중요했어요. 숨소리가 삶의 은유로 느껴질 수도 있다 생각했죠. [전쟁시절 손상된 악기들 2015년] 각 스피커는 "Taps"의 한 음정을 연주하는 각기 다른 악기의 소리를 들려주죠. 이 음악은 원래 전투에서 사용됐어요. 병사들이 돌아와도 된다는 신호였죠. 마지막까지 이 소리를 연주한 사람은 과연 어떻게 됐을까 생각하게 하죠. [빈] ["목소리"(2018년 작)의 공개날] 학생시절, 저는 다분히 정치적인 작품을 만들고 싶어했어요. 그러나 결과물은 불만족스러웠죠. 이 작품은 그 정치적인 메세지가 좀 더 섬세하게 들어가 있어요. 빈에서 가장 평가가 좋았던 음악은 와인잔 네잔의 테두리를 제 손가락으로 건드리며 나는 소리 였어요. 그 소리는 마치 누군가의 목소리 같이 들리죠. 홀로코스트로 인해 희생된, 잊혀져버린 이들의 목소리를 다시 주목시켜 주고 싶었어요. 소리를 통해 공간을 해석하죠. 이 곳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돌아보게 하고요. 소리는 기억을 되살리게 해요. 예전의 시간, 장소로 되돌아 가게 하죠. 저는 이 과거의 소리를 현재로 이끌어 오고 싶어요. 이 영상 시리즈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pbs.org/art21을 찾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