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000,0:00:03.500 (느린 연주음악) 0:00:05.885,0:00:08.601 (발걸음 소리) 0:00:08.601,0:00:11.268 (피아노 음악) 0:00:12.234,0:00:17.234 (피아노 두드리는 소리) (메트로놈이 딸깍하는 소리) 0:00:17.601,0:00:20.684 (연주 음악) 0:00:32.090,0:00:34.500 저는 그림을 그리지도 조각을 만들지도 않습니다. 0:00:34.500,0:00:39.000 제가 만드는 것은 페인트와 관련이 있습니다. 0:00:39.000,0:00:43.110 사진, 드로잉, 그리고 0:00:43.110,0:00:46.170 재료와 관련이 있어요. 나무라던가 금속 같은거요. 0:00:46.170,0:00:49.980 저는 컨셉을 잡고 생각을 발전시켜 나갑니다. 0:00:49.980,0:00:51.675 재료들을 사용해서요. 0:00:51.675,0:00:53.010 (느린 연주 음악) 0:00:53.010,0:00:56.010 우리 모두는 어떤 종류의 재료를 가지고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0:00:56.010,0:00:58.320 그리고 어떻게 그리는지 배울 필요가 없을 수도 있어요. 0:00:58.320,0:01:01.326 예술가가 되기 위해서 어떻게 물감을 칠하는지 배울 필요가 없지요. 0:01:01.326,0:01:04.409 (연주 음악) 0:01:05.730,0:01:07.020 저는 그림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0:01:07.020,0:01:09.300 그림을 그리는 전 과정이 0:01:09.300,0:01:12.120 많은 의미를 저에게 가져다 줬던건 아니었어요. 0:01:12.120,0:01:13.710 그림을 그리면서 저를 압도하게 만드는 감정이 들었긴 했지만요. 0:01:13.710,0:01:15.900 모든 과정은 즉흥적인 데가 있습니다. 0:01:15.900,0:01:19.380 예술 작품을 만들 때면 상상과 직관으로 부터 시작하게 되고 0:01:19.380,0:01:22.650 그렇게 떠오른 아이디어가 좋은 소재가 됩니다. 0:01:22.650,0:01:25.380 저는 정말로 직관같은 것이 있다고 믿습니다. 0:01:25.380,0:01:28.200 상상이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믿어요. 0:01:28.200,0:01:29.242 저는 이런 것들이 관념이 되고 0:01:29.242,0:01:32.790 그들이 문화적으로 실현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0:01:32.790,0:01:36.480 우리가 이해하게 되는 것들인 지식이라고 불리는 것들이 되는 거죠. 0:01:36.480,0:01:39.540 그리고 의미는 우리의 천재성에서 나온 순수한 산물들이 아닙니다. 0:01:39.540,0:01:42.603 그렇지만 그것들은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공간과 구조를 통해 빚어집니다. 0:01:44.670,0:01:47.220 그래서 저는 그 작품을 만드는 과정이 저의 상상이 아닌 0:01:47.220,0:01:51.360 실제 시스템이라는 결과물로 이어지는 종류의 일을 하고 싶었습니다. 0:01:51.360,0:01:52.920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저의 첫 번째 작품이 0:01:52.920,0:01:54.240 "호두나무 숲"이었습니다. 0:01:54.240,0:01:56.010 저는 일련의 호두나무를 사진에 담았고 0:01:56.010,0:01:59.610 농장에 심겨진 나무를 그림 안에 담았습니다. 0:01:59.610,0:02:03.750 그 실루엣은 맨 위의 나무의 형상과 함께 0:02:03.750,0:02:05.450 층을 이루었습니다. 0:02:06.830,0:02:08.640 (연주 음악) 0:02:08.640,0:02:11.700 형태가 일직선을 띄지 않는 나무 사이의 0:02:11.700,0:02:14.280 간격이라는 증거를 만들어 내는 효과가 납니다. 0:02:14.280,0:02:18.630 그리고 제가 사용한 시스템을 통해서 0:02:18.630,0:02:19.863 저는 변화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었어요. 0:02:27.312,0:02:28.890 이런 방식으로 저는 시각적 차이를 0:02:28.890,0:02:30.930 사람들에게 제시하고자 노력합니다. 이런 차이는 0:02:30.930,0:02:34.170 시스템에서 발생하고 다른 컨셉들이 0:02:34.170,0:02:36.360 다른 영역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0:02:36.360,0:02:39.510 그런 영역에는 정치, 성적 차이, 인종적 차이 0:02:39.510,0:02:40.590 계층적 차이 같은 것들이 있을 거에요. 0:02:40.590,0:02:44.430 그림에서 우리는 이런 차이가 0:02:44.430,0:02:47.040 시스템에 의해서 구조화되고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0:02:47.040,0:02:49.620 그리고 사회 및 정치적 영역에서 0:02:49.620,0:02:52.740 우리가 보는 차이는 또한 0:02:52.740,0:02:53.883 시스템 그 자체에 의해서 만들어집니다. 0:02:55.920,0:03:00.920 (들리지 않는 대화) (연주 음악) 0:03:05.182,0:03:07.260 (클래식 음악) 0:03:07.260,0:03:08.790 저는 여러 해동안 메니페스토스라는 0:03:08.790,0:03:09.933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0:03:11.443,0:03:13.720 저는 정치적인 메니페스토를 선택하고 0:03:14.910,0:03:19.350 그와 관련된 텍스트를 선택하고 택스트가 담긴 편지를 써서 0:03:19.350,0:03:20.463 음악 가사로 바꾸어냈습니다. 0:03:22.680,0:03:26.280 그리고 이런 전환은 A부터 G까지의 글자가 0:03:26.280,0:03:30.003 A음계부터 G음계로 바뀌는 단순한 시스템입니다. 0:03:33.390,0:03:34.650 그리고 텍스트의 다른 글자들은 0:03:34.650,0:03:38.313 조용한 비트나 쉼표로 바뀝니다. 0:03:39.176,0:03:42.660 (클래식 플루트 연주) 0:03:42.660,0:03:45.960 이 시스템을 사용해서 일련의 모든 단어를 한 줄로 잇고 0:03:45.960,0:03:50.043 그 뒤에 문자들을 노트로 바꾸고 멜로디를 만들어 냅니다. 0:03:51.990,0:03:54.000 이런 작품들을 만드는 일에 대해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다가 0:03:54.000,0:03:56.402 제가 알게 된 한 가지는 음악이 임의의 시스템으로부터 0:03:56.402,0:03:59.100 만들어 졌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믿으려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0:03:59.100,0:04:02.524 저는 온음계를 사용해서 변환을 만들어내고 0:04:02.524,0:04:06.075 이런 온음계는 사실 멜로디가 되도록 만들어졌습니다. 0:04:06.075,0:04:10.416 (클래식 음악이 계속됨) 0:04:10.416,0:04:13.166 (관객이 박수를 침) 0:04:14.100,0:04:16.071 이 프로젝트는 시작을 한지 0:04:16.071,0:04:19.590 10년이 되었고 그간의 시간은 롤러코스터 같았습니다. 0:04:19.590,0:04:21.540 종종 우리는 이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0:04:21.540,0:04:24.153 그렇지만 어찌 어찌 해서 마침내 우리는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0:04:25.260,0:04:28.020 제가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와 같은 운동이나 0:04:28.020,0:04:29.730 퍼거슨과 같은 이야기들이 뉴스에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0:04:29.730,0:04:34.170 저는 이런 문제들의 핵심에 대해 생각해보고 0:04:34.170,0:04:38.103 문제들을 이겨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 0:04:39.340,0:04:42.923 (클래식 교향곡 음악) 0:05:06.870,0:05:10.920 특별한 작품인 메니페스토 4에서 0:05:10.920,0:05:13.500 우리는 드레드 스캇의 결정이라는 텍스트를 선택했습니다. 0:05:13.500,0:05:17.373 대법원에서 내려진 유명한 판결 중의 하나의 텍스트였습니다. 0:05:18.990,0:05:21.780 드레드와 헤리어트 스캇은 태어나자 마자 노예가 되었고 0:05:21.780,0:05:24.180 자유인이 되고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0:05:24.180,0:05:27.420 당시 사람들 대다수는 소송을 제기하기 위해서 0:05:27.420,0:05:28.830 시민의 자격을 갖추어야 한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0:05:28.830,0:05:31.440 판사도 드레드와 헤리어트가 시민이 되는 일은 0:05:31.440,0:05:32.700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0:05:32.700,0:05:34.050 그들이 백인이 아니었기 때문이죠. 0:05:35.310,0:05:38.220 그리고 오늘날 우리는 프레드릭 더글라스가 쓴 0:05:38.220,0:05:40.410 드레드 스캇 결정에 대한 반응을 텍스트로 볼 수 있습니다. 0:05:40.410,0:05:41.375 저는 그 텍스트의 일부를 가져와서 0:05:41.375,0:05:44.121 음성으로 만들었습니다. 0:05:44.121,0:05:49.114 ♪우리는 누군가가 큰 소리로 기뻐하며 이야기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0:05:49.114,0:05:54.114 ♪노예제 문제가 영원히 해결되었다고요♪ 0:05:56.603,0:05:58.470 저는 현재의 상태가 세상을 구성하며 결국에 미래의 0:05:58.470,0:06:00.540 상태와 서로 관계를 맺게 되고 서로 영향을 주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0:06:00.540,0:06:03.510 이 때 같은 문제가 계속해서 존재하게 됩니다. 0:06:03.510,0:06:06.540 법 체계는 특정한 논리에 기반합니다. 0:06:06.540,0:06:08.101 특정한 언어학적 틀에 기반하는 거죠. 0:06:08.101,0:06:10.110 (교향곡과 노래가 계속됨) 0:06:10.110,0:06:14.520 우리는 법이라는 것이 얼마나 독단적인지 0:06:14.520,0:06:16.350 그래서 그 법에 따라 살아야 하는 사람들이 그 법과 0:06:16.350,0:06:18.405 어떻게 관계를 맺고 살고 있는지를 잘 볼 수 있습니다. 0:06:18.405,0:06:23.209 ♪우리는 본질적인 특성을 바꿀 수 없습니다♪ 0:06:23.209,0:06:26.406 (클래식 교향악 음악이 계속됨) 0:06:26.406,0:06:30.646 ♪본질적인 특성♪ 0:06:30.646,0:06:35.396 ♪그는 악을 선으로, 선을 악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0:06:47.442,0:06:50.609 (경쾌한 현대 음악) 0:06:54.480,0:06:56.670 저는 뉴욕시가 지어지기 전에 타임스퀘어에서 0:06:56.670,0:06:59.520 자라던 수목들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 알고 싶어 했습니다. 0:06:59.520,0:07:01.830 우리는 가장 흔하게 자생했던 나무 중의 하나가 0:07:01.830,0:07:03.087 미국 풍나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0:07:03.087,0:07:07.087 (경쾌한 현대 음악이 계속됨) 0:07:09.300,0:07:11.880 자본주의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0:07:11.880,0:07:14.133 자본주의는 돈을 찾고 이동시키며 사라지게 할 수 있다는 겁니다. 0:07:15.060,0:07:17.580 "미국 원주민들이 살던 땅을 백인들이 점유함" 이라는 작품은 0:07:17.580,0:07:19.293 일종의 자본을 찾던 행위를 보여줍니댜. 0:07:20.130,0:07:23.700 그렇지만 뉴욕의 타임스퀘어는 일종의 더 넓은 범위의 자본주의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0:07:23.700,0:07:25.050 그러므로 위아래가 바뀐 것 같은 형상의 나무를 0:07:25.050,0:07:29.015 표현함으로써 작품을 보는 사람들은 0:07:29.015,0:07:31.230 이 도시가 이전에 그곳에 있었던 것들을 제거하고 0:07:31.230,0:07:33.753 만들어진 곳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상기하게 됩니다. 0:07:39.500,0:07:43.620 (신비로운 교향곡 음악) 0:07:43.620,0:07:45.990 움직이는 사슬(Moving Chains)은 0:07:45.990,0:07:47.610 0:07:47.610,0:07:49.890 작품의 중요한 주제는 노예제도의 역사와 0:07:49.890,0:07:51.810 자본주의가 만든 유용한 물건들에 대한 생각입니다. 0:07:51.810,0:07:54.060 그들은 큰 소리가 나는 구조물 앞에서 더 많은 생각을 사람들에게 전해줄 수 있습니다. 0:07:54.060,0:07:54.899 그들은 사슬을 계속 돌아가게 하는 구조물입니다. 0:07:54.899,0:07:59.899 (분명하지 않은 대화) (경쾌한 어쿠스틱 음악) 0:08:02.857,0:08:05.690 (사슬이 움직이며 덜컥거리는 소리가 남) 0:08:09.231,0:08:12.600 움직이는 사슬은 구조물이며 일종의 바지선입니다. 0:08:12.600,0:08:15.423 강가에 설치되도록 의도된 작품이죠. 0:08:16.620,0:08:18.753 교역이 이루어지는 수역에요. 0:08:20.730,0:08:22.860 지붕을 잘 살펴보면 0:08:22.860,0:08:25.353 사슬의 길이가 100피트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0:08:26.700,0:08:29.493 사슬은 두 층으로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0:08:30.630,0:08:33.150 이 구조물의 움직임은 강의 유속과 0:08:33.150,0:08:34.300 관계가 있습니다. 0:08:39.000,0:08:43.410 사슬을 위에 두고 바지선으로 걸어들어갈 때 0:08:43.410,0:08:46.110 0:08:46.110,0:08:47.598 사슬 구조물은 키가 6핕인 사람의 머리 위로 오직 0:08:47.598,0:08:50.040 4피트 만큼의 공간이 있게 됩니다. 0:08:50.040,0:08:51.900 이 사슬이 아주 크기 때문에 0:08:51.900,0:08:55.242 우리는 이 사슬에서 아주 큰 소음이 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0:08:55.242,0:08:58.659 (사슬이 큰 덜컥거리는 소리를 냄) 0:09:21.180,0:09:23.940 그렇게 만든 이유는 극장같은 효과를 내기 위함이었습니다. 0:09:23.940,0:09:27.120 이 그조물을 강렬한 감정적 공간이 드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거든요. 0:09:27.120,0:09:30.870 노예선에서 노예들이 느꼈던 공포와 두려움의 0:09:30.870,0:09:32.583 감정을 관객들에게도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0:09:33.759,0:09:37.530 (사슬이 큰 소리를 냄) 0:09:37.530,0:09:41.580 이렇게 무서운 감정을 만들어내서 작품의 정치적인 0:09:41.580,0:09:43.580 비평이라는 효과를 분명하게 만들 수 있었습니다. 0:09:44.760,0:09:48.030 노예제 구조는 과거 정말로 미국 경제의 0:09:48.030,0:09:50.238 기초를 이루었습니다. 0:09:50.238,0:09:51.930 (빠른 속도의 교향곡 음악) 0:09:51.930,0:09:53.400 저는 이 곳에 서 있습니다. 0:09:53.400,0:09:55.953 우리는 그 역사의 결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0:09:57.180,0:09:58.380 어떻게 하면 우리가 세상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을까요? 0:09:58.380,0:10:00.270 어떻게 하면 모든 사람들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할 수 있을까요? 0:10:00.270,0:10:02.640 저는 그 일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스빈다. 0:10:02.640,0:10:03.930 그렇지만 나쁜 일이 일어날 때면 0:10:03.930,0:10:06.633 우리는 0:10:07.950,0:10:10.309 0:10:10.309,0:10:14.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