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921 --> 00:00:05,151 여러분은 실제로 읽지 않는 연구 결과를 대화 중에 2 00:00:05,175 --> 00:00:08,547 인용했던 적이 있나요? 3 00:00:08,571 --> 00:00:10,609 (웃음) 4 00:00:10,633 --> 00:00:13,306 그 날 저는 친구와 커피를 마시고 있었어요. 5 00:00:13,320 --> 00:00:15,985 제가 말했죠 "있잖아, 나 커피가 여성의 우울증 발병 위험을 6 00:00:16,009 --> 00:00:19,178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읽었어" 7 00:00:20,175 --> 00:00:25,135 하지만 사실은 트위터에 누가 올린 글이었죠. 8 00:00:25,476 --> 00:00:27,104 (웃음) 9 00:00:27,128 --> 00:00:28,307 거기엔 10 00:00:28,331 --> 00:00:29,498 (웃음) 11 00:00:29,522 --> 00:00:33,678 "커피가 여성의 우울중 발병 위험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는 새 연구가..." 12 00:00:33,702 --> 00:00:35,188 (웃음) 13 00:00:35,212 --> 00:00:39,672 이 트윗은 '뉴욕타임즈'블로그 링크를 달고 있었고 14 00:00:39,696 --> 00:00:44,643 게스트 블로거가 "라이브 사이언스" 에서 찾아낸 연구 결과를 번역한 것이었죠. 15 00:00:44,643 --> 00:00:46,569 그 정보는 원래 16 00:00:46,593 --> 00:00:50,037 하버드 대학의 공공 보건 뉴스 사이트의 것이고 17 00:00:50,061 --> 00:00:53,355 실제 연구의 개요를 인용한 것인데 18 00:00:53,379 --> 00:00:57,764 아카데미 저널에 게재된 연구 결과를 요약한 것이죠. 19 00:00:57,788 --> 00:00:59,553 (웃음) 20 00:00:59,577 --> 00:01:02,172 연구 자료가 보충된 점만 빼면 여섯 다리만 건너면 누구와도 연결 21 00:01:02,196 --> 00:01:03,506 된다는 말과 비슷하게 들리죠. 22 00:01:03,530 --> 00:01:04,679 (웃음) 23 00:01:04,703 --> 00:01:08,006 따라서 제가 연구 결과를 읽었다고 말할 때 24 00:01:08,030 --> 00:01:14,198 사실은 10년 동안 이뤄진 연구 결과를 59자로 요약한 것을 읽은 셈이죠. 25 00:01:14,222 --> 00:01:16,155 (웃음) 26 00:01:16,179 --> 00:01:18,942 따라서 제가 연구 결과를 읽었다고 말할 때 27 00:01:18,966 --> 00:01:22,054 제가 읽은 것은 실제 저자가 아닌 28 00:01:22,078 --> 00:01:24,799 네 명의 다른 글쓴이가 한데 짜깁기 해 놓은 것이 29 00:01:24,823 --> 00:01:26,720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30 00:01:26,744 --> 00:01:28,077 마침내 저에게 도착한 것이죠. 31 00:01:28,823 --> 00:01:30,387 별로 좋아보이지 않네요. 32 00:01:30,886 --> 00:01:34,045 하지만 실제 연구 결과를 접하는 것은 어려워요. 33 00:01:34,069 --> 00:01:37,965 왜냐하면 학계는 보통 대중 언론과 얽히지 않거든요. 34 00:01:38,982 --> 00:01:40,728 그럼 여러분은 궁금해지겠죠 35 00:01:40,752 --> 00:01:43,561 '왜 학계는 대중 언론과 가까워지지 않는 거지?' 36 00:01:43,585 --> 00:01:47,893 학계의 사람들을 미디어의 권위자보다 좀 더 신뢰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37 00:01:48,760 --> 00:01:49,910 그렇죠? 38 00:01:49,934 --> 00:01:51,085 (웃음) 39 00:01:51,109 --> 00:01:54,680 4,100개의 전문대학과 대학교가 있는 나라에선 40 00:01:54,704 --> 00:01:56,656 그게 마땅해 보입니다. 41 00:01:57,513 --> 00:01:58,663 하지만 그렇지 않아요. 42 00:01:59,087 --> 00:02:00,934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요? 43 00:02:02,505 --> 00:02:05,903 학자들이 대중 매체에 출연하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선 44 00:02:05,927 --> 00:02:08,720 대학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45 00:02:09,497 --> 00:02:10,814 지난 6년간 46 00:02:10,838 --> 00:02:13,458 저는 4개 주에 위치한 일곱 개의 다른 전문대학 및 47 00:02:13,482 --> 00:02:14,743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습니다. 48 00:02:15,473 --> 00:02:17,355 약간 뛰어난 부교수라고 할 수 있겠죠. 49 00:02:17,379 --> 00:02:18,417 (웃음) 50 00:02:18,441 --> 00:02:21,028 동시에 저는 박사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51 00:02:21,458 --> 00:02:23,807 이 모든 대학교에서 52 00:02:23,831 --> 00:02:26,866 연구의 진행 및 발표에 필요한 과정은 같습니다. 53 00:02:27,232 --> 00:02:30,533 첫째, 학자들이 자신의 전문분야에서 연구를 시작합니다. 54 00:02:30,557 --> 00:02:34,708 연구에 필요한 자금을 대기 위해, 학자들은 개인, 공공 후원금에 지원하고 55 00:02:34,732 --> 00:02:36,410 연구가 끝나면 56 00:02:36,434 --> 00:02:38,569 그 결과를 토대로 논문을 작성합니다. 57 00:02:38,879 --> 00:02:41,855 그리고 이를 관련 학회지에 제출합니다. 58 00:02:42,807 --> 00:02:45,180 그리고 동료 평가의 과정을 거치는데요. 59 00:02:45,204 --> 00:02:47,204 같은 분야의 다른 전문가들이 60 00:02:47,228 --> 00:02:49,324 논문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61 00:02:50,553 --> 00:02:52,886 그렇게 논문이 발표되고 나면 62 00:02:52,910 --> 00:02:56,006 영리 기업은 이 정보를 대학이나공공 대학에 63 00:02:56,030 --> 00:03:00,078 저널이나 데이터베이스 구독을 통해 되팔게 됩니다. 64 00:03:01,038 --> 00:03:03,301 대학의 연구 발표는 이런식으로 이뤄지죠. 65 00:03:04,188 --> 00:03:08,417 연구, 논문 작성, 동료 평가, 출판, 반복. 66 00:03:09,315 --> 00:03:12,394 저와 제 친구는 괴물에게 먹이주기라고 부르는데요. 67 00:03:13,657 --> 00:03:16,243 이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68 00:03:17,728 --> 00:03:22,379 첫 번째, 대부분의 학적 연구가 공공 기금의 지원을 받지만 69 00:03:22,403 --> 00:03:24,136 개인, 즉 기업에게 넘어갑니다. 70 00:03:25,268 --> 00:03:29,605 매년, 연방 정부는 600억 달러를 연구비로 지원합니다. 71 00:03:30,498 --> 00:03:32,617 국립 과학 재단에 따르면, 72 00:03:32,641 --> 00:03:35,783 이 금액의 29%만이 공공 연구 대학에게 돌아갑니다. 73 00:03:35,807 --> 00:03:41,045 눈치 빠른 분은 아셨겠지만 이는 174억에 해당하는 금액이죠. 74 00:03:41,707 --> 00:03:42,873 세금입니다. 75 00:03:43,667 --> 00:03:46,001 그런데 겨우 5개의 기업이 76 00:03:46,025 --> 00:03:48,619 공적 자금이 투입된 연구를 배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77 00:03:48,643 --> 00:03:54,881 2014년, 다섯 회사중 하나가 150억 달러의 이윤을 냈습니다. 78 00:03:55,505 --> 00:03:56,838 정말 큰 사업이죠. 79 00:03:57,520 --> 00:04:00,346 바로 여기서 모순점이 생기는데요. 80 00:04:00,370 --> 00:04:03,403 공적 자금이 학자들의 연구에 투입되고 81 00:04:03,427 --> 00:04:06,399 우리가 그 연구 자료를 살펴보기 위해 다시 돈을 내야한다면 82 00:04:07,871 --> 00:04:09,648 돈을 두 번이나 내는 셈이 되죠. 83 00:04:10,855 --> 00:04:12,164 또 다른 큰 문제점은 84 00:04:12,188 --> 00:04:14,911 대부분의 학계가 구독용 일류 저널 외에 다른 곳에서 85 00:04:14,935 --> 00:04:18,207 연구 결과를 발표할 때 별 다른 이득이 없다는 것입니다. 86 00:04:18,988 --> 00:04:21,569 대학은 한 명의 학자가 발표한 학적 결과물을 토대로 87 00:04:21,593 --> 00:04:23,993 정년 제도와 승진 제도를 운영합니다. 88 00:04:24,338 --> 00:04:28,593 따라서 책과 저널에 실린 논문은 학자 세계에서 화폐와 비슷한 역할이죠. 89 00:04:28,617 --> 00:04:32,807 논문을 발표해야 정년을 보장받고 더 많은 연구 지원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90 00:04:33,347 --> 00:04:37,677 하지만 대중 매체에 발표하면 아무런 보상을 받을 수 없죠. 91 00:04:38,780 --> 00:04:41,422 이것이 현 상황입니다. 92 00:04:42,002 --> 00:04:44,069 현재 학자들의 생태계이죠. 93 00:04:44,820 --> 00:04:47,033 하지먼 저는 이 방향이 올바른 방향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94 00:04:47,776 --> 00:04:50,839 단순한 변화를 통해서 이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95 00:04:52,403 --> 00:04:55,093 첫째로, 논문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죠. 96 00:04:56,069 --> 00:05:00,037 대학은 학자들에게 단순히 구독용 저널 뿐만 아니라 97 00:05:00,061 --> 00:05:02,102 대중 매체와 같은 열린 매체에 98 00:05:02,126 --> 00:05:04,895 논문을 발표해도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함으로써 99 00:05:04,919 --> 00:05:08,847 현상황을 바꿀 도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100 00:05:09,673 --> 00:05:12,633 현재 여러 학문 분야에서 논문 자유 열람제 운동이 101 00:05:12,657 --> 00:05:13,982 그 성과를 내기 시작했고 102 00:05:14,006 --> 00:05:17,037 다행히도, 다른 큰 손들 역시 그 중요성을 알아차리기 시작했습니다. 103 00:05:18,252 --> 00:05:21,934 구글 스콜라는 자유 열람제 연구 결과물을 104 00:05:21,958 --> 00:05:23,958 검색하고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105 00:05:25,077 --> 00:05:28,291 미 의회는 작년, 1억 달러 이상 106 00:05:28,315 --> 00:05:31,754 공적 자금이 투입된 학계의 연구 자료들은 107 00:05:31,778 --> 00:05:34,831 자유 열람제를 통해 모두 공개되어야 한다는 108 00:05:34,855 --> 00:05:36,847 취지의 법안을 제출했습니다. 109 00:05:37,488 --> 00:05:42,484 그리고 올해, NASA는 도서관을 일반 대중에게 개방했습니다. 110 00:05:43,353 --> 00:05:46,614 이제 자유 열람제가 탄력을 받기 시작헀죠. 111 00:05:47,585 --> 00:05:50,006 하지만 이 자유 열람이 단순히 112 00:05:50,030 --> 00:05:52,647 문서나 연구 자료를 열람하는 것만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113 00:05:53,165 --> 00:05:54,799 그 문서와 연구가 또한 114 00:05:54,823 --> 00:05:57,374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이기도 하죠. 115 00:05:57,830 --> 00:06:00,520 다음으로 번역 문제입니다. 116 00:06:03,497 --> 00:06:08,847 저는 번역이 제가 앞서 설명했던 여섯 다리 걸치면 모두 안다는 말에 117 00:06:08,871 --> 00:06:10,394 들어맞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요. 118 00:06:11,847 --> 00:06:15,935 대신, 학자들이 자신들이 진행하는 연구를 맡아 119 00:06:15,959 --> 00:06:17,800 그 번역물을 대중 매체에 공개하고 120 00:06:17,824 --> 00:06:20,357 이를 통해 대중과 접촉하면 어떨까요? 121 00:06:21,672 --> 00:06:23,037 만약 그렇게 된다면 122 00:06:23,061 --> 00:06:26,315 대중과 학계 사이의 동떨어진 거리도 123 00:06:26,339 --> 00:06:27,806 어느 정도 줄어들 수 있겠죠. 124 00:06:28,276 --> 00:06:32,212 보시다시피, 저는 연구를 바보 수준으로 끌어내리려는 것이 아닙니다. 125 00:06:32,236 --> 00:06:35,443 다만 연구 자료에 자유 열람제를 도입하고 126 00:06:35,467 --> 00:06:39,403 논문 게재 장소를 바꾸고 좀 더 평이한 언어를 사용해서 127 00:06:39,427 --> 00:06:42,117 세금으로 자금을 대는 데 일조하는 일반 대중들도 128 00:06:42,141 --> 00:06:43,942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거죠. 129 00:06:45,395 --> 00:06:48,026 자유 열람제에는 이외에도 다른 이점이 있습니다. 130 00:06:49,427 --> 00:06:52,290 대중에게 자신들의 세금이 어떻게 131 00:06:52,314 --> 00:06:54,458 연구비로 사용되는지 공개함으로써 132 00:06:54,482 --> 00:06:57,736 대학의 정체성을 다시 정의하고 133 00:06:57,760 --> 00:07:01,720 그 정체성이 미식축구 팀이나 134 00:07:01,744 --> 00:07:03,839 학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135 00:07:03,863 --> 00:07:06,358 대학이 발표하는 연구에서 나오도록 하는 거죠. 136 00:07:07,157 --> 00:07:12,141 대중과 학자들 사이에 건강한 관계가 형성되는 날 137 00:07:12,165 --> 00:07:15,365 대중의 연구 참여도 활발해질 것입니다. 138 00:07:16,673 --> 00:07:19,214 어떤 모습일지 상상이 가나요? 139 00:07:20,188 --> 00:07:21,823 사회과학자가 140 00:07:21,847 --> 00:07:25,474 지방 경찰의 감수성 훈련을 돕고 141 00:07:25,498 --> 00:07:29,660 향후 훈련 방향을 위한 매뉴얼을 함께 작성한다면 어떨까요? 142 00:07:30,924 --> 00:07:36,687 혹은 교수들이 지방 공립학교 와 상담을 진행하여 143 00:07:36,711 --> 00:07:39,807 위기에 처한 학생들에게 어떤 식으로 개입할 것인지 정한뒤 144 00:07:39,831 --> 00:07:42,160 그 결론을 지방 신문에 게재한다면 어떨까요? 145 00:07:43,411 --> 00:07:46,649 왜냐하면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는 146 00:07:46,673 --> 00:07:50,234 잘 교육받고 정부를 취득한 대중의 존재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147 00:07:51,030 --> 00:07:55,339 연구가 돈과 관료주의의 벽 뒤에 가려지는 대신 148 00:07:55,363 --> 00:07:58,624 우리 바로 앞에서 공개 된다면 더 좋은 일 아닐까요? 149 00:08:00,419 --> 00:08:03,109 저는 지금 박사 과정 학생이면서 150 00:08:03,133 --> 00:08:06,366 제가 앞으로 속하게 될 집단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151 00:08:06,390 --> 00:08:07,649 (웃음) 152 00:08:07,673 --> 00:08:09,276 바로 몇 년 뒤에 학계에 뛰어들 153 00:08:09,300 --> 00:08:12,674 사람의 행동으로서는 위험한 행동이죠. 154 00:08:13,347 --> 00:08:16,809 하지만 지금처럼 이윤 목적의 저널에만 155 00:08:16,833 --> 00:08:19,657 논문을 게재하면서 그 반향만 들을 뿐 대중에게 닿지 못하는 156 00:08:19,681 --> 00:08:22,053 현상황이 지속된다면 157 00:08:22,077 --> 00:08:25,014 제 대답은 "아니오"가 될 것입니다. 158 00:08:26,085 --> 00:08:29,514 저는 활발하게 참여하는 민주적인 연구 159 00:08:29,538 --> 00:08:33,203 사회에 스며들어 대중들과 함께 대화하는 연구의 가치를 믿습니다. 160 00:08:33,727 --> 00:08:36,235 저는 대중이 단순히 가치있는 청중으로서 뿐만 아니라 161 00:08:36,269 --> 00:08:39,903 유권자이자 참가자로서 존재하는 , 때로는 심지어 전문가가 되는 162 00:08:39,927 --> 00:08:42,385 연구 풍토 속에서 163 00:08:43,066 --> 00:08:46,462 연구하고 싶습니다. 164 00:08:48,852 --> 00:08:52,506 이는 단순히 여러분에게 165 00:08:52,530 --> 00:08:55,926 지식에 접근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닙니다. 166 00:08:56,768 --> 00:09:01,807 이는 학계의 문화를 논문 게재에서 실생활로 167 00:09:01,831 --> 00:09:04,521 말에서 행동으로 옮기는 것입니다. 168 00:09:05,458 --> 00:09:09,188 여러분도 이 생각, 이 희망이 단순히 제 것만이 아니라는 것을 169 00:09:09,212 --> 00:09:11,146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170 00:09:11,743 --> 00:09:15,672 저는 많은 학자, 선생님, 사서와 지역 사회의 구성원들의 171 00:09:15,696 --> 00:09:18,672 어깨 위에 올라서 있습니다. 172 00:09:18,696 --> 00:09:22,117 이들은 더 많은 사람들을 이 대화에 끌어들이는데 호의적입니다. 173 00:09:22,912 --> 00:09:25,516 그리고 저는 여러분도 이 대화에 동참하기를 원합니다. 174 00:09:25,540 --> 00:09:26,706 감사합니다. 175 00:09:26,730 --> 00:09:31,182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