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6,875 --> 00:00:10,453 화학과 물리학에 매우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2 00:00:10,453 --> 00:00:15,293 이는 물리과정이 왜 한 쪽으로만 진행하는지를 설명해줍니다. 3 00:00:15,293 --> 00:00:16,849 얼음이 왜 녹는지 4 00:00:16,849 --> 00:00:19,279 커피에 크림이 왜 섞이는지 5 00:00:19,279 --> 00:00:22,529 구멍 난 타이어에서 왜 공기가 새는지를 말이죠. 6 00:00:22,529 --> 00:00:27,039 이는 바로 엔트로피이고, 이해하기 매우 힘든 개념입니다. 7 00:00:27,039 --> 00:00:31,879 엔트로피를 무질서의 단위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8 00:00:31,879 --> 00:00:35,739 편리한 설명이긴 하지만 안타깝게도 틀린 말입니다. 9 00:00:35,739 --> 00:00:38,511 예를 들어, 무엇이 더 무질서할까요? 10 00:00:38,511 --> 00:00:43,469 부서진 얼음 조각 한 컵일까요? 상온의 물 한 컵일까요? 11 00:00:43,469 --> 00:00:45,373 대부분 얼음이라고 답하겠지만 12 00:00:45,373 --> 00:00:49,069 실제로는 부서진 얼음의 엔트로피가 더 낮습니다. 13 00:00:49,069 --> 00:00:52,898 그래서 확률로 생각하는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14 00:00:52,898 --> 00:00:57,290 이해하기 더 어려울 수도 있지만 시간을 들여 공부한다면 15 00:00:57,290 --> 00:01:01,260 엔트로피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16 00:01:01,260 --> 00:01:03,661 각각 6개의 원자 결합으로 이루어진 17 00:01:03,661 --> 00:01:07,541 두 개의 작은 고체 물질을 생각해보세요. 18 00:01:07,541 --> 00:01:12,781 이 모형에서 고체 물질의 에너지는 결합 속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19 00:01:12,781 --> 00:01:15,292 이 고체들은 나눌 수 없는 에너지 단위인 20 00:01:15,292 --> 00:01:20,070 양자를 담는 용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1 00:01:20,070 --> 00:01:24,601 물질에 에너지가 많을수록 더 뜨거워집니다. 22 00:01:24,601 --> 00:01:29,042 두 물질 내에서 에너지가 분배되면서도 23 00:01:29,042 --> 00:01:30,552 각각의 에너지 총량이 24 00:01:30,552 --> 00:01:34,592 똑같을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많습니다. 25 00:01:34,592 --> 00:01:38,502 각각의 선택지를 미시 상태라고 부릅니다. 26 00:01:38,502 --> 00:01:43,341 양자 에너지가 6개인 고체 A와 양자 에너지가 2개인 B사이에는 27 00:01:43,341 --> 00:01:47,832 9,702개의 미시상태가 있습니다. 28 00:01:47,832 --> 00:01:52,861 물론 이 8개의 양자가 다른 방식으로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29 00:01:52,861 --> 00:01:57,833 모든 에너지가 고체 A에 있고, B에는 하나도 없거나 30 00:01:57,833 --> 00:02:00,872 A와 B에 반반씩 있을 수도 있죠. 31 00:02:00,872 --> 00:02:04,154 각각의 미시 상태가 될 확률이 같다고 가정하면 32 00:02:04,154 --> 00:02:06,794 특정한 에너지 구조가 다른 구조보다 33 00:02:06,794 --> 00:02:10,543 존재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4 00:02:10,543 --> 00:02:14,184 미시 상태의 수가 더 많기 때문이죠. 35 00:02:14,184 --> 00:02:20,143 엔트로피는 각각의 에너지 구조의 확률을 직접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36 00:02:20,143 --> 00:02:23,193 고체 사이의 에너지가 37 00:02:23,193 --> 00:02:28,933 가장 고르게 분산된 에너지 구조가 가장 높은 엔트로피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8 00:02:28,933 --> 00:02:30,474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39 00:02:30,474 --> 00:02:34,853 엔트로피는 에너지 분포를 측정하는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40 00:02:34,853 --> 00:02:37,893 낮은 엔트로피는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다는 걸 의미하고 41 00:02:37,893 --> 00:02:41,623 높은 엔트로피는 에너지가 퍼져있다는 걸 의미합니다. 42 00:02:41,623 --> 00:02:45,765 뜨거운 물체가 식는 것과 같은 자발적 과정을 설명하는 데 43 00:02:45,765 --> 00:02:48,075 엔트로피가 왜 유용한지 이해하려면 44 00:02:48,075 --> 00:02:52,434 에너지가 이동하는 동적 시스템을 봐야 합니다. 45 00:02:52,434 --> 00:02:54,935 현실에서 에너지는 가만히 있지 않고 46 00:02:54,935 --> 00:02:58,065 이웃하는 결합 사이를 계속 움직입니다. 47 00:02:58,065 --> 00:03:00,206 에너지가 움직이면 48 00:03:00,206 --> 00:03:02,955 에너지 구조가 변할 수 있습니다. 49 00:03:02,955 --> 00:03:05,085 미시 상태의 분포 때문에 50 00:03:05,085 --> 00:03:09,836 시스템이 에너지가 최대한 분산된 구조가 될 51 00:03:09,836 --> 00:03:13,595 확률은 21%이고 52 00:03:13,595 --> 00:03:17,357 시작과 같은 상태로 돌아갈 확률은 13%이며 53 00:03:17,357 --> 00:03:22,857 A가 에너지를 얻을 확률은 8%입니다. 54 00:03:22,857 --> 00:03:26,935 다시 말해 분산된 에너지와 높은 엔트로피를 갖는 경우의 수가 55 00:03:26,935 --> 00:03:30,026 에너지가 집중되는 경우보다 많기에 56 00:03:30,026 --> 00:03:32,558 에너지는 분산되는 경향을 띱니다. 57 00:03:32,558 --> 00:03:35,509 그렇기에 차가운 물체 옆에 뜨거운 물체를 두면 58 00:03:35,509 --> 00:03:40,420 차가운 물체는 따뜻해지고 뜨거운 물체는 식는 것입니다. 59 00:03:40,420 --> 00:03:41,867 하지만 이 예시에서도 60 00:03:41,867 --> 00:03:47,116 뜨거운 물체가 더 뜨거워질 확률이 8% 존재합니다. 61 00:03:47,116 --> 00:03:51,427 왜 이런 상황은 현실에서 절대 일어나지 않을까요? 62 00:03:51,427 --> 00:03:54,177 이는 시스템의 규모 때문입니다. 63 00:03:54,177 --> 00:03:58,057 우리가 가정했던 고체는 결합을 6개씩만 가지고 있었습니다. 64 00:03:58,057 --> 00:04:03,938 6,000개의 결합과 8,000개의 에너지 단위로 키워봅시다. 65 00:04:03,938 --> 00:04:07,527 그리고 똑같이 A에 에너지의 3/4이 있고 66 00:04:07,527 --> 00:04:10,127 B에 에너지의 1/4이 있다고 합시다. 67 00:04:10,127 --> 00:04:14,337 그러면 A가 더 많은 에너지를 얻게 될 확률이 68 00:04:14,337 --> 00:04:17,247 매우 낮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69 00:04:17,247 --> 00:04:22,308 비슷하게, 일상의 물건들은 이보다 훨씬 많은 입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70 00:04:22,308 --> 00:04:25,920 현실에서 뜨거운 물체가 더 뜨거워질 확률은 71 00:04:25,920 --> 00:04:28,011 터무니없이 낮습니다. 72 00:04:28,011 --> 00:04:30,409 절대 일어나지 않습니다. 73 00:04:30,409 --> 00:04:31,528 얼음은 녹고 74 00:04:31,528 --> 00:04:32,918 크림은 섞이고 75 00:04:32,918 --> 00:04:34,676 타이어의 바람은 빠집니다. 76 00:04:34,676 --> 00:04:39,942 이 상태가 본래보다 에너지가 더 많이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77 00:04:39,942 --> 00:04:43,630 신비로운 힘으로 더 높은 엔트로피를 향해 가는 게 아닙니다. 78 00:04:43,630 --> 00:04:48,928 더 높은 엔트로피가 될 확률이 통계학적으로 더 높은 것뿐입니다. 79 00:04:48,928 --> 00:04:52,480 그래서 엔트로피를 시간의 화살이라고 부릅니다. 80 00:04:52,480 --> 00:04:56,739 에너지는 분산할 기회가 오면 분산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