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410 --> 00:00:03.900 세포의 감수분열 동영상 마지막 부분에 00:00:03.900 --> 00:00:04.960 2개의 생식세포들이 나왔습니다 00:00:04.960 --> 00:00:07.110 정자와 난자입니다 00:00:07.110 --> 00:00:08.350 정자를 그려봅시다 00:00:08.350 --> 00:00:11.790 정자도 있고 난자도 있어야겠죠 00:00:11.790 --> 00:00:14.810 난자는 다른색으로 그리겠습니다 00:00:14.810 --> 00:00:18.683 그리고 우린 그 아름다운 "이야기"를 다 알고 있습니다 00:00:18.683 --> 00:00:20.221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되면 00:00:20.221 --> 00:00:23.490 엄청난 일들이 연속적으로 일어납니다 00:00:23.490 --> 00:00:27.060 오직 하나의 정자만이 난자 안에 들어갈수 있도록 00:00:27.060 --> 00:00:30.190 난자의 벽이 다른 모든 정자들을 막습니다 00:00:30.190 --> 00:00:31.120 하지만 지금 중요한 것은 00:00:31.120 --> 00:00:35.300 어떻게 이 수정된 난자가 00:00:35.300 --> 00:00:38.346 접합자(zygote)가 된 이후 어떤 과정을 거치느냐 하는 것입니다 00:00:38.348 --> 00:00:42.920 난자가 수정이 되면, 감수분열 동영상에서도 말했듯이 00:00:42.920 --> 00:00:48.680 이들은 반수체(haploid) 입니다 00:00:48.680 --> 00:00:57.367 반수체는 일반 세포의 절반의 DNA (1n)를 갖고 있습니다 00:00:57.367 --> 00:00:59.614 이 정자와 난자가 수정되는 순간 00:00:59.614 --> 00:01:04.412 2배체(diploid)의 접합자가 됩니다 00:01:04.412 --> 00:01:08.285 예쁜 색으로 한번 그려봅시다 00:01:08.285 --> 00:01:10.548 드디어 2배체의 접합자가 되었습니다 00:01:10.548 --> 00:01:16.232 이제 반수체 DNA의 두배가 되는 2n의 DNA를 갖고 00:01:16.232 --> 00:01:21.893 인간이 갖고 있는 보통 세포처럼 완전한 세포가 됩니다 00:01:21.893 --> 00:01:25.242 이것은 이제 2배체의 접합자(zygote)입니다 00:01:25.242 --> 00:01:30.229 수정란을 좀 더 멋지게 표현하는 말입니다 00:01:30.229 --> 00:01:33.890 그리고 이제 이 세포는 드디어 새로운 하나의 생물이 될 준비가 되었습니다 00:01:33.890 --> 00:01:36.385 수정 바로 직후부터 이 접합자에서는 00:01:36.385 --> 00:01:39.169 난할(수정란의 세포분열)이 시작됩니다 00:01:39.169 --> 00:01:42.545 유사분열 (mitosis)로 세포분열을 합니다 00:01:42.545 --> 00:01:45.258 하지만 크기는 거의 그대로입니다 00:01:45.258 --> 00:01:52.218 이 세포는 유사분열로 두개의 세포가 됩니다 00:01:52.218 --> 00:01:54.940 그리고 당연히 둘다 2배체(2n)입니다 00:01:54.940 --> 00:02:01.852 이 세포는 다시 4개로 나뉘게 됩니다 00:02:01.852 --> 00:02:08.207 이것들 하나하나가 모두 첫번째 접합자와 완전히 똑같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00:02:08.207 --> 00:02:12.300 이렇게 분열을 계속해서 만들어진 00:02:12.300 --> 00:02:16.693 이 커다란 세포 집단을 00:02:16.693 --> 00:02:21.377 상실배(morula)라고 부릅니다 00:02:21.377 --> 00:02:23.526 사실 단어 morula(상실배)는 mulberry(상실=뽕나무열매)란 단어에서 왔습니다 00:02:23.526 --> 00:02:25.142 왜냐면 mulberry(뽕나무열매)처럼 생겼기 때문이죠. 00:02:25.142 --> 00:02:27.349 그래서 이제 이걸 단순화하자면 00:02:27.349 --> 00:02:31.627 접합자(zygote)에서 시작합니다 00:02:31.627 --> 00:02:33.397 이것은 수정란입니다 00:02:33.397 --> 00:02:36.470 유사분열을 통해 자신을 복제하기 시작합니다 00:02:36.470 --> 00:02:41.109 마지막엔 세포집단이 되죠 00:02:41.109 --> 00:02:43.626 세포의 숫자는 2의 제곱 형태로 늘어납니다 00:02:43.626 --> 00:02:45.600 초기 단계에서는 거의 모든 세포가 00:02:45.600 --> 00:02:51.650 동시에 분열되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런 상실배가 됩니다 00:02:51.650 --> 00:02:54.994 상실배의 세포가 16개 정도 되기까지 00:02:54.994 --> 00:02:57.984 수정 후 약 4-5일이 걸립니다 00:02:57.984 --> 00:02:59.653 사실 이것 뿐 만이 아닙니다 00:02:59.653 --> 00:03:02.282 여기서 분화 과정이 조금씩 시작되어 00:03:02.282 --> 00:03:05.516 바깥쪽의 세포들이 공모양을 이루게 됩니다 00:03:05.516 --> 00:03:09.453 공모양으로 그림을 그려보겠습니다 00:03:09.453 --> 00:03:13.310 분화가 시작된 바깥쪽 세포가 공모양으로 둘러쌉니다 00:03:13.310 --> 00:03:15.332 이 모습은 절단면입니다 00:03:15.332 --> 00:03:18.805 분화가 점점 진행되면서 00:03:18.805 --> 00:03:21.561 바깥 쪽 세포는 공 모양을 이루고 00:03:21.561 --> 00:03:25.138 안 쪽에는 내부 세포가 한 곳에 모입니다 00:03:25.138 --> 00:03:44.105 바깥 쪽에 있는 세포들을 영양막 (trophoblast)이라고 합니다 00:03:44.105 --> 00:03:54.840 그리고 안 쪽의 세포들이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00:03:54.840 --> 00:04:02.256 안쪽에 있는 세포들을 배아모체 (embryoblast)라고 합니다 00:04:02.256 --> 00:04:07.190 이런 형태로 만들어질 때 어떤 액체가 이 사이를 채우기 시작합니다 00:04:07.190 --> 00:04:13.486 액체가 영양막과 배아모체 사이의 빈틈을 메우면 00:04:13.486 --> 00:04:18.325 상실배는 결국 이런 모양이 됩니다 00:04:18.325 --> 00:04:23.480 영양막, 혹은 외부막이 거대한 공 모양을 이루고 00:04:23.480 --> 00:04:27.746 이 과정이 일어날 때 세포들은 계속 분열을 하고 있으므로 00:04:27.746 --> 00:04:31.309 영양막은 이런 모양이 됩니다 00:04:31.314 --> 00:04:35.295 그리고 배아모체는 한쪽으로 모여듭니다 00:04:35.295 --> 00:04:55.759 때로는 배아모체를 속세포 덩어리 혹은 내세포괴 (inner-cell mass)라고도 합니다 00:04:55.759 --> 00:05:03.703 이부분이 생명체로 전환되는 곳입니다 00:05:03.703 --> 00:05:05.850 이것은 포유류의 난할 과정입니다 00:05:05.850 --> 00:05:06.661 우리 인간이 포유류니까요 00:05:06.661 --> 00:05:10.153 수정란에서 상실배를 거쳐서 00:05:10.153 --> 00:05:13.499 상실배의 세포들이 분화되어 00:05:13.499 --> 00:05:16.743 영양막세포 혹은 외부막이 되고 00:05:16.743 --> 00:05:19.410 한 쪽에서는 배아 모체가 되면 00:05:19.410 --> 00:05:27.389 액체로 가득 찬 공간이 하나 생깁니다 00:05:27.389 --> 00:05:33.469 이것을 포배강 (blastocoel)이라고 합니다 00:05:33.469 --> 00:05:37.514 영어 철자가 특이하죠? 00:05:37.514 --> 00:05:41.337 여기까지 거친 세포를 배반포(blastocyst) 라고 합니다 00:05:41.337 --> 00:05:42.337 이 전체 세포가 배반포 입니다 00:05:42.337 --> 00:05:50.270 배반포 (blastocyst) 00:05:50.270 --> 00:05:54.446 이 세포 단계는 인간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00:05:54.446 --> 00:05:56.772 이것은 혼동될 수도 있는 용어입니다 00:05:56.772 --> 00:06:01.260 왜냐하면 여러 생물학 책에서 상실배를 거치고 나면 00:06:01.260 --> 00:06:03.994 포배(blastula, blastosphere)가 된다고 00:06:03.994 --> 00:06:05.601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00:06:05.601 --> 00:06:20.265 상실배를 거쳐서 포배 (blastula=blastsphere) 00:06:20.265 --> 00:06:25.471 명확히 말하자면 발달 과정에서 포배나 배반포는 완전히 똑같은 단계입니다 00:06:25.471 --> 00:06:31.975 포배는 개구리나 올챙이로 발달 단계를 설명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00:06:31.975 --> 00:06:34.831 우리는 인간과 가장 밀접한 포유류의 발달을 공부하고 있으므로 00:06:34.831 --> 00:06:40.330 우리는 배반포 단계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00:06:40.330 --> 00:06:49.530 포배(blastula)에서는 외부 영양막과 배아모체 같은 00:06:49.530 --> 00:06:54.671 정교한 분화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00:06:54.671 --> 00:06:58.874 우리가 관심이 있는 것은 우리 자신, 인간의 발생에 대한 것이고 00:06:58.874 --> 00:07:02.400 이 동영상도 그것을 알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00:07:02.400 --> 00:07:04.619 우리는 배반포에 집중하도록 하겠습니다 00:07:04.619 --> 00:07:08.453 지금까지 말했던 모든 것 중에 가장 중요한 사실은 00:07:08.453 --> 00:07:16.466 여기 있는 이 작은 초록색 세포들, 배아 모체 혹은 속세포 덩어리라고 불리는 이것들이 00:07:16.466 --> 00:07:19.592 실제 생명체로 전환되는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00:07:19.592 --> 00:07:23.805 그렇다면 이런 질문을 할 수 있겠죠 00:07:23.805 --> 00:07:29.139 여기 있는 보라색 세포들, 밖에 있는 영양막은 어떻게 되나요? 00:07:29.139 --> 00:07:31.261 이 부분은 태반(placenta)이 됩니다 00:07:31.261 --> 00:07:33.473 앞으로 나올 동영상에서 설명하겠지만 00:07:33.473 --> 00:07:38.250 인간의 경우 여기는 태반이 되는 부분입니다 00:07:38.250 --> 00:07:43.200 아기가 어떻게 태어나는지에 관한 동영상에서 이야기 하겠지만 00:07:43.200 --> 00:07:46.142 저 스스로도 지난 1년간 아이가 태어나는 과정을 실제로 배웠습니다 00:07:46.142 --> 00:07:47.580 저희 집에 아기가 태어났거든요 00:07:47.580 --> 00:07:51.320 태반은 배아가 발달할 수 있는 집인 동시에 00:07:51.320 --> 00:07:54.880 인간과 포유류에서 발달하는 태아와 엄마를 연결시켜주는 00:07:54.880 --> 00:08:00.934 접점의 역할을 합니다 00:08:00.934 --> 00:08:04.760 태아와 엄마의 대사를 분리하는 동시에 00:08:04.760 --> 00:08:07.481 서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00:08:07.481 --> 00:08:09.260 여기서는 태반의 역할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00:08:09.260 --> 00:08:10.422 이 동영상의 중점은 00:08:10.422 --> 00:08:15.828 태반에서 분리되어 분화되고 있는 이 세포들은 00:08:15.828 --> 00:08:20.292 지금 이 시점에서는 어떤 것이 될지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00:08:20.292 --> 00:08:26.885 이 부분의 세포와 앞으로 더 분열될 세포들은 신경세포가 될 수도 있고 00:08:26.885 --> 00:08:31.369 이쪽 세포들은 근육 조직이 될 수도 있으며 00:08:31.376 --> 00:08:37.728 이 부분은 간이 될 수도 있습니다 00:08:37.728 --> 00:08:39.540 여기 있는 이 세포들을 00:08:39.540 --> 00:08:41.364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라고 합니다 00:08:41.364 --> 00:08:45.440 이 동영상의 제목이기도 합니다 00:08:45.440 --> 00:08:51.879 이 중 각각의 세포들은 00:08:51.879 --> 00:08:57.193 여기 있는 접합자에서 세포가 분열되자마자 생기는 것들이고 00:08:57.193 --> 00:09:01.844 이것을 난할구 (blastomere)라고 합니다 00:09:01.844 --> 00:09:03.730 아마 배아의 관한 동영상이나 발달에 관한 동영상에서 00:09:03.730 --> 00:09:09.717 왜 이 blast라는 단어가 많이 나오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00:09:09.717 --> 00:09:15.615 그리스어로 포자(spore)라는 뜻의 단어가 blastos입니다 00:09:15.615 --> 00:09:19.972 바이러스를 비롯한 유기체가 포자에서 생성되어 자라나옵니다 00:09:19.972 --> 00:09:21.733 단어의 어원까지 깊이 들어가고 싶지는 않지만 00:09:21.733 --> 00:09:24.970 이것은 spore에서 온 단어이고 여기 있는 모든 것에 blast가 붙습니다 00:09:24.970 --> 00:09:26.961 이 세포들이 모두 난할구(blastomere)들 입니다 00:09:26.961 --> 00:09:31.147 이제 배아줄기세포라고 하면 00:09:31.147 --> 00:09:36.643 배아모체세포나 속세포 덩어리 안에 있는 각각의 난할구들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00:09:36.643 --> 00:09:40.270 난할구라는 용어보다는 00:09:40.270 --> 00:09:43.160 이제부터 배아줄기세포라고 하겠습니다 00:09:43.160 --> 00:09:46.371 여기에 써 보겠습니다 00:09:46.371 --> 00:09:56.352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 00:09:56.352 --> 00:09:59.704 이미 알고 있겠지만 이 세포들이 흥미로운 이유는 00:09:59.704 --> 00:10:01.831 이 세포를 둘러싼 많은 논쟁이 있기 때문입니다 00:10:01.831 --> 00:10:06.335 이 세포 하나하나가 어떤 조직으로도 분화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00:10:06.335 --> 00:10:09.455 그런 기능을 가소성 (plasticity)라고 합니다 00:10:09.455 --> 00:10:12.858 가소성(pasticity) 00:10:12.858 --> 00:10:17.120 플라스틱은 어떤 모양으로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00:10:17.130 --> 00:10:19.630 가소성(platicity)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00:10:19.630 --> 00:10:23.305 많은 다른 것으로 변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00:10:23.305 --> 00:10:29.745 이를 증명하기 위해 하등 생명체를 이용한 많은 실험들이 있었습니다 00:10:29.745 --> 00:10:34.770 만약 몸의 어떤 부분이 심각하게 손상이 되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00:10:34.770 --> 00:10:36.460 신경 세포를 그려보겠습니다 00:10:36.460 --> 00:10:40.590 신경계의 정확한 기작을 설명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00:10:40.590 --> 00:10:46.352 만약 신경 세포의 어느 한 부분에 손상을 입는다면 00:10:46.352 --> 00:10:51.320 몸이 마비될 수도 있고 신경계의 기능이 오작동해서 00:10:51.320 --> 00:10:54.368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이나 알 수 없는 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00:10:54.368 --> 00:11:00.798 여기서 우리는 생각할 수 있겠죠 이 세포들이 어떤 조직으로도 발달할 수 있고 00:11:00.798 --> 00:11:05.640 지금 우리가 이 세포들이 무엇이 될 지 어떻게 알 수 있는지를 밝혀내고 있다는 것을요 00:11:05.640 --> 00:11:08.854 세포를 둘러싼 환경을 잘 살펴보면 00:11:08.854 --> 00:11:11.268 이 세포가 무엇으로 발달될 지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00:11:11.268 --> 00:11:16.846 이렇게 무엇으로든 발달할 수 있는 세포를 00:11:16.846 --> 00:11:21.913 손상된 부위에 겹겹이 이식하면 00:11:21.913 --> 00:11:25.209 이 세포들은 필요한 세포로 전환됩니다 00:11:25.209 --> 00:11:29.913 이 경우에는 신경세포가 될 것입니다 00:11:29.913 --> 00:11:32.320 세포들이 신경세포로 전환되어 손상을 복구하면 00:11:32.320 --> 00:11:34.668 이로인해 생긴 마비 증상 등을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 00:11:34.668 --> 00:11:37.224 그래서 이것은 아주 거대하고 흥미로운 연구분야입니다 00:11:37.224 --> 00:11:40.216 이론적으로는 새로운 기관을 자라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00:11:40.216 --> 00:11:42.328 만약 신장이나 심장 이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다면 00:11:42.328 --> 00:11:46.328 아마도 미래에는 배아줄기세포를 약간 가져다가 00:11:46.328 --> 00:11:50.328 어떤 다른 생명체, 혹은 아직 상상할 수 없는 개체에 주입해서 00:11:50.328 --> 00:11:54.328 대체 심장이나 대체 신장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00:11:54.328 --> 00:11:57.476 배아줄기세포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00:11:57.476 --> 00:12:00.920 어마어마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00:12:00.920 --> 00:12:03.520 정말 그 전까지는 치료가 불가능했던 많은 질병을 치료할 수도 있고 00:12:03.520 --> 00:12:05.476 희망 없이 죽을 수 밖에 없었던 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기도 합니다 00:12:05.476 --> 00:12:08.680 하지만 여기에는 당연히 논쟁이 존재합니다 00:12:08.680 --> 00:12:12.208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00:12:12.208 --> 00:12:15.389 만약 여기서 배아줄기세포를 떼어낸다면 00:12:15.389 --> 00:12:17.261 그 배아를 죽이게 된다는 것이 논쟁의 중심입니다 00:12:17.261 --> 00:12:21.261 인간이 될 수도 있는 배아를 00:12:21.261 --> 00:12:25.261 발달 과정 중에 죽이는 것입니다 00:12:25.261 --> 00:12:29.261 물론 인간으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환경 하에서 00:12:29.261 --> 00:12:34.779 모체와 그 외 모든 것이 갖추어져야 하지만 00:12:34.779 --> 00:12:38.779 배아는 확실히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00:12:38.779 --> 00:12:42.779 이런 이유로 낙태를 반대하는 사람들 쪽에서는 00:12:42.779 --> 00:12:46.779 인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은 어떤 것이라도 생명으로 간주되며 00:12:46.779 --> 00:12:49.253 그것을 죽여서는 안된다고 주장합니다 00:12:49.253 --> 00:12:55.320 그래서 그 사람들은 배아를 죽여서는 안된다고 합니다 00:12:55.320 --> 00:12:59.320 이 동영상은 어떤 쪽의 편을 들려고 만든 것은 아닙니다 00:12:59.320 --> 00:13:02.690 다만 이 세포가 인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00:13:02.690 --> 00:13:04.965 가능성(potential)입니다 00:13:04.965 --> 00:13:08.135 당연히 여기에는 엄청난 논쟁이 있습니다 00:13:08.135 --> 00:13:13.720 그러면 다음 질문은 이 세포들을 왜 그냥 줄기세포가 아니라 00:13:13.720 --> 00:13:17.720 배아줄기세포라고 하는 걸까요? 00:13:17.720 --> 00:13:22.816 왜냐하면 우리 몸에는 이미 성체줄기세포가 있기 때문입니다 00:13:22.816 --> 00:13:28.839 성체 줄기 세포 (somatic stem cell) 00:13:28.839 --> 00:13:31.240 우리 모두 갖고 있는 세포입니다 00:13:31.240 --> 00:13:35.240 이 세포들은 척수에서 적혈구나 몸의 다른 부분을 생성하는 데 쓰입니다 00:13:35.240 --> 00:13:39.240 하지만 문제는 이 세포들은 인간의 모든 기관으로 00:13:39.240 --> 00:13:45.409 성장할 만큼의 가소성은 없다는 것입니다 00:13:45.409 --> 00:13:49.409 현재 이 세포들의 가소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한창 진행중입니다 00:13:49.409 --> 00:13:53.409 만약 성체줄기세포를 떼어내어 가소성을 높일 수만 있다면 00:13:53.409 --> 00:13:57.409 배아줄기세포를 위해 배아를 죽일 필요가 없게 됩니다 00:13:57.409 --> 00:14:01.409 만약 성체줄기세포의 성능이 아주 좋아진다해도 00:14:01.409 --> 00:14:03.802 인간으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00:14:03.802 --> 00:14:06.322 논쟁의 여지는 남게 마련입니다 00:14:06.322 --> 00:14:10.322 하지만 성체줄기세포는 인간으로 발달할 수 없기때문에 00:14:10.322 --> 00:14:14.874 논쟁의 여지가 없습니다 00:14:14.874 --> 00:14:19.887 그에 반해 배아줄기세포는 적절한 모체에 주입시키면 00:14:19.887 --> 00:14:22.880 인간으로 발달할 수 있습니다 00:14:22.880 --> 00:14:24.624 여기서 말하고 싶은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00:14:24.624 --> 00:14:29.992 사실 이 논쟁의 어느 쪽 편을 들고 싶지는 않지만 00:14:29.992 --> 00:14:31.487 사실은 사실이니까요 00:14:31.487 --> 00:14:35.230 배아가 인간으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도 사실이지만 00:14:35.230 --> 00:14:37.719 수백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00:14:37.719 --> 00:14:40.335 두 가지 내용이 모두 정확한 사실이기 때문에 00:14:40.335 --> 00:14:47.559 이 논쟁의 어느 편에 설 지는 이제 여러분이 판단해야 합니다 00:14:47.559 --> 00:14:52.511 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논쟁에서 제외된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00:14:52.511 --> 00:14:56.511 먼저 배아줄기세포주 (embryonic stem cell line)에 대해 00:14:56.511 --> 00:14:58.999 설명하겠습니다 배아줄기세포주는 00:14:58.999 --> 00:15:02.999 배아줄기세포를 하나 떼어다가 00:15:02.999 --> 00:15:06.999 배양 접시에 놓고 분열을 시킵니다 00:15:06.999 --> 00:15:10.135 그러면 세포는 두 개가 되고 네 개가 됩니다 00:15:10.135 --> 00:15:13.679 이 중 하나를 다시 다른 배양접시로 옮겨 분열시키면 00:15:13.679 --> 00:15:15.967 이것들이 줄기세포주 (stem cell line)가 됩니다 00:15:15.967 --> 00:15:20.151 이 세포들은 모두 하나의 배아줄기세포나 00:15:20.151 --> 00:15:22.271 처음에는 난할구였던 세포에서 왔습니다 00:15:22.271 --> 00:15:24.927 이렇게 같은 세포가 대를 이어 지속되는 것을 세포주라고 합니다 00:15:24.927 --> 00:15:29.471 세포주를 배양하기 시작할 때 배아를 죽여야 하므로 00:15:29.471 --> 00:15:31.607 당연히 논쟁이 따릅니다 00:15:31.607 --> 00:15:33.567 하지만 여기서 제가 강조하고 싶은 내용은 00:15:33.567 --> 00:15:36.847 다른 과정에서도 배아가 파괴된다는 것입니다 00:15:36.847 --> 00:15:41.215 그 과정을 체외수정 (in-vitro fertilization)이라고 합니다 00:15:41.215 --> 00:15:45.471 수정을 다루는 다음 동영상에서도 설명하겠지만 00:15:45.471 --> 00:15:49.487 체외수정에서는 모체에서 몇 개의 난자를 꺼내어 사용합니다 00:15:49.487 --> 00:15:51.727 수정이 되고 아이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00:15:51.727 --> 00:15:53.975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00:15:53.975 --> 00:15:56.279 모체에서 많은 양의 난자를 꺼냅니다 00:15:56.279 --> 00:15:59.143 10개에서 30개 정도의 난자를 꺼냈다고 해 봅시다 00:15:59.143 --> 00:16:03.862 모체에서 난자를 꺼내는 수술을 하고 00:16:03.862 --> 00:16:10.902 이 난자들을 아빠나 다른 정자 기증자의 정액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킵니다 00:16:10.902 --> 00:16:17.910 그리고 여기서 수정이 된 난자들은 모두 접합자가 됩니다 00:16:17.910 --> 00:16:21.910 접합자가 된 모든 수정란들을 발달 과정을 거쳐 배반포 단계까지 되도록 키웁니다 00:16:21.910 --> 00:16:26.590 그러면 이 모든 세포들이 배반포 단계로 들어갑니다 00:16:26.590 --> 00:16:32.974 가운데 액체로 가득찬 포배강이 생깁니다 00:16:32.974 --> 00:16:40.379 물론 여기에는 배아줄기세포도 존재합니다 00:16:40.379 --> 00:16:42.819 그리고나서 사람들은 이 세포들 중에 더 건강해 보이는 것, 00:16:42.819 --> 00:16:49.786 혹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는 것들만 골라서 모체에 주입합니다 00:16:49.786 --> 00:16:53.100 지금까지의 모든 과정들은 모두 배양접시 위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00:16:53.100 --> 00:16:55.896 여기 있는 네 개의 세포가 건강해 보이면 00:16:55.896 --> 00:16:59.321 이 세포들을 모체에 주입시킵니다 00:16:59.321 --> 00:17:01.336 모든 과정이 문제 없이 진행되면 00:17:01.336 --> 00:17:02.233 이 중 몇 개는 아기로 자라날 것입니다 00:17:02.233 --> 00:17:06.233 그래서 이것은 발달을 하고 다른 세포들은 발달을 하지 않습니다 00:17:06.233 --> 00:17:10.233 존&케이트 플러스8 드라마를 본 적이 있다면 00:17:10.233 --> 00:17:14.233 최소 한 명의 아이를 얻기 위한 임신 확률을 높이기 위해 00:17:14.233 --> 00:17:16.593 이런 세포들을 여러 개 주입시킨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00:17:16.593 --> 00:17:19.777 때로 7-8개의 세포들을 주입시켜서 8 쌍둥이가 되기도 합니다 00:17:19.777 --> 00:17:24.593 체외 수정을 통한 시험관 아기들 때문에 여러명의 쌍둥이가 나오기도 하고 00:17:24.593 --> 00:17:28.560 리얼리티 쇼에 출연하는 가족들이 생기기도 합니다 00:17:28.560 --> 00:17:30.640 그럼 이 나머지 완벽하게 살아있는 세포들은 00:17:30.640 --> 00:17:33.920 완벽하다고 말 할 수 없는 것들도 있겠지만 이것들은 모두 배아입니다 00:17:33.920 --> 00:17:37.920 완벽하게 살아있든 아니든 이 배아들은 생명으로 발달할 수 있는 00:17:37.920 --> 00:17:41.920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 있는 이 세포와 마찬가지로 00:17:41.920 --> 00:17:45.920 인간으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00:17:45.920 --> 00:17:50.832 그러나 불임 클리닉 중 반이 넘는 곳에서 00:17:50.832 --> 00:17:54.556 이것들을 그냥 내버리거나 파괴시키거나 죽게 내버려둡니다 00:17:54.556 --> 00:17:57.748 그렇지 않다면 이 세포들은 냉동되기도 하지만 00:17:57.748 --> 00:18:00.556 냉동되는 과정에서 세포들은 많이 죽고 달라 붙어버려서 00:18:00.556 --> 00:18:04.556 이들 대부분은 체외 수정 과정에서 00:18:04.556 --> 00:18:10.600 시험관 아기 시술로 완전히 인간으로 성장하는 한 아기 당 00:18:10.600 --> 00:18:14.724 수십 개의 발달 가능한 배아들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00:18:14.724 --> 00:18:21.560 저는 어느쪽 편도 들고 싶지 않지만 만약 여러분이 00:18:21.560 --> 00:18:33.416 배아줄기세포와 관련된 실험에 반대한다면 00:18:33.416 --> 00:18:36.824 그리고 그 이유가 배아를 죽이기 때문이라면 00:18:36.824 --> 00:18:40.824 같은 이유로, 철학적인 근거에서 00:18:40.824 --> 00:18:44.824 시험관 아기를 위한 체외수정도 반대해야 합니다 00:18:44.824 --> 00:18:50.328 두 과정에서 모두 수정란을 죽이니까요 00:18:50.328 --> 00:18:54.848 여기서 더 이상 나가지는 않겠습니다 저는 어느쪽 편도 들고 싶지 않습니다 00:18:54.848 --> 00:18:57.464 하지만 여기서 꼭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이 두 과정이 똑같다는 것입니다 00:18:57.464 --> 00:19:02.152 그런데 배아를 죽이고 배아줄기세포를 연구하는 데 대한 논쟁에서 00:19:02.152 --> 00:19:09.896 이 부분은 쏙 빠져 있습니다 여기서도 많은 배아들이 죽는데 말이죠 00:19:09.896 --> 00:19:15.432 수백 수천 개의 배아들이 파괴되고 냉동되는 것은 00:19:15.432 --> 00:19:19.528 체외 수정 과정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00:19:19.528 --> 00:19:23.432 자 이제 여러분들도 줄기세포를 둘러싼 논쟁에 끼어들만한 00:19:23.432 --> 00:19:25.720 지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00:19:25.720 --> 00:19:28.632 이것은 감수분열에서부터 시작합니다 00:19:28.632 --> 00:19:35.848 감수분열에서 이 생식 세포들이 나오고 난자와 정자가 만나 00:19:35.848 --> 00:19:41.144 수정란이 형성되면 분열해서 상실배가 됩니다 00:19:41.144 --> 00:19:45.144 상실배가 계속 분열하고 분화해서 배반포 단계가 되면 00:19:45.144 --> 00:19:49.144 여기서 줄기세포가 생성됩니다 00:19:49.144 --> 00:19:53.144 이제 가장 뜨거운 논쟁에 끼어들 과학적 지식을 다 알게 되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