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니 혼 : 자기 자신과
자신의 일 그리고 관객들 사이에
균형을 잡는 것은 저에게는 아주 어렵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가상의 세계에서 삽니다.
저는 그렇지 않아요.
저는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의 야심은
저의 주변에 있는 것들과의 대화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저는 무엇이 저를 물로 이끌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말 아시겠나요?
만약 물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한다면
그 생각은 곧 폭발하고 말거에요. 왜냐하면 물은 아주 풍부하고
모든 것이면서 아무 것도 아닌 거기도 하거든요.
저는 물이 무엇인지를 계속해서
재발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므로 제가 물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물이 저를 따라온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관계에서 물은
희생을 당하는 쪽이 아니라 정복하는 쪽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탬스 강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그곳은 흥미로운 장소입니다. 도시에 위치한 강이면서
외국인들이 자살을 할 때 가장 그럴듯하게 생각하는 곳이거든요.
템즈 강에서 촬영을 했을 때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어두움이 상당히 실제적이었다는 거에요.
그 어두움은 가상적인 어둠이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심리적인 어둠이었고, 실제적인 어둠이었습니다.
사람들은 삶을 그만두고 싶기 때문에
그곳으로 갑니다.
어두움 속에서도 강은 그림처럼 아름다운 요소를 가집니다.
강을 통해 인간의 조건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게 됩니다.
템즈강은 단지 물이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템즈강은 인류와
물과의 관계를 나타내 보여줍니다.
템즈강은 인간의 필요를 만족시켜줍니다.
이 때 물은 긍정적인 힘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사진은 서로 아주 다른 특징을 가집니다.
같은 사진을 계속 찍을 수 있기는 하지만요.
1분 1초마다 강은 계속해서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곳에 있는 거죠.
우리는 15000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아이슬란드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마을에 와 있습니다.
이곳을 아퀴레이리라고 부릅니다. 레이캬비크 외부에 있는 가장 큰 대학교가 있는 곳이에요.
이 지역의 날씨는 상당히 혹독하기 떄문에 실내에 머물러야 합니다.
이곳에 있는 동안 한 번 이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곳의 인테리어는 대도시와 다르지 않습니다.
작품은
아주 크고 80개 정도의 사진이 걸려 있습니다.
이곳에서 건물을 따라서 흐르듯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의도했죠.
그렇지만 관람객이 누구인지, 그들이 어떻게 건물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건물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몇일, 몇달 또는 몇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저는 작품의 규모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규모에 압도당해야 하며,
그것이 전면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공간에서 분명히 느껴질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남성이 아이슬란드어로 강의를 함]
우리는 자연을 대학교 건물 안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일을 합니다.
그 덕분에 침착해질 수 있어요.
여러분은 학새들이 홀을 따라서 물이 흐르는 것처럼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 덕분에 분위기가 바뀌는 효과가 납니다.
사람들이 물이 흐르는 듯이
함께 움직이는 거죠.
건물 내부에서 물을 보는 것은 놀라운 경험입니다.
혼: 물론
저는 아이슬란드를 언제나 저를 위한 스튜디오 또는
아이디어의 원천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원천이라는 말은
좋은 은유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제가 실제 사냥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를 탐색하고 찾아내는 일을 언제나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일랜드를 떠올릴 때 과거를 생각하지는 않지만
장소 그 자체로서 믄 의미를 지니며
이곳에 있어야 할 필요를 느낍니다.
저는 이 지역을 여러 번 여행했고 등대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습니다.
저는 제가 이곳에서
살 수 있는지 정부에 문의했습니다.
그들은 괜찮다고 했고
그곳에 가서 몇달 정도 날씨를 관찰했습니다.
책도 일고 그림도 그리면서요.
그곳에 심리학적인 치유를 경험했습니다.
그리고 섬과 제가 연결되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곳에는 야망이 없었습니다.
그냥 그곳에 존재하는 거였죠.
정말로 단순한 생활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