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웅웅거리는 소리] 저는 계속 혼란스러운 상태에 있는 걸 즐기는 편이에요. 어떤 한 가지 범주에 완전히 속하지 않고, 그런 계속적인 변화 속에서 아주 편안하게 있는거죠. 유동(流動)의 제스 판 어반글래스, 브루클린 제스 판, 예술가 학교서 RISD 유리프로그램을 들을 때 어떻게 이 물질이 한 상태에서 또다른 상태로 변화하는지에 대해 배우는게 정말 매력적이었고 "이걸 다른 매개에는 어떻게 적용 할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물질이 살아있으니 빨리 움직여야해요 --액체였는데 지금은 거의 플라스틱이죠 --이제 이게 우리가 유리라고 생각하는거랑 비슷해질거에요 제 작업은 두 가지 경험의 영향을 받았어요 --불어요 하나는 제가 주류였던 홍콩에서 이민 온 것이고요 미국으로 오면서 저는 갑자기 소수가 되었죠 그리고 또 다른 건 성소수자로 자라온 경험이죠 홍콩에서 성소수자로 사는건 정말 어려워요 스스로 본인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찾을 수 없어요 거울 속에서 본인 스스로의 모습을 볼 수 없으면 스스로 유령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이죠 저는 이런 아주 정치적인 정체성의 카테고리에 물질들이 어떻게 스며드는지 정말궁금했죠 그리고 어떻게 인종에 대한 생물학적 유대가 지속되는지도 궁금했죠. 그래서 저는 생물학적인 매개로 확장되는 조각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정체성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들을요 특히 테스토스테론 그리고 에스트로겐 멜라닌 까지요 제 프로젝트 중에 "어머니는 여성이다"라는 작품이 있는데 저희 어머니에게 소변 샘플을 부탁드렸죠 어머니의 배설물을 손에 들고있는것만큼 이상한건 없죠 그게 특히 미국 세관을 통과할 때라면요 [웃음] 정말 이상하죠 그리고 저는 한 실험실과 함께 그 샘플에서 에스트로겐을 추출해냈어요 그리고 그걸로 미용크림을 만들었습니다 [영상 보이스오버] --어머니의 소변으로부터 나온 가장 순수한 에스트로겐... 정체성의 범주를 유지하는 물질들을 사고 팔고 만들고 또 주문할 수 있는 이 시대에 나라는 사람은 이런 정체성의 그릇으로서 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차이나타운] 제 주변의 친구들이 변화하기 시작했을 때 제가 이런 물질들을 다루기 시작했죠 그리고 저 스스로도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테스토스테론으로 제 몸을 근육질로 만드건 표면을 끌을 이용해서 조각하는것과 비슷해요. 어떻게보면 몸을 조각하는거나 다름없는거죠 그리고 또 어떻게보면, 저는 또 유리와도 같아요 이런 액체상태나 아니면 계속해서 유동상태에 있는 거죠 디스커버리채널을 보는거랑 비슷해요 자랄때는 배우지 않았던 규범을 배우는거죠 배웠던걸 많이 잊어야 해요 그건 항상 수월한 일은 아니죠 [리세스, 브루클린] 이제, 저는 "시스템"이라는 조각 시리즈를 작업중인데요 다 이런 격자무늬에요 이런 유리방울이 달려있는 형태죠 이 유리방울들은 결과적으론 이런 생체 물질을 담고 있어요 이 용기에 실리콘을 담았어요 그리고 멜라닌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지방도 주입하죠 이런 물질을 쓰면서, 저는 이 물질들이 몸에서 분리돼서 그 물질들 스스로 존재하는 걸 보고싶어요 그것들이 몸에서 떨어져나오면 "저것들은 뭐지?" 처럼 그 존재를 인지하게 되죠 정말 흥미로워요. 이 물질들이 얼마나 생동감있게 움직이는지, 사람들이 예상할 수 있는 방식으로 움직이지 않는 모습도 그렇고요. 껍데기를 밀어내고 싶어하는 물질의 확장이 있는데 어떨 때는 그게 그냥 파열되어버려요. 멜라닌을 손에 들고 아니면 호르몬을 들고 --이런 경쟁적이고 정치적인 물질들을-- 여기엔 약간의 모순이 존재하죠 이 얼마되지도 않는 가루 덩어리들이 얼마나 진부한가 이건 최고로 터무니 없는것죠 아마도 이건 인종으로 구분지어지거나 성별로 구분지어지는 것과 비슷하죠 이건 그냥 당신이 계속해서 위치해있는 하나의 기질인거에요 계속되는 타자화의 행위인거죠. 그런데 저런 이분법이 우리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어떻게 완전히 확신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