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7.183 --> 00:00:09.107 2300년 전 NOTE Paragraph 00:00:09.107 --> 00:00:10.771 알렉산드리아의 통치자들은 00:00:10.771 --> 00:00:14.231 인류의 가장 웅대한 목표 중 하나를 이루고자 했습니다. 00:00:14.231 --> 00:00:18.586 이는 전 세계의 모든 지식들을 한 건물에 모으는 것이었지요. 00:00:18.586 --> 00:00:19.823 전성기에, 00:00:19.823 --> 00:00:23.623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전례 없는 양의 문서들을 소장하고 있었고 00:00:23.623 --> 00:00:27.157 그리스의 위대한 지성인들을 매료시켰습니다. 00:00:27.157 --> 00:00:31.696 그러나 서기 5세기 말, 그 위대했던 도서관은 사라져버립니다. 00:00:31.696 --> 00:00:35.229 많은 이들은 이곳이 심각한 화재로 소멸되었을 것이라 믿었지만 00:00:35.229 --> 00:00:39.482 이 도서관의 흥망성쇠에 대한 진실은 훨씬 더 복잡합니다. NOTE Paragraph 00:00:39.482 --> 00:00:42.783 최초의 건립에 대한 생각은 알렉산더 대왕으로부터 나왔습니다. 00:00:42.783 --> 00:00:44.707 정복자로서의 입지를 세운 후 00:00:44.707 --> 00:00:47.838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였던 그가 관심을 가진 것은 NOTE Paragraph 00:00:47.846 --> 00:00:52.506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에 지식의 제국을 건설하는 것이었습니다. 00:00:52.546 --> 00:00:54.732 그는 공사가 시작되기 전에 죽었으나 00:00:54.732 --> 00:00:56.745 그의 후임자인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00:00:56.745 --> 00:01:01.353 알렉산더가 수립한 박물관과 도서관 계획을 실행하였습니다. NOTE Paragraph 00:01:01.354 --> 00:01:03.740 도시의 왕궁지역에 위치한 00:01:03.740 --> 00:01:05.270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00:01:05.270 --> 00:01:08.113 거대한 그리스 양식의 기둥들을 갖추었을 수도 있고 00:01:08.113 --> 00:01:09.935 이집트의 양식의 영향을 받았거나 00:01:09.935 --> 00:01:11.870 둘 다가 섞였을 지도 모릅니다. 00:01:11.870 --> 00:01:15.061 이 건축물에 대해 남아있는 자료가 없기에 알 수 없지요. 00:01:15.061 --> 00:01:16.239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00:01:16.239 --> 00:01:20.089 이곳에 강당, 교실, 그리고 당연히 책장들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00:01:20.089 --> 00:01:21.958 이 건물이 완성되자마자 00:01:21.958 --> 00:01:26.441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이곳을 주로 그리스와 이집트의 문서들로 채웠습니다. 00:01:26.441 --> 00:01:28.532 그는 알렉산드리아에 학자들을 초청해서 00:01:28.532 --> 00:01:30.842 그의 지원 하에 생활하고 연구하도록 했습니다. 00:01:30.842 --> 00:01:34.490 그들이 작성한 필사본 덕분에 도서관은 성장했으나, 00:01:34.490 --> 00:01:39.695 알렉산드리아의 통치자들은 더 나아가 세계의 모든 책들의 사본을 원했지요. NOTE Paragraph 00:01:39.695 --> 00:01:44.332 다행히도, 알렉산드리아는 지중해 항해의 중심지였습니다. 00:01:44.332 --> 00:01:47.791 프톨레마이오스 3세는 알렉산드리아에 정박하는 배들에게 00:01:47.791 --> 00:01:51.943 복사본을 만들기 위해서 책들을 내놓도록 하는 정책을 세웠습니다. 00:01:51.943 --> 00:01:55.080 일단 도서관의 필경사들이 사본을 제작하면 00:01:55.080 --> 00:01:58.553 원본은 그들이 가지고 사본을 배로 돌려보냈습니다. 00:01:58.553 --> 00:02:00.534 또한 책 찾는 사람들을 고용하여 00:02:00.534 --> 00:02:03.912 새로운 문서를 찾기 위해 지중해를 샅샅이 뒤졌습니다. 00:02:03.912 --> 00:02:07.265 그리고 알렉산드리아의 통치자들은 경쟁자들을 억누르기 위해 00:02:07.265 --> 00:02:12.173 문서의 재료인 이집트 파피루스의 모든 수출을 종식시켰습니다. NOTE Paragraph 00:02:12.173 --> 00:02:16.274 이러한 노력으로 수십만 권의 책들이 알렉산드리아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00:02:16.274 --> 00:02:17.825 도서관이 성장함에 따라, 00:02:17.825 --> 00:02:21.856 어느 때 보다 더 많은 주제들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되었으나 00:02:21.856 --> 00:02:26.689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찾는 것은 오히려 더 어렵게 되었습니다. 00:02:26.689 --> 00:02:32.059 다행히도, 키레네의 칼리마코스라는 학자가 해결책을 찾을 찾다가 00:02:32.059 --> 00:02:34.051 피나케스라는 것을 제작했습니다. 00:02:34.051 --> 00:02:39.328 이는 120권으로 된 세계 최초의 도서 목록표였습니다. NOTE Paragraph 00:02:39.328 --> 00:02:40.745 피나케스를 사용함으로써 00:02:40.745 --> 00:02:43.888 사람들은 늘어나는 소장품들을 탐색해낼 수 있게 되었고 00:02:43.888 --> 00:02:46.721 놀라운 발견들을 해내게 되었습니다. 00:02:46.721 --> 00:02:49.414 콜럼버스가 항해하기 1600년 전, 00:02:49.414 --> 00:02:52.732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깨달았을 뿐만 아니라 00:02:52.732 --> 00:02:55.234 지구의 원주와 반지름까지도 계산해 냈는데, 00:02:55.234 --> 00:02:57.734 그 오차가 실제 크기와 몇 마일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00:02:57.734 --> 00:03:01.330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은 세계 최초의 증기기관을 만들었는데, 00:03:01.330 --> 00:03:03.208 1000년 이상이 지나서 00:03:03.208 --> 00:03:06.638 산업혁명 시기에 와서야 이것이 재발명 되었지요. 00:03:06.638 --> 00:03:13.685 기원전 283년 도서관이 설립된 이후 300년간 번창해나갔습니다. NOTE Paragraph 00:03:13.685 --> 00:03:19.211 그러나 그 후 기원전 48년, 줄리어스 시저가 알렉산드리아를 포위하여 00:03:19.211 --> 00:03:21.800 항구에 정박 중이던 배들을 불태웠습니다. 00:03:21.800 --> 00:03:23.397 수년 동안 학자들은 00:03:23.397 --> 00:03:26.827 이 화염이 도시로 번지면서 도서관이 타버렸다고 믿었습니다. 00:03:26.827 --> 00:03:30.314 화재로 인해 방대한 소장품의 일부가 소실되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00:03:30.314 --> 00:03:32.135 고대의 문서들을 통해 00:03:32.135 --> 00:03:36.661 이 침공 이후에도 몇 세기동안 학자들이 도서관을 방문했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00:03:36.661 --> 00:03:39.445 궁극적으로 이 도서관이 서서히 사라지게 된 것은 00:03:39.445 --> 00:03:42.185 이 도시가 그리스에서 로마제국으로 00:03:42.185 --> 00:03:43.412 그리고 기독교로 00:03:43.412 --> 00:03:45.177 결국 이슬람교도의 손에 넘어가면서 였습니다. 00:03:45.177 --> 00:03:46.553 새로운 통치 집단들은 00:03:46.553 --> 00:03:48.053 도서관의 소장품들을 00:03:48.053 --> 00:03:50.786 자부심의 근원이 아닌 일종의 위협으로 여겼습니다. 00:03:50.786 --> 00:03:52.882 서기 415년, 00:03:52.882 --> 00:03:56.288 기독교 통치자들은 심지어 히파티아라는 수학자를 살해하는데 00:03:56.288 --> 00:03:59.956 그 이유는 그녀가 그들이 불경스럽다고 여기는 00:03:59.956 --> 00:04:03.009 고대 그리스 문서를 연구했기 때문이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4:03.009 --> 00:04:06.893 비록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수많은 문서들은 오래전 사라졌지만 00:04:06.893 --> 00:04:12.515 우리는 여전히 지식을 수집하고 다루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00:04:12.515 --> 00:04:14.737 요즘에는 더 많은 정보들이 존재하고 00:04:14.737 --> 00:04:17.383 이를 보존할 진보된 기술들도 많아졌지만 00:04:17.383 --> 00:04:19.040 그럼에도 확신할 수 없는 것은 00:04:19.040 --> 00:04:22.487 우리의 디지털식 기록이 알렉산드리아의 잉크와 문서들보다 00:04:22.487 --> 00:04:25.790 얼마나 더 파손에 잘 견뎌낼 수 있을까 하는 것 입니다. 00:04:25.790 --> 00:04:29.406 우리의 지식의 저장소가 물리적으로 안전하다 하더라도 00:04:29.406 --> 00:04:32.532 그들이 견뎌내야 할 것은 이보다 더 교활한 00:04:32.532 --> 00:04:34.869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파괴시켰던 00:04:34.869 --> 00:04:36.252 지식에 대한 두려움입니다. 00:04:36.252 --> 00:04:39.791 그리고 과거는 쓸모가 없다는 오만한 믿음입니다. 00:04:39.791 --> 00:04:44.011 하지만 지금의 우리는 이에 대비 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