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0,125 --> 00:00:04,676 지난 비디오에서 소비함수가 무엇인지 살펴봤죠 2 00:00:04,676 --> 00:00:11,679 꽤 간단한 개념입니다, 총 소득이 어떻게 총 소비를 이끌어내는가를 표현한 함수죠 3 00:00:11,679 --> 00:00:17,069 간단한 모형으로 살펴 봤는데요, 간단한 소비함수였죠 4 00:00:17,069 --> 00:00:21,591 선형함수로 표현된 소비함수였어요. 총 소득과 상관없는 최저소비가 존재하죠 5 00:00:21,591 --> 00:00:27,483 그리고 가처분 소득의 발생으로 인해 생긴 소비가 존재해요 6 00:00:27,483 --> 00:00:32,764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면 직선으로 표현되죠 7 00:00:32,764 --> 00:00:37,717 지난 비디오에서 말씀 드렸는데, 소비함수가 항상 이렇게 표현되는 것은 아닙니다 8 00:00:37,717 --> 00:00:41,135 더 정교한 수학적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겠죠 9 00:00:41,135 --> 00:00:48,733 가처분소득이 적을 때 한계소비성향이 더 높게 나타나고 10 00:00:48,733 --> 00:00:55,920 총 가처분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형태가 있을 수 있죠 11 00:00:55,920 --> 00:01:04,587 그래서 이렇게 생긴 더 복잡한 소비함수를 그릴 수도 있습니다 12 00:01:04,587 --> 00:01:08,757 이 비디오에서는 선형소비함수에 대해 더 설명하려고 합니다 13 00:01:08,757 --> 00:01:15,042 선형소비함수에 논의를 한정시키는 이유는 첫째로, 더 간단하구요. 다루기도 쉽습니다 14 00:01:15,042 --> 00:01:21,124 또한 이 모형이 소비 함수에 대해 처음 배울 때 주로 쓰이기 때문이죠 15 00:01:21,124 --> 00:01:27,985 거기서부터 논리를 전개해 나가거든요, 국민소득 결정모형(Keynesian cross)까지요 16 00:01:27,985 --> 00:01:32,080 여기서는 두 가지를 보여드릴 건데요, 이 선형 소비함수를 일반화하고 17 00:01:32,080 --> 00:01:41,063 이 함수를 가처분소득에 대해서가 아니라, 지난번 영상에서 보여드린 것처럼요 18 00:01:41,063 --> 00:01:47,098 총 소득에 대한 함수로 바꿔보겠습니다. 그리고 일반화된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내도록 하죠 19 00:01:47,098 --> 00:01:51,304 이전에 했던 것과 같은 거지만, 이번에는 숫자 대신 변수를 사용하는거죠 20 00:01:51,304 --> 00:01:55,092 그럼 선형소비함수를 만들어보기로 하죠 21 00:01:55,092 --> 00:02:02,166 총 소비는, 우선 최저소비가 필요한데요 22 00:02:02,166 --> 00:02:08,423 소득이 없어도 생존하기 위해 소비자들은 식량 등등이 필요하겠죠. 저축을 쓰던가 할거에요. 23 00:02:08,423 --> 00:02:16,734 최저 소비는 소문자 c와 아래첨자 0으로 표현할게요 24 00:02:16,734 --> 00:02:23,509 이것이 최저 소비를 나타낸다고 합시다. 독립소비라고도 불러요 25 00:02:23,509 --> 00:02:35,379 독립소비이구요, 소비자가 총 소득이 없더라도 소비하므로 이렇게 불러요 26 00:02:35,379 --> 00:02:42,575 그리고 다른 부분이 있죠, 총 소득에 의해 나타나는 소비입니다. 27 00:02:42,575 --> 00:02:48,808 이것은 유발 소비라고 불리는데요, 총 소득이 발생하면서 유발된 소비이기 때문이죠 28 00:02:48,808 --> 00:02:56,960 최저 소비 이상으로 소비자는 가처분 소득의 일정 부분을 소비할 겁니다 29 00:02:56,960 --> 00:03:07,896 가처분 소득이라고 쓸게요, 이들은 가처분소득 전체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죠, 저축도 할 거에요 30 00:03:07,896 --> 00:03:16,941 일부분을 소비할텐데, 이는 한계소비성향에 의해 결정되죠! 31 00:03:16,941 --> 00:03:22,539 주황색으로 한계소비성향(MPC)이라고 쓸게요 32 00:03:22,539 --> 00:03:31,614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었음 하는데, 소비자는 어쨌거나 100(최저소비)을 소비하죠 33 00:03:31,614 --> 00:03:35,503 여기서 한계소비성향은 1/3이라고 하죠 34 00:03:35,503 --> 00:03:46,740 최저소비 이외에 가처분소득 900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가처분소득의 1/3을 소비할 거에요 35 00:03:46,740 --> 00:03:55,380 가처분소득이 900이면 소득 증가에 따른 한계소비성향에 따라 1/3을 소비할거에요 36 00:03:55,380 --> 00:04:05,563 그러므로 이게 1/3일거고, 여기서 c0가 100이었죠? 37 00:04:05,563 --> 00:04:22,098 그리고 가처분소득이 900이고 c₁은 1/3인데요, 0.3333..으로 해도 되고요 38 00:04:22,098 --> 00:04:31,535 이러면 완성이네요, 소비자들은 100만큼 독립소비를 하고, 900의 가처분 소득이 있으므로 39 00:04:31,535 --> 00:04:35,990 가처분소득의 1/3만큼 소비할 거구요, 그러면 40 00:04:35,990 --> 00:04:46,261 총 소비는 100+ 1/3 x 900이 되겠네요 41 00:04:46,261 --> 00:04:57,018 유발 소비부분은 1/3 x 900 이므로 300이네요 42 00:04:57,018 --> 00:05:04,835 독립소비는 100일 것이고, 전체는 400이 됩니다 43 00:05:04,835 --> 00:05:07,659 다시 한 번, 이 부분이 독립소비고 44 00:05:07,659 --> 00:05:12,133 이 부분이 유발소비에요 45 00:05:12,133 --> 00:05:23,056 지금 저는 상수대신 일반 항으로 함수를 표현했는데요 46 00:05:23,056 --> 00:05:25,999 지난 영상에서 본 숫자대신 일반 항를 쓴 거죠 47 00:05:25,999 --> 00:05:32,345 그리고 총 가처분소득이 아니라 총 소득으로 함수를 표현하겠다고 했는데요 48 00:05:32,345 --> 00:05:37,414 총 가처분소득이 아니라 총 소득으로요 49 00:05:37,414 --> 00:05:42,827 이 둘의 관계는 간단합니다. 가처분소득과 전체 소득간의 관계요 50 00:05:42,827 --> 00:05:51,047 위에서 봤었죠. 총 소득이 있고, 현대 사회에서라면 정부가 얼마간의 세금을 가져가고 51 00:05:51,047 --> 00:05:55,174 남은 소득이 가처분소득이 되죠 52 00:05:55,174 --> 00:06:01,758 다시 생각해보세요. 소득, 총 소득은 총 지출, 총 생산량과 같은 개념이고 53 00:06:01,758 --> 00:06:11,912 이건 바로 GDP를 뜻하는 거죠 54 00:06:11,912 --> 00:06:22,834 따라서 가처분소득은 GDP에서, 혹은 총 소득에서 세금을 제외한 겁니다 55 00:06:22,834 --> 00:06:35,811 즉, 가처분소득을 총 소득에서, 여기 이 부분(가처분 소득)은 총 소득에서 세금을 뺀 겁니다 56 00:06:35,811 --> 00:06:39,647 그럼 이 식을 다시 쓸 수 있겠죠 57 00:06:39,647 --> 00:06:51,065 총 소비 = 독립 소비 + 한계소비성향 x (총 소득 58 00:06:51,065 --> 00:06:54,720 총 소득은 GDP와 같다고 볼 수 있죠 59 00:06:54,720 --> 00:06:58,951 총 소비 = 독립 소비 + 한계소비성향 x (총 소득 - 세금) 60 00:06:58,951 --> 00:07:05,364 이렇게 소비 함수를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총 소득에 대한 함수로 정리했구요 61 00:07:05,364 --> 00:07:17,624 총 가처분소득이 아니라 총 소득에 대해서요. x축에 총 소득을 놓고 이 함수를 그리면 선형함수에요 62 00:07:17,624 --> 00:07:22,351 한계소비성향 c₁을 괄호 안으로 분배할 수 있겠죠 63 00:07:22,351 --> 00:07:29,123 총 소비 = 독립소비(c0) + 그리고 c₁을 분배하면 64 00:07:29,123 --> 00:07:39,205 + 한계소비성향(c₁) x 총 소득(Y) 65 00:07:39,205 --> 00:07:46,282 - 한계소비성향(c₁) x 세금(T) 66 00:07:46,282 --> 00:07:52,726 총 소득에 대한 함수로 정리를 해야하므로 다른 항들은 상수로 취급합니다 67 00:07:52,726 --> 00:07:56,131 이 항들은 변화하지 않습니다. 상수로 존재하는 거에요 68 00:07:56,131 --> 00:08:01,155 이 식을 익숙한 형식으로 바꾸어볼게요. 대수시간에 다뤘는데요 69 00:08:01,155 --> 00:08:07,367 1차 함수는 y= mx+b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죠 70 00:08:07,367 --> 00:08:11,262 여기서 x는 독립변수이고, y는 종속변수로 71 00:08:11,262 --> 00:08:19,944 그래프로는 x가 가로축, y가 세로축이구요 72 00:08:19,944 --> 00:08:26,811 이 함수는 y절편을 가지므로 y 절편은 b가 되고요 73 00:08:26,811 --> 00:08:35,428 m의 기울기를 가진 직선으로 나타납니다. m은 직선 위 x축으로 이동할 경우 y축의 변화값이죠 74 00:08:35,428 --> 00:08:40,391 이렇게 m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울기=m 이죠 75 00:08:40,391 --> 00:08:49,056 이와 같은 방법입니다. 이제 종속변수는 y가 아니라 C이구요 76 00:08:49,056 --> 00:08:53,171 독립변수는 x가 아니라, 총 수입(Y)이죠 77 00:08:53,171 --> 00:09:06,890 이 방식으로 정리해 봅시다. 종속변수 C = 한계소비성향(c₁) x 총소득 78 00:09:06,890 --> 00:09:22,264 + 독립 소비(c0) - 한계소비성향(c₁) x 세금(T) 79 00:09:22,264 --> 00:09:29,879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보면 이 부분은 전부 상수입니다. 80 00:09:29,879 --> 00:09:39,425 1차함수 식에서 b와 유사한 역할이죠. 일반 식인 기울기, 절편식으로 쓴다면요 81 00:09:39,425 --> 00:09:46,010 이제 그래프에 표시가 가능합니다. 소득이 없다면 이것이 소비값이겠죠 82 00:09:46,010 --> 00:09:55,134 그려볼게요, 종속변수는 총 소비이고 83 00:09:55,134 --> 00:10:02,771 독립변수는 지난 영상에서처럼 가처분소득이 아니라 총 소득이죠 84 00:10:02,771 --> 00:10:11,215 총 소득입니다. 만약 소득이 없다면, 85 00:10:11,215 --> 00:10:21,391 소비는 여기 이만큼이 될 겁니다 = c0 - c₁x T 86 00:10:21,391 --> 00:10:32,149 그리고 총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유발소비가 c₁에 따라 결정될 거구요 87 00:10:32,149 --> 00:10:39,339 따라서 c₁이 이 함수의 기울기가 되는 겁니다 88 00:10:39,339 --> 00:10:59,857 y=mx+b라고 할 때, 지금은 C=mY+b라고 써야겠네요 여기서 m과 b는 대수학에서 통용되는 문자입니다 89 00:10:59,857 --> 00:11:10,970 C=mY+b일때, m은 기울기이고 b는 종속변수의 절편이죠 90 00:11:10,970 --> 00:11:15,114 바로 이겁니다. 종속변수의 절편을 알아냈고 91 00:11:15,114 --> 00:11:21,449 c₁이 기울기 입니다. 한계소비성향이기도 하죠. 따라서 이 함수는 이런 직선을 보일겁니다 92 00:11:21,449 --> 00:11:28,802 기울기가 한계소비성향인 c₁인 직선이죠 93 00:11:28,802 --> 00:11:33,144 소비자들의 소득 대비 소비 비율이 늘어난다면 94 00:11:33,144 --> 00:11:40,933 한계소비성향이 커질테니까 기울기도 가팔라지겠죠. 이렇게 생긴 함수가 될 겁니다 95 00:11:40,933 --> 00:11:46,630 지금까지 한계소비성향이 1보다는 작다고 가정했으므로 기울기가 1인 함수는 안 나오겠죠 96 00:11:46,630 --> 00:11:50,941 또 음의 기울기를 가진 함수도 없을 겁니다. c₁은 양수니까요 97 00:11:50,941 --> 00:11:55,632 또한 소비자들이 추가적 소득에 대해 소비보다 저축을 선호한다면 98 00:11:55,632 --> 00:11:59,000 더 낮은 기울기를 보이는 함수를 보일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