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000,0:00:04.360 지난 시간에 오차 함수의[br]개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0:00:04.360,0:00:06.120 기댓값과 혼동하지 0:00.6않기 바랍니다 0:00:06.120,0:00:08.000 같은 표기법을 쓰고[br]있기 때문이죠 0:00:08.000,0:00:09.810 하지만 여기 E는[br]오류를 말합니다 0:00:09.810,0:00:10.840 이 함수는 Reminder 함수로도[br]볼 수 있습니다 0:00:10.840,0:00:13.180 이 함수는 Reminder 함수로도[br]볼 수 있습니다 0:00:13.180,0:00:16.750 이는 함수와 근사함수의 차로 0:00:16.750,0:00:20.440 볼 수도 있습니다 0:00:20.440,0:00:25.980 예를 들어[br]여기 이 사이의 거리는 0:00:25.980,0:00:29.680 x = b 일 때의[br]오류입니다 0:00:29.680,0:00:32.340 그 절댓값을 구해야 합니다 0:00:32.340,0:00:35.290 f(x)의 어떤 점에서는[br]다항식보다 크지만 0:00:35.290,0:00:37.500 다항식보다 작은 경우도[br]있기 때문이죠 0:00:37.500,0:00:40.860 따라서 그 사이 거리의[br]절댓값을 구해야 합니다 0:00:40.860,0:00:42.500 이번 강의에서는 0:00:42.500,0:00:48.430 어떤 b에 대한 오류의[br]상한선을 정하려고 합니다 0:00:48.430,0:00:49.560 어떤 b에 대한 오류의[br]상한선을 정하려고 합니다 0:00:49.560,0:00:52.640 임의의 상수보다[br]작거나 같다고 해봅시다 0:00:52.640,0:00:55.840 여기서 b > a 입니다 0:00:55.840,0:00:58.070 여기서 b > a 입니다 0:00:58.070,0:01:01.620 지난 강의에서[br]이것이 상한선 내에[br]있는 듯 없는 듯한 0:01:01.620,0:01:04.519 다소 아쉬운 결과를 확인했죠 0:01:04.519,0:01:07.660 오류함수를 n+1번 미분한 함수와 0:01:07.660,0:01:12.060 이 함수를 n+1번 미분한 함수와[br]같다는 것 0:01:12.060,0:01:14.760 혹은 절댓값이 같다는 것을[br]보았습니다 0:01:14.760,0:01:18.330 b를 포함하고[br]우리에게 중요한 0:01:18.330,0:01:22.240 어떤 구간에서[br]n+1번 미분한 함수의 0:01:22.240,0:01:24.770 상한선이 있다면 0:01:24.770,0:01:27.180 적어도 오류함수를[br]n+1번 미분한 함수도 0:01:27.180,0:01:30.040 상한선이 있을 것입니다 0:01:30.040,0:01:31.390 그렇다면 임의의 값 b에서 0:01:31.390,0:01:36.120 오류함수가 상한선 내에 있도록[br]적분을 할 수 있습니다 0:01:36.120,0:01:37.160 확인해 봅시다 0:01:37.160,0:01:40.060 f(x)를 n+1번 미분한 함수에 대해 0:01:40.060,0:01:44.300 무언가를 알고 있다고[br]가정합시다 0:01:44.300,0:01:46.420 아직 사용하지 않은 0:01:46.420,0:01:49.150 흰색으로 해봅시다 0:01:49.150,0:01:50.580 흰색으로 해봅시다 0:01:50.580,0:01:55.400 이런 그래프가 있다고 합시다 0:01:55.400,0:01:59.420 이는 f^(n+1)(x) 입니다 0:01:59.420,0:02:00.500 이는 f^(n+1)(x) 입니다 0:02:00.500,0:02:03.740 이 구간만을 살펴봅시다 0:02:03.740,0:02:06.140 나중에 어떻게 되든지[br]구간의 상한선을 정하려고 합니다 0:02:06.140,0:02:09.759 나중에 b가 상한선 내에[br]있게 하기 위해서죠 0:02:09.759,0:02:12.750 이 절댓값을[br]이렇게 나타내 봅시다 0:02:12.750,0:02:13.740 여기에 적어볼게요 0:02:13.740,0:02:19.160 여기에 적어볼게요 0:02:19.160,0:02:23.800 f^(N+1)의 절댓값 0:02:23.800,0:02:26.520 지난 강의에서[br]대문자 N과 소문자 n을 0:02:26.520,0:02:28.120 바꾸어 쓴 점 사과드립니다 0:02:28.120,0:02:29.690 헷갈렸네요 0:02:29.690,0:02:32.078 그러나 이제 알게 되었으니[br]혼동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0:02:32.078,0:02:35.090 f(x)를 n+1번 미분한 함수[br]f^(n+1)의 절댓값은 0:02:35.090,0:02:40.110 상한선이 있다고 합시다 0:02:40.110,0:02:43.880 구간에 대하여[br]임의의 M보다 작거나 같다고 합시다 0:02:43.880,0:02:45.160 그 구간만이[br]중요하기 때문이죠 0:02:45.160,0:02:47.540 일반적으로 상한선이 없겠지만 0:02:47.540,0:02:50.168 이 구간에서는[br]최댓값이 존재할 것입니다 0:02:50.168,0:02:57.190 그 구간의 x는[br]이렇게 나타내보죠 0:02:57.190,0:03:04.190 그 구간의 x는 [a,b]에 속하므로[br]a와 b 모두 포함합니다 0:03:04.190,0:03:06.330 닫힌 구간이므로[br]x는 a, b 아니면 0:03:06.330,0:03:09.940 그 사이의 어떤 값도[br]될 수 있습니다 0:03:09.940,0:03:11.760 일반적으로 이 도함수는 0:03:11.760,0:03:15.230 최댓값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0:03:15.230,0:03:20.060 따라서 이 M은 최댓값입니다 0:03:20.060,0:03:23.980 이 함수가 연속이라면[br]최댓값이 존재할 것입니다 0:03:23.980,0:03:26.620 이번에도[br]이 함수는 연속이고 0:03:26.620,0:03:30.710 이 구간에서 최댓값이[br]존재한다고 가정합니다 0:03:30.710,0:03:34.796 이는 오류함수를 0:03:34.796,0:03:38.978 n+1번 미분한[br]함수와 같습니다 0:03:38.978,0:03:46.220 따라서 이는 다음을 암시합니다 0:03:46.220,0:03:51.980 녹색으로 해볼게요 0:03:51.980,0:03:58.720 오류함수를[br]n+1번 미분한 함수를 0:03:58.720,0:04:00.270 위와 같이 절댓값을 취하면 0:04:00.270,0:04:04.570 이 또한 상한선이 M입니다 0:04:04.570,0:04:07.500 재밌는 결과이지만 0:04:07.500,0:04:11.450 겉보기엔 비슷해 보이지만[br]이는 오류함수를 n+1번 미분한 함수입니다 0:04:11.450,0:04:14.000 나중에 어떻게 M에 도달할 것인지[br]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0:04:14.000,0:04:16.140 이것을 안다고 가정하고 0:04:16.140,0:04:18.589 이를 해결할 예제들을[br]풀어볼 것입니다 0:04:18.589,0:04:20.160 하지만 이는[br]n+1번 미분한 함수입니다 0:04:20.160,0:04:21.750 그 절댓값은 상한선이 있지만 0:04:21.750,0:04:24.210 실제 오류함수인[br]0번 미분한 함수도 0:04:24.210,0:04:27.710 상한선이 있게 해야 합니다 0:04:27.710,0:04:31.380 이 식의 양변을 적분하여 0:04:31.380,0:04:34.960 최종적으로 E(x)가 나오도록[br]해보려고 합니다 0:04:34.960,0:04:38.095 즉, 오류함수 혹은 reminder 함수가[br]나오도록 적분해 봅시다 0:04:38.095,0:04:44.050 이 식의 양변을 적분합니다 0:04:44.050,0:04:46.290 좌변의 적분에는[br]흥미로운 부분이 있습니다 0:04:46.290,0:04:47.930 절댓값을 적분하는 것보다 0:04:47.930,0:04:51.570 적분한 값에 절댓값을 취하는 것이[br]더 쉽습니다 0:04:51.570,0:04:54.220 운이 좋게도[br]그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0:04:54.220,0:04:56.480 옆 공간에 적어볼게요 0:04:56.480,0:04:59.369 여러분이 생각해볼 문제입니다[br]적분을 취할 때 0:04:59.369,0:05:03.029 일반적으로 두 선택지가 있습니다 0:05:03.029,0:05:10.500 이 식과 이 식이 있습니다[br]똑같아 보일지 모르겠네요 0:05:10.520,0:05:12.860 지금은 똑같아 보일 것입니다 0:05:12.870,0:05:15.810 여기에는 함수에[br]절댓값을 취하고 0:05:15.810,0:05:19.690 여기에는 적분에[br]절댓값을 취합니다 0:05:19.690,0:05:24.310 어떤 것이 더 클까요? 0:05:24.310,0:05:26.790 상황을 따져 봅시다 0:05:26.790,0:05:30.170 따라서 f(x)가[br]적분을 취하는 구간에서 0:05:30.170,0:05:33.470 항상 양수라면[br]동일한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 0:05:33.470,0:05:34.990 양수가 나오는 것과 0:05:34.990,0:05:36.760 양수에 절댓값을 취하는 것은 0:05:36.760,0:05:38.260 차이가 없습니다 0:05:38.260,0:05:40.990 중요한 것은[br]f(x)가 음수인 경우입니다 0:05:40.990,0:05:45.040 모든 구간에서[br]f(x)가 음수라면 0:05:45.040,0:05:48.120 x축과 y축을 그립니다 0:05:48.120,0:05:51.060 전 구간에서[br]f(x)가 양수라면 0:05:51.070,0:05:55.310 양수에 절댓값을[br]취하는 것이므로 0:05:55.310,0:05:56.130 문제되지 않습니다 0:05:56.130,0:05:57.860 두 식은 같습니다 0:05:57.860,0:06:00.800 만약 전 구간에서[br]f(x)가 음수라면 0:06:00.800,0:06:04.920 적분 결과 음수가 나옵니다 0:06:04.920,0:06:07.440 그러나 여기에[br]절댓값을 취하면 0:06:07.440,0:06:10.090 이 값은 양수가 되고 0:06:10.090,0:06:12.820 여전히 같은 값이[br]나오게 됩니다 0:06:12.820,0:06:16.420 흥미로운 경우는[br]f(x)가 양수이면서 음수인 경우입니다 0:06:16.420,0:06:18.970 이런 상황을[br]상상해 봅니다 0:06:18.970,0:06:22.580 f(x)가 이런 모습이라면 0:06:22.580,0:06:25.580 이 부분의 적분은[br]양수가 되고 0:06:25.580,0:06:28.560 이 부분은 음수가 됩니다 0:06:28.560,0:06:30.810 서로 상쇄시킬 수 있죠 0:06:30.810,0:06:33.700 따라서 절댓값에[br]적분을 취하는 이 경우가 0:06:33.700,0:06:35.580 값이 더 작겠죠 0:06:35.580,0:06:39.470 f(x)에 절댓값을 취한 경우는[br]다음과 같습니다 0:06:39.470,0:06:42.260 모든 넓이는 0:06:42.260,0:06:43.120 이것을 명백한[br]적분값이므로 0:06:43.120,0:06:44.730 이것을 명백한[br]적분값이므로 0:06:44.730,0:06:48.380 모든 넓이는[br]양수가 됩니다 0:06:48.380,0:06:50.980 절댓값에 적분을 취할 때 0:06:50.980,0:06:53.200 더 큰 값이 나온다면 0:06:53.210,0:06:54.791 f(x)가 구간에 대하여[br]양수이면서 음수인 경우입니다 0:06:54.791,0:06:57.038 f(x)가 구간에 대하여[br]양수이면서 음수인 경우입니다 0:06:57.038,0:07:02.005 먼저 적분하고[br]절댓값을 취하면 0:07:02.005,0:07:04.090 적분을 취할 때 0:07:04.090,0:07:07.020 이 부분이 상쇄되므로[br]작은 값이 나옵니다 0:07:07.020,0:07:09.500 이 부분이 상쇄되므로[br]작은 값이 나옵니다 0:07:09.500,0:07:13.470 따라서 더 작은 값에[br]절댓값을 취하게 됩니다 0:07:13.470,0:07:16.720 일반적으로 0:07:16.720,0:07:18.360 다시 말씀드리죠[br]적분에 절댓값을 취한 것은 0:07:18.360,0:07:22.870 절댓값에 적분을 취한 것보다[br]작거나 같습니다 0:07:22.870,0:07:25.980 따라서 이 식은[br]절댓값에 적분을 취한 것이고 0:07:25.980,0:07:27.740 크거나 같을 것입니다 0:07:27.740,0:07:29.840 여기에 올 식은[br]이 식입니다 0:07:29.840,0:07:31.910 이 식보다[br]크거나 같을 것입니다 0:07:31.910,0:07:34.550 왜 이렇게 하는지[br]잠시 후에 알게됩니다 0:07:34.550,0:07:39.670 그 식은[br]E^(n+1)(x)의 적분에 0:07:39.670,0:07:45.920 절댓값을 취한 식입니다 0:07:45.920,0:07:48.960 E^(n+1)(x)dx 0:07:48.960,0:07:51.490 이것이 유용한 이유는 0:07:51.490,0:07:55.090 이는 이 식보다 작거나 같다는[br]부등식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0:07:55.090,0:07:58.700 이제 적분하기[br]꽤 간단해졌습니다 0:07:58.700,0:08:00.932 E^(n+1)을 적분하면 0:08:00.932,0:08:04.240 E^n이 됩니다 0:08:04.240,0:08:06.510 즉, 다음과 같습니다 0:08:06.510,0:08:11.160 E^n(x)의 절댓값이 됩니다 0:08:11.160,0:08:16.300 오류함수를 n번 미분한[br]식의 절댓값입니다 0:08:16.310,0:08:17.330 기댓값에 대해 이야기했나요? 0:08:17.330,0:08:17.730 그럴 수 없죠 0:08:17.730,0:08:18.820 저도 헷갈립니다 0:08:18.820,0:08:19.710 이것은 오류함수입니다 0:08:19.710,0:08:21.900 Reminder 함수로[br]R을 써도 됐습니다 0:08:21.900,0:08:22.660 하지만 이 식들은[br]모두 오류함수입니다 0:08:22.660,0:08:25.170 이번 수업에서는[br]확률이나 기댓값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0:08:25.170,0:08:25.850 E는 오류함수입니다 0:08:25.850,0:08:27.250 E는 오류함수입니다 0:08:27.250,0:08:30.980 여하튼, 이 식은[br]오류함수를 n번 미분한 식이고 0:08:30.980,0:08:32.880 이 식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0:08:32.880,0:08:37.230 즉, M을 부정적분한[br]것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0:08:37.230,0:08:38.760 이는 상수입니다 0:08:38.760,0:08:42.630 따라서 Mx가 됩니다 0:08:42.630,0:08:44.179 부정적분을[br]취하고 있으므로 0:08:44.179,0:08:48.220 상수를 더해야 하는 것을[br]잊으면 안됩니다 0:08:48.220,0:08:49.840 일납적으로[br]상한선을 정할 때 0:08:49.840,0:08:52.220 가능한 작게[br]하고 싶을 것입니다 0:08:52.220,0:08:56.640 이 상수항을[br]최소화하고 싶습니다 0:08:56.640,0:09:00.180 운이 좋게도[br]이 함수가 특정 점에서 0:09:00.180,0:09:04.410 어떤 값을 가지는지[br]알고 있습니다 0:09:04.410,0:09:08.430 오류함수를 n번 미분한 식은[br]a에서 0입니다 0:09:08.430,0:09:09.940 여기에 적었습니다 0:09:09.940,0:09:12.480 E^n(a) = 0 입니다 0:09:12.480,0:09:15.370 a에서는[br]n번 미분한 함수와 0:09:15.370,0:09:19.550 그 근사값은 같을 것입니다 0:09:19.550,0:09:22.860 a에서 양변을 계산하면 0:09:22.860,0:09:27.010 절댓값을 알고 있습니다 0:09:27.010,0:09:31.560 E^(a)의 절댓값은 0:09:31.560,0:09:34.670 0입니다 0:09:34.670,0:09:35.400 0입니다 0:09:35.400,0:09:38.700 이는 a에서 이 식보다[br]작거나 같습니다 0:09:38.700,0:09:43.420 Ma + c 0:09:43.420,0:09:45.260 이 부등식 부분을 보세요 0:09:45.260,0:09:47.710 양변에 Ma를 빼줍니다 0:09:47.710,0:09:51.460 -Ma ≤ c 가 됩니다 0:09:51.460,0:09:53.590 지난 수업에서[br]구할 수 있었던 0:09:53.590,0:09:56.310 이 조건 하에서[br]상수는 0:09:56.310,0:10:00.820 -Ma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0:10:00.820,0:10:02.520 상수를 최소화하려면 0:10:02.520,0:10:05.240 즉, 상한선을 작게 하려면 0:10:05.240,0:10:08.180 -Ma와 같은[br]c를 고르면 됩니다 0:10:08.180,0:10:10.240 참인 조건들을 만족하는 0:10:10.250,0:10:13.170 제일 작은 c입니다 0:10:13.170,0:10:16.969 c = -Ma 입니다 0:10:16.969,0:10:19.364 전체 식을 다시 적어보면 0:10:19.364,0:10:22.260 n번 미분한 오류 함수에[br]절댓값을 취한 것은 0:10:22.260,0:10:24.640 n번 미분한 오류 함수에[br]절댓값을 취한 것은 0:10:24.640,0:10:25.970 기댓값이 아닙니다 0:10:25.970,0:10:28.010 제가 기댓값이라고 말했는지[br]의심이 드네요 0:10:28.010,0:10:29.790 이는 오류함수입니다 0:10:29.790,0:10:30.440 n번 미분한 오류함수에[br]절댓값을 취하면 0:10:30.440,0:10:33.230 n번 미분한 오류함수에[br]절댓값을 취하면 0:10:33.230,0:10:38.600 M(x-a)보다[br]작거나 같습니다 0:10:38.600,0:10:42.580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br]모든 조건은 참입니다 0:10:42.580,0:10:45.680 x는 a와 b 사이의 0:10:45.680,0:10:48.910 닫힌구간 내에 있습니다 0:10:48.910,0:10:50.220 진전이 있어 보입니다 0:10:50.220,0:10:52.910 적어도[br]n+1에서 n이 되었습니다 0:10:52.910,0:10:55.170 계속 할 수 있는지[br]알아봅시다 0:10:55.170,0:10:57.750 같은 개념입니다 0:10:57.750,0:11:00.090 양변에 적분을 취합니다 0:11:00.090,0:11:00.740 양변에 적분을 취합니다 0:11:00.740,0:11:06.240 양변에 적분을 취합니다 0:11:06.280,0:11:08.360 부정적분을 취합니다 0:11:08.360,0:11:10.740 위에서 해결한 것이 있죠 0:11:10.740,0:11:14.740 이것보다 작은[br]무언가가 있습니다 0:11:14.740,0:11:19.820 그것은 바로 n번 미분한[br]오류함수의 적분에[br]절댓값을 취한 것입니다 0:11:19.820,0:11:21.070 실수하지 마세요 0:11:21.070,0:11:22.900 기댓값이 아니라[br]오류함수입니다 0:11:22.900,0:11:23.900 기댓값이 아니라[br]오류함수입니다 0:11:23.900,0:11:27.170 E^n(x)dx 0:11:27.170,0:11:29.940 E^n(x)dx 0:11:29.940,0:11:33.510 같은 논리로[br]이 식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0:11:33.510,0:11:37.450 이것이 유용한 이유는 0:11:37.450,0:11:42.640 이 식은 E^(n-1)(x)가[br]되기 때문입니다 0:11:42.640,0:11:45.160 물론 바깥에[br]절댓값을 취해야 합니다 0:11:45.160,0:11:47.920 이 식은 작거나 같습니다 0:11:47.920,0:11:50.940 이 부등식이 성립하므로 0:11:50.940,0:11:53.340 이 부정적분의 결과는 0:11:53.340,0:11:58.060 M(x-a)²/2 입니다 0:11:58.060,0:12:01.410 치환을 이용하여[br]풀 수도 있습니다 0:12:01.410,0:12:03.820 여기 도함수가 [br]1인 식이 있습니다 0:12:03.820,0:12:06.480 음함수이므로[br]u로 치환합니다 0:12:06.480,0:12:08.480 지수로 올린 다음[br]식을 그 지수로 나눕니다 0:12:08.480,0:12:11.460 하지만 부정적분을 하고 있습니다 0:12:11.460,0:12:14.350 여기에 c를 더합니다 0:12:14.350,0:12:16.600 같은 논리로 0:12:16.600,0:12:19.130 x=a 에서 양변을[br]계산해 봅시다 0:12:19.130,0:12:22.250 x=a 에서 양변을[br]계산해 봅시다 0:12:22.250,0:12:25.990 좌변에 x=a를 대입하면[br]0이 나옵니다 0:12:25.990,0:12:29.250 지난 시간에[br]다룬 내용이죠 0:12:29.250,0:12:31.630 따라서, 계산해보면 0:12:31.630,0:12:34.130 좌변에 x=a를 대입하면[br]0이 나오고 0:12:34.130,0:12:36.820 우변에 x=a를 대입하면 0:12:36.820,0:12:39.850 M(a-a)²/2 이므로 0:12:39.850,0:12:45.220 0 + c = c가 나옵니다 0:12:45.220,0:12:47.620 이번에도 상수항을[br]최소화합니다 0:12:47.620,0:12:49.800 상한선을 작게 만들고자 합니다 0:12:49.800,0:12:52.930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br]가능한 작은 c를 구해야 합니다 0:12:52.930,0:12:57.440 조건을 만족하는[br]가능한 작은 c는 0입니다 0:12:57.440,0:12:59.500 그러므로 여기서[br]일반화할 수 있는 개념은 0:12:59.500,0:13:07.260 지금까지 한 방식과 똑같이[br]계속해서 하면 0:13:07.270,0:13:10.440 같은 방식으로[br]적분해 나가고 0:13:10.440,0:13:14.040 여기서도 동일한[br]성질을 이용하면 0:13:14.040,0:13:19.180 E(x)의 상한선은 0:13:19.180,0:13:21.550 이것은 0번 미분한[br]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0:13:21.550,0:13:22.740 0번 미분한 것은 0:13:22.740,0:13:25.360 오류함수 그 자체입니다 0:13:25.360,0:13:27.620 E(x)의 상한선은 0:13:27.620,0:13:29.660 어떤 것보다 작거나 같을까요? 0:13:29.660,0:13:31.940 여기서 패턴을[br]확인했습니다 0:13:31.940,0:13:36.270 M(x-a) 0:13:36.270,0:13:40.660 이 지수와 n-1을 더하면 0:13:40.660,0:13:42.940 n+1이 됩니다 0:13:42.950,0:13:46.980 이 식은 0번 미분한 것이므로[br]n+1이 됩니다 0:13:46.980,0:13:50.210 지수가 무엇이든간에 0:13:50.210,0:13:54.280 분모는 (n+1)!입니다 0:13:54.280,0:13:56.950 (n+1)!은[br]어디서 나온 것일까요? 0:13:56.950,0:13:58.370 여기 2가 있고 0:13:58.370,0:14:01.120 이 식을 다시[br]적분한다고 상상해 봅시다 0:14:01.120,0:14:04.700 지수는 3이 되고[br]식을 3으로 나눕니다 0:14:04.700,0:14:07.050 분모는 2×3이 되겠죠 0:14:07.050,0:14:08.540 다시 적분하면 0:14:08.540,0:14:10.800 지수는 4가 되고[br]식을 4로 나눕니다 0:14:10.800,0:14:12.960 따라서 분모는[br]2×3×4가 됩니다 0:14:12.960,0:14:14.140 4!이죠 0:14:14.140,0:14:15.530 어떤 값이 지수가 되면 0:14:15.530,0:14:18.500 분모는 그 값의[br]팩토리얼이 될 것입니다 0:14:18.500,0:14:21.240 흥미로운 것은 0:14:21.240,0:14:24.360 함수의 최댓값을[br]구할 수 있다면 0:14:24.360,0:14:28.510 함수의 최댓값을[br]구할 수 있다면 0:14:28.510,0:14:31.800 a와 b 사이의 구간에서 0:14:31.800,0:14:36.500 오류함수의 상한선이[br]존재할 것입니다 0:14:36.500,0:14:39.530 예를 들면[br]b에서 오류함수는 0:14:39.530,0:14:42.040 M을 알고 있다면[br]상한선이 존재합니다 0:14:42.040,0:14:45.360 b에서 오류함수는 0:14:45.360,0:14:57.180 M(b-a)^(n+1) / (n+1)! 입니다 0:14:57.180,0:14:59.620 아주 강력한 식입니다 0:14:59.620,0:15:03.720 이를 수학이라고[br]부를 수 있습니다 0:15:03.720,0:15:06.849 이 식을 적용할 수 있는[br]예제를 풀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