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302 --> 00:00:02.627 하나의 수요곡선에서만 움직이려면, NOTE Paragraph 00:00:02.627 --> 00:00:04.953 다른변인이 일정해야 한다고 했어요. 00:00:04.953 --> 00:00:08.370 그래야 가격 vs 수요량의 관계를 알 수 있다고 했어요. 00:00:08.370 --> 00:00:10.033 이번에는 다른 것 좀 해볼까요? 00:00:10.033 --> 00:00:11.511 하기 전에, 00:00:11.511 --> 00:00:12.996 지난번에 배웠던 것 살펴볼께요. 00:00:12.996 --> 00:00:16.322 첫째, 일정하게 다뤄야 할 것 중에 00:00:16.322 --> 00:00:22.111 자, 한 번 써보도록 하죠. 일정하게...다뤄야... 할.. 00:00:22.111 --> 00:00:25.712 이 곡선을 따라서 움직이려면 다른 조건이 일정해야 한다고 했어요. 00:00:25.712 --> 00:00:28.503 그렇지 않으면 상품가격때문에 00:00:28.503 --> 00:00:30.314 수요곡선이 이동한다고 했어요. 00:00:30.314 --> 00:00:37.756 아니면 곡선이 바뀐다고 했어요. 00:00:37.756 --> 00:00:40.898 또 생각해봐야 할 점은 00:00:40.898 --> 00:00:45.918 제품에 대한 "가격기대"에요. 00:00:45.918 --> 00:00:48.176 몇 개만 해보면 금방 이해하실 거예요. 00:00:48.176 --> 00:00:49.762 경우에 따라 달라지는 것들을 00:00:49.762 --> 00:00:52.717 다음 강의에 수록해놨으니, 참고하시고요.. 00:00:52.717 --> 00:00:55.344 본론으로 들어가보죠. 00:00:55.344 --> 00:00:59.464 수요곡선에서 이동하는 것을 수입이라고 봅시다. 00:00:59.464 --> 00:01:01.192 잘 보시면 어렵지 않으실거예요. 00:01:01.192 --> 00:01:05.122 모든 사람들의 수입이 올라가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00:01:05.122 --> 00:01:07.712 그러니까 이 기간 동안 실제로 인상됐다면? 00:01:07.712 --> 00:01:08.682 갑자기 뭐,, 00:01:08.682 --> 00:01:10.328 쓸 수 있는 돈이 많아지겠죠. 00:01:10.328 --> 00:01:12.636 어쩌면 전자책과 같은 책을 살 수도 있고, 00:01:12.636 --> 00:01:14.670 주어진 가격 표시에서 00:01:14.670 --> 00:01:15.940 수요가 올라갈 거예요. 00:01:15.940 --> 00:01:18.380 다시 말하면, 구매력은 올라가겠죠. 00:01:18.380 --> 00:01:20.109 우리가 구매력이 올라간다고 말할 때, 00:01:20.109 --> 00:01:22.931 전체 수요곡선이 이동하는 걸 의미하지, 00:01:22.931 --> 00:01:25.814 특정한 수요양이 이동하는 건 아니라고 했어요. 00:01:25.814 --> 00:01:30.014 수입이 증가합니다. 그러면 수요도 증가해요. 00:01:30.014 --> 00:01:32.610 자, 써볼께요. 수요가... 증..가..한다. 00:01:32.610 --> 00:01:36.024 기억하세요. 수요가 증가하면, 00:01:36.024 --> 00:01:37.084 수요곡선이 어디로 간다? 00:01:37.100 --> 00:01:38.901 그렇죠. 오른쪽이지요. 00:01:38.901 --> 00:01:42.366 주어진 값에서, 더 많은 수요가 생기는 거예요. 00:01:42.366 --> 00:01:43.987 전체 곡선과 00:01:43.987 --> 00:01:45.268 전체 수요표가 변하는 겁니다. 00:01:45.268 --> 00:01:48.826 똑같이, 수입이 낮아졌어요. 수요가 줄어들겠네요. 00:01:48.826 --> 00:01:49.872 앞으로 공부해 볼 내용이지만, 00:01:49.872 --> 00:01:51.561 진짜 재미있는 부분이에요. 00:01:51.561 --> 00:01:53.428 매번 그런 건 아니고, 이 경우에 말이에요. 00:01:53.428 --> 00:01:58.380 일반 상품에게 해당하는 말라고 칩시다. 00:01:58.380 --> 00:02:00.533 정..상..재 00:02:00.533 --> 00:02:03.226 다음시간에는 "열등재"에 대해 공부할 거예요. 00:02:03.226 --> 00:02:05.426 정의 내린 걸로 봤을 때, 00:02:05.426 --> 00:02:07.456 여기에서 굳이 배울 내용은 00:02:07.456 --> 00:02:09.820 아니겠네요. 00:02:09.820 --> 00:02:12.138 또 다른 요인으로는 00:02:12.138 --> 00:02:15.628 인구가 있어요. 00:02:15.628 --> 00:02:18.135 인구가 올라가면, 00:02:18.135 --> 00:02:20.143 확실히, 어떤 가격 지점에서든지 00:02:20.143 --> 00:02:21.798 더 많은 사람들이 원할 거예요. 00:02:21.798 --> 00:02:23.397 그래서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00:02:23.397 --> 00:02:25.212 구매력을 높이죠. 00:02:25.212 --> 00:02:28.888 인구가 낮아지면요? 00:02:28.888 --> 00:02:32.201 수요가 낮아지고,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겠네요. 00:02:32.201 --> 00:02:33.679 세번째 요인으로 00:02:33.679 --> 00:02:35.647 기억하실 것은 수요를 변화시키지 않기 위해 00:02:35.647 --> 00:02:37.487 다른 모든 조건을 일정하게 했다는 사실이에요. 00:02:37.487 --> 00:02:40.572 마지막으로 선호도입니다. 00:02:40.572 --> 00:02:42.078 사람들의 취향을 살펴보세요. 00:02:42.079 --> 00:02:43.752 특정한 수요곡선에서 막 움직여도, 00:02:43.752 --> 00:02:46.903 취향이란 잘 안 변하죠. 00:02:46.903 --> 00:02:50.574 취향이 변한다면, 곡선도 아마 변할 거예요. 00:02:50.574 --> 00:02:56.484 예를 들어 볼께요. 그 책 저자가 00:02:56.484 --> 00:02:58.575 갑자기 인기있어 졌어요. 00:02:58.575 --> 00:03:01.082 사람들이 다 보는 토크쇼에서 00:03:01.082 --> 00:03:03.346 거기서 이 책이 베스트셀러라는 걸 알게 되죠. 00:03:03.346 --> 00:03:05.302 그러면 선호도가 올라갑니다. 00:03:05.302 --> 00:03:07.902 그래서 전체 수요도 올라가고요. 00:03:07.902 --> 00:03:09.516 주어진 가격 지점에서 00:03:09.516 --> 00:03:11.322 더 많은 사람들이 책을 사겠죠. 00:03:11.322 --> 00:03:13.665 반면, 똑같은 토크쇼인데, 00:03:13.665 --> 00:03:16.160 저자의 더러운 과거를 00:03:16.160 --> 00:03:18.617 폭로했어요. 00:03:18.617 --> 00:03:20.486 알고봤더니, 책 전체를 표절했다. 00:03:20.486 --> 00:03:22.800 그럼 수요는 당장 내려가죠. 00:03:22.800 --> 00:03:25.050 가격 지점과 상관없이, 00:03:25.050 --> 00:03:26.429 전체 곡선은 00:03:26.429 --> 00:03:32.380 수요량은 실제로 내려가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