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수요곡선에서만 움직이려면, 다른변인이 일정해야 한다고 했어요. 그래야 가격 vs 수요량의 관계를 알 수 있다고 했어요. 이번에는 다른 것 좀 해볼까요? 하기 전에, 지난번에 배웠던 것 살펴볼께요. 첫째, 일정하게 다뤄야 할 것 중에 자, 한 번 써보도록 하죠. 일정하게...다뤄야... 할.. 이 곡선을 따라서 움직이려면 다른 조건이 일정해야 한다고 했어요. 그렇지 않으면 상품가격때문에 수요곡선이 이동한다고 했어요. 아니면 곡선이 바뀐다고 했어요. 또 생각해봐야 할 점은 제품에 대한 "가격기대"에요. 몇 개만 해보면 금방 이해하실 거예요. 경우에 따라 달라지는 것들을 다음 강의에 수록해놨으니, 참고하시고요.. 본론으로 들어가보죠. 수요곡선에서 이동하는 것을 수입이라고 봅시다. 잘 보시면 어렵지 않으실거예요. 모든 사람들의 수입이 올라가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그러니까 이 기간 동안 실제로 인상됐다면? 갑자기 뭐,, 쓸 수 있는 돈이 많아지겠죠. 어쩌면 전자책과 같은 책을 살 수도 있고, 주어진 가격 표시에서 수요가 올라갈 거예요. 다시 말하면, 구매력은 올라가겠죠. 우리가 구매력이 올라간다고 말할 때, 전체 수요곡선이 이동하는 걸 의미하지, 특정한 수요양이 이동하는 건 아니라고 했어요. 수입이 증가합니다. 그러면 수요도 증가해요. 자, 써볼께요. 수요가... 증..가..한다. 기억하세요.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곡선이 어디로 간다? 그렇죠. 오른쪽이지요. 주어진 값에서, 더 많은 수요가 생기는 거예요. 전체 곡선과 전체 수요표가 변하는 겁니다. 똑같이, 수입이 낮아졌어요. 수요가 줄어들겠네요. 앞으로 공부해 볼 내용이지만, 진짜 재미있는 부분이에요. 매번 그런 건 아니고, 이 경우에 말이에요. 일반 상품에게 해당하는 말라고 칩시다. 정..상..재 다음시간에는 "열등재"에 대해 공부할 거예요. 정의 내린 걸로 봤을 때, 여기에서 굳이 배울 내용은 아니겠네요. 또 다른 요인으로는 인구가 있어요. 인구가 올라가면, 확실히, 어떤 가격 지점에서든지 더 많은 사람들이 원할 거예요. 그래서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 구매력을 높이죠. 인구가 낮아지면요? 수요가 낮아지고, 곡선은 왼쪽으로 이동하겠네요. 세번째 요인으로 기억하실 것은 수요를 변화시키지 않기 위해 다른 모든 조건을 일정하게 했다는 사실이에요. 마지막으로 선호도입니다. 사람들의 취향을 살펴보세요. 특정한 수요곡선에서 막 움직여도, 취향이란 잘 안 변하죠. 취향이 변한다면, 곡선도 아마 변할 거예요. 예를 들어 볼께요. 그 책 저자가 갑자기 인기있어 졌어요. 사람들이 다 보는 토크쇼에서 거기서 이 책이 베스트셀러라는 걸 알게 되죠. 그러면 선호도가 올라갑니다. 그래서 전체 수요도 올라가고요. 주어진 가격 지점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책을 사겠죠. 반면, 똑같은 토크쇼인데, 저자의 더러운 과거를 폭로했어요. 알고봤더니, 책 전체를 표절했다. 그럼 수요는 당장 내려가죠. 가격 지점과 상관없이, 전체 곡선은 수요량은 실제로 내려가는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