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000 --> 00:00:01.921 우리는 이미 세포 호흡이 00:00:01.921 --> 00:00:07.201 대략 세가지 상태로 나누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00:00:07.201 --> 00:00:10.366 세포.... 호흡...... 00:00:10.366 --> 00:00:15.954 첫 번쨰는 해당작용인데요, 말 그대로 00:00:15.954 --> 00:00:18.951 글루코오스(포도당)을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00:00:18.951 --> 00:00:23.808 "글루코오스의 분해" 00:00:23.808 --> 00:00:27.600 그리고 이 작용은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00:00:27.600 --> 00:00:31.798 만약 산소가 없다면, 발효로 넘어갑니다. 00:00:31.798 --> 00:00:34.968 발효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하도록 할게요. 00:00:34.984 --> 00:00:36.855 발효를 진행하게 되면 00:00:36.855 --> 00:00:39.463 젖산을 생산합니다. 00:00:39.463 --> 00:00:41.130 다른 종류의 생물에서 발효가 진행되면 00:00:41.130 --> 00:00:43.467 알코올이나 에탄올을 생산할 수도 있습니다. 00:00:43.467 --> 00:00:44.957 그러나 만약 산소가 있다면, 00:00:44.957 --> 00:00:47.927 산소가 있을 때 더 많이 진행될 수 있다고 추정할 수 있겠죠, 00:00:47.927 --> 00:00:49.865 그래서 만약에 산소가 있다면, 우리는 00:00:49.865 --> 00:00:54.629 크레브스 회로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00:00:54.629 --> 00:00:56.730 이 회로는 때때로 시트르산 회로로 불리기도 하는데, 00:00:56.730 --> 00:01:00.874 이는 이 회로가 시트르산을 취급하기 때문입니다. 00:01:00.874 --> 00:01:03.631 오렌지 주스나 레몬이 그렇게 불리는 것과 같은 이유죠. 00:01:03.631 --> 00:01:05.881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우리는 00:01:05.881 --> 00:01:08.300 전자전달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00:01:08.300 --> 00:01:10.626 전자 전달계 00:01:10.626 --> 00:01:12.879 그리고 우리는 세포호흡에 관한 첫번째 비디오에서 00:01:12.879 --> 00:01:21.924 이 회로가 바로 ATP들이 생산되는 곳이라는 것을 00:01:21.924 --> 00:01:24.710 이미 배웠습니다. 00:01:16.500 --> 00:01:18.920 비록 이 위의 과정들로부터 나온 00:01:18.920 --> 00:01:20.360 원자재들을 사용하는 것이긴 하지만요. 00:01:20.360 --> 00:01:22.316 자, 지금부터 제가 이 비디오에서 하고자 하는 것은 00:01:22.316 --> 00:01:24.657 단지 해당과정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00:01:24.673 --> 00:01:27.500 해당과정에 대해서만요. 00:01:27.500 --> 00:01:31.080 그리고 이것은 가끔 굉장히 도전적이고 어려운 과제인데 00:01:31.080 --> 00:01:32.830 왜냐하면 가끔씩 공부하다가 사소한 것에서 막힐 때가 있거든요 00:01:32.830 --> 00:01:34.550 그리고 저는 이러한 세세한 과정들에 대해서 조금 다루고, 00:01:34.550 --> 00:01:35.480 또 실제 메커니즘에 대해 보여드리도록 할게요. 00:01:35.480 --> 00:01:36.750 그리고 여러분, 굉장히 주눅이 들 수도 있어요. 00:01:36.750 --> 00:01:39.160 그렇지만 저는 이것들을 단순화 시켜서 여러분이 00:01:39.160 --> 00:01:40.420 전체적인 흐름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줄거에요. 00:01:40.420 --> 00:01:42.550 그렇게 전체적인 흐름을 잡고 나서 그 다음에 00:01:42.550 --> 00:01:45.770 해당과정의 세세한 과정을 보면 00:01:45.770 --> 00:01:46.940 조금 더 이해가 잘 가실 거에요. 00:01:46.940 --> 00:01:49.230 그래서 해당과정, 혹은 사실은 세포 호흡은요 00:01:49.230 --> 00:01:50.480 글루코오스에서부터 시작해요. 00:01:50.480 --> 00:01:53.230 글루코오스에서 말이지요. 00:01:53.230 --> 00:01:55.130 그리고 우리는 글루코오스의 화학식을 알고 있죠. 00:01:55.130 --> 00:01:59.660 C6H12O6죠. 00:01:59.660 --> 00:02:01.511 그리고 전체적인 구조를 그릴 수도 있어요. 00:02:01.511 --> 00:02:02.300 시간이 조금 걸리지만요. 00:02:02.300 --> 00:02:04.270 근데 저는 그냥 탄소 골격에 대해서만 집중할게요. 00:02:04.270 --> 00:02:07.010 네, 고리구조죠. 아니, 고리구조가 될 수 있어요. 00:02:07.010 --> 00:02:12.700 그런데 저는 그냥 한 줄로 배열되어 있는 탄소로 그려볼게요. 00:02:12.700 --> 00:02:15.950 해당과정에는 크게 두 가지의 중요한 상태가 있습니다. 00:02:15.950 --> 00:02:16.820 알아두면 좋을 거에요. 00:02:16.820 --> 00:02:19.420 첫번째는 투자 과정이라고 해요. 00:02:19.420 --> 00:02:23.000 그리고 투자 과정에서는 사실 두 개의 ATP를 소모합니다. 00:02:23.000 --> 00:02:29.910 "두 개의 ATP를 소모한다" 00:02:29.910 --> 00:02:32.270 여러분도 알잖아요, 세포호흡의 궁극적인 목적이 00:02:32.270 --> 00:02:35.650 ATP를 만드는 거란 것을요. 그런데 방금 과정에서 사실은 00:02:35.650 --> 00:02:37.360 두 개의 ATP를 소모해야 합니다. 00:02:37.360 --> 00:02:40.980 그렇지만 두 개의 ATP를 소모한 후에 00:02:40.980 --> 00:02:50.710 글루코오스를 두 개의 3탄소 화합물로 분해하는데요 00:02:50.710 --> 00:02:53.730 바로 이 분자 안에 인산기가 위치해 있습니다. 00:02:53.730 --> 00:02:56.690 인산기는 앞서 소모된 ATP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죠. 00:02:56.690 --> 00:02:58.910 옆의 두 번쨰 3탄소 화합물에도 인산기가 있고요. 00:02:58.910 --> 00:03:01.520 여러가지 이름이 있지만 00:03:01.520 --> 00:03:02.910 이 화합물을 PGAL이라고 부릅니다. 00:03:02.910 --> 00:03:04.040 굳이 알 필요는 없습니다. 00:03:04.040 --> 00:03:12.360 혹은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라고요. 글자가 너무 복잡해서 00:03:12.360 --> 00:03:13.420 제 철자 실력을 시험하네요. 00:03:13.420 --> 00:03:14.420 아무튼 그건 중요한 게 아니고요. 00:03:14.420 --> 00:03:15.950 여러분이 알아야 할 점은 00:03:15.950 --> 00:03:17.840 첫 번째 과정에서 두개의 ATP를 소모한다는 것입니다. 00:03:17.840 --> 00:03:20.350 그게 바로 이 과정이 투자 과정이라고 불리는 이유에요. 00:03:20.350 --> 00:03:29.020 사업적인 비유를 들자면, "투자하는" 과정인 거잖아요. 00:03:29.020 --> 00:03:33.510 이 투자 과정의 결과물인 두 개의 PGAL들은 이제 00:03:33.510 --> 00:03:35.350 지불 과정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00:03:35.350 --> 00:03:39.480 그래서 지불과정에서는요, 00:03:39.480 --> 00:03:42.280 각각의 PGAL들이 피루브산으로 바뀌게 됩니다. 00:03:42.280 --> 00:03:45.310 피루브산은 또다른 종류의 3탄소 화합물인데요, 약간 변형된 형태입니다. 00:03:45.310 --> 00:03:48.670 PGAL이 피루브산이 되는 과정은-이제부터 피루브산을 00:03:48.670 --> 00:03:53.130 파란색으로 쓸게요. 왜냐하면 00:03:53.130 --> 00:03:54.620 용어를 알면 좋잖아요. 00:03:54.620 --> 00:03:56.290 잠깐만 기다려요 피루브산의 구조를 보여줄게요. 00:03:56.290 --> 00:03:57.100 피루브산 00:03:57.100 --> 00:03:59.730 pyruvate 대신 "pyruvic acid"라고 불리기도 하고요 00:03:59.730 --> 00:04:02.560 같은 겁니다. 00:04:02.560 --> 00:04:05.890 이렇게 되면 해당과정이 끝나게 됩니다. 00:04:05.890 --> 00:04:08.200 그래서 투자 과정에서는 글로코오스로 시작해서 00:04:08.200 --> 00:04:10.480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로 끝나는데, 이것은 00:04:10.480 --> 00:04:12.540 글루코오스를 분해하고 00:04:12.540 --> 00:04:14.070 인산염을 각 끝에 붙이면 되는거죠. 00:04:14.070 --> 00:04:17.310 그리고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00:04:17.310 --> 00:04:18.490 지불과정에 들어갑니다. 00:04:18.490 --> 00:04:22.029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처음에 주어진 모든 글루코오스들에 대해서 00:04:22.029 --> 00:04:25.220 두 개의 피루브산 분자로 끝을 맺게 되는 것입니다. 00:04:25.220 --> 00:04:27.860 이제 당신은 "이봐요 살, 지불 과정이 있었잖아요" 00:04:27.860 --> 00:04:30.310 "우리는 무엇을 지불했죠?" 라고 말할 거에요. 00:04:30.310 --> 00:04:35.710 글쎄요 우리가 지불한 것은, 잠깐만요 일단 이것을 00:04:35.710 --> 00:04:37.280 "지불 과정"이라고 써놓도록 하죠. 00:04:37.280 --> 00:04:38.530 이것은 우리의 지불 과정입니다. 00:04:38.530 --> 00:04:41.460 지불 과정 00:04:41.460 --> 00:04:43.150 하얀 배경에 대해서는 사과할게요. 00:04:43.150 --> 00:04:45.300 배경을 흰색으로 한 이유는 지금 제가 보여드리고 있는 이 메커니즘이 00:04:45.300 --> 00:04:47.800 위키피디아에서 베껴온 것이고 그 자료가 00:04:47.800 --> 00:04:50.390 흰색 배경을 가지고 있어서 저도 이 비디오에서 00:04:50.390 --> 00:04:50.950 흰색 배경을 사용한 거에요. 00:04:50.950 --> 00:04:53.910 그렇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정말 검은 색깔 배경을 00:04:53.910 --> 00:04:55.040 훨씬 좋아합니다. 00:04:55.040 --> 00:04:57.750 아무튼 여기 바로 이것은 지불 과정이에요. 00:04:57.750 --> 00:05:00.990 그래서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를 00:05:00.990 --> 00:05:05.080 피루브산으로 바꿀 때 우리는 두 가지를 생산합니다. 00:05:05.080 --> 00:05:07.420 아, 세 가지라고 말할 수 있겠군요. 00:05:07.420 --> 00:05:11.860 우리는 각각의 PGAL들을 가지고 00:05:11.860 --> 00:05:13.450 피부르산을 만들고 이것이 두 개의 ATP를 생산합니다. 00:05:13.450 --> 00:05:16.120 두 개의 ATP. 00:05:16.120 --> 00:05:17.880 여기에서 두 개의 ATP를 생산할 거에요, 00:05:17.880 --> 00:05:20.490 여기도 두 개의 ATP를요. 00:05:20.490 --> 00:05:22.410 그리고 각각의 ATP들이 NADH를 생산합니다. 00:05:22.410 --> 00:05:27.540 N-A-D-H 00:05:27.540 --> 00:05:29.820 더 어두운 색으로 적을게요. 00:05:29.820 --> 00:05:31.070 N-A-D-H 00:05:31.070 --> 00:05:36.940 N-A-D-H 00:05:36.940 --> 00:05:39.910 당연히 분자 전체를 진공에서 뚝딱 00:05:39.910 --> 00:05:40.800 만들어내는 건 아니고요, 00:05:40.800 --> 00:05:43.450 구체적으로 어떤 작용을 하는 것이냐면 일단 00:05:43.450 --> 00:05:47.640 NAD+라는 시작 물질로부터 시작해서, 00:05:47.640 --> 00:05:51.260 그것을 환원시킵니다. 00:05:51.260 --> 00:05:53.150 수소를 더함으로서 말이에요. 00:05:53.150 --> 00:05:55.170 기억하세요, 우리는 이미 몇 개의 비디오에서 00:05:55.170 --> 00:05:57.830 환원을 수소 분자를 얻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00:05:57.830 --> 00:06:01.110 그래서 NAD가 NADH로 환원되는 거에요. 00:06:01.110 --> 00:06:05.110 이후, 이 NADH들이 전자전달계에 사용됩니다. 00:06:05.110 --> 00:06:08.470 실질적으로 ATP를 생산하기 위해서요. 00:06:08.470 --> 00:06:13.090 그래서 전체적인 흐름을 다시 살펴보면, 만약 우리가 00:06:13.090 --> 00:06:16.390 해당과정의 반응식을 적는다면 00:06:16.390 --> 00:06:17.640 일단 먼저 글루코오스로 시작합니다. 00:06:17.640 --> 00:06:21.480 글루코오스 00:06:21.480 --> 00:06:24.520 그리고 NAD+가 필요하겠죠. 00:06:24.520 --> 00:06:27.840 NAD+ 00:06:27.840 --> 00:06:29.870 그리고 사실, 1몰의 글루코오스를 위해서는 00:06:29.870 --> 00:06:33.540 두 개의 NAD+가 필요합니다. 00:06:33.540 --> 00:06:34.990 두 개의 ATP가 필요할거고요. 00:06:34.990 --> 00:06:38.420 두 개의 ATP요. 00:06:38.420 --> 00:06:40.860 지금 저는 그냥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물질들을 00:06:40.860 --> 00:06:42.350 적고 있습니다. 00:06:42.350 --> 00:06:44.750 그리고 또 필요한게.. 음, 이렇게 말할 수 있죠. 00:06:44.750 --> 00:06:47.290 ATP가 생성되기 전에 ADP의 상태라고요. 00:06:47.290 --> 00:06:51.550 그래서 저는 ADP를 네 개 더하겠습니다. 00:06:51.550 --> 00:06:57.150 그리고 해당과정을 마치고 난 후에는 00:06:57.150 --> 00:06:57.840 여기에 적도록 할게요. 00:06:57.840 --> 00:07:01.055 아, 이것도 적을게요. ADP였어요. 00:07:01.055 --> 00:07:04.950 A-D-P-s 00:07:04.950 --> 00:07:08.970 그냥 저 부분을 여기에 다시 적을게요. 00:07:08.970 --> 00:07:10.540 네 분자의 ADP들. 00:07:10.540 --> 00:07:12.390 그리고 두 개의 인산기가 필요할 겁니다. 00:07:12.390 --> 00:07:15.820 왜냐하면 네 개의 인산기가 필요할 거거든요. 00:07:15.820 --> 00:07:18.540 그냥 이렇게 부를게요, 얘네는 때떄로 00:07:18.540 --> 00:07:19.310 이렇게 적히니까요. 00:07:19.310 --> 00:07:20.440 아, 그냥 이렇게 적을수도 있어요. 00:07:20.440 --> 00:07:21.740 네 개의 인산 그룹. 00:07:21.740 --> 00:07:25.670 이렇게요. 00:07:25.670 --> 00:07:30.790 이 물질들을 가지고 해당과정을 진행하고 나면, 00:07:30.790 --> 00:07:37.680 두 개의 피루브산과 두 개의 NADH를 얻을거에요. 00:07:37.680 --> 00:07:40.660 N-A-D-H 00:07:40.660 --> 00:07:43.190 NAD가 환원된거죠. 00:07:43.190 --> 00:07:45.010 수소를 얻은거에요. 00:07:45.010 --> 00:07:45.850 RIG 00:07:45.850 --> 00:07:46.590 OIL RIG 00:07:46.590 --> 00:07:48.850 환원은 전자를 얻는 것이다. 00:07:48.850 --> 00:07:50.200 그러나 생물학적인 관점에서는, 그냥 환원을 00:07:50.200 --> 00:07:51.110 수소를 얻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00:07:51.110 --> 00:07:53.320 왜냐하면 수소는 굉장히 전기음성도가 작고, 따라서 00:07:53.320 --> 00:07:54.260 전자를 가져오는 거나 마찬가지니까요. 00:07:54.260 --> 00:07:56.020 수소의 전자를 얻은 겁니다. 00:07:56.020 --> 00:08:01.810 그래서 NADH들과 두 개의 ATP들이 00:08:01.810 --> 00:08:02.720 투자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00:08:02.720 --> 00:08:04.390 이게 제가 이 둘을 조금 떨어뜨려 적은 이유에요. 00:08:04.390 --> 00:08:05.860 그래서 이 두가지는 사용되었습니다. 00:08:05.860 --> 00:08:07.865 두 개의 ADP가 남았어요. 00:08:07.865 --> 00:08:10.860 A-D-P 00:08:10.860 --> 00:08:13.630 그리고 이것들은, 00:08:13.630 --> 00:08:14.750 ATP로 바뀌게 됩니다. 00:08:14.750 --> 00:08:19.090 그러므로 네 개의 ATP 생성. 00:08:19.090 --> 00:08:20.570 아, 네 개가 필요하지 않았네요. 00:08:20.570 --> 00:08:22.890 알짜로 두 개의 인산기만 있으면 되네요. 00:08:22.890 --> 00:08:24.570 왜냐면 두 개는 ATP에서 나오니까요. 00:08:24.570 --> 00:08:26.710 그리고 총 두개가 더 필요하죠 00:08:26.710 --> 00:08:28.560 여기에서 네 개가 나오니까요. 00:08:28.560 --> 00:08:31.270 큰 흐름은, 글루코오스로 시작해서 00:08:31.270 --> 00:08:33.020 두 개의 피루브산으로 끝나는 겁니다. 00:08:33.020 --> 00:08:35.090 두 개의 ATP를 사용했어요. 00:08:35.090 --> 00:08:36.909 네 개의 ATP를 얻었고요. 00:08:36.909 --> 00:08:39.559 그래서 총 알짜로 두 개의 ATP가 생성되었습니다. 00:08:39.559 --> 00:08:41.490 엄청나게 크게 쓰도록 할게요. 00:08:41.490 --> 00:08:45.840 해당과정에서 알짜로 얻는 것은, 두 개의 ATP입니다. 00:08:45.840 --> 00:08:51.290 얻은 두 개의 NADH들은 후에 00:08:51.290 --> 00:08:54.600 전자전달계에서 세 개의 ATP를 생산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00:08:54.600 --> 00:08:59.150 두 개의 NADH와 두 개의 피루브산을 얻었고요, 이들은 00:08:59.150 --> 00:09:02.930 acetyl-CoA로 다시 바뀌어 00:09:02.930 --> 00:09:04.950 크레브스 회로의 전구 물질이 됩니다. 00:09:04.950 --> 00:09:10.690 아무튼 해당과정의 생성물이죠. 00:09:10.690 --> 00:09:13.070 자 이제 큰 그림을 알았으니, 이제 00:09:13.070 --> 00:09:13.800 실제 메커니즘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00:09:13.800 --> 00:09:15.730 자세한 메커니즘을 보면 00:09:15.730 --> 00:09:16.440 주눅이 들 수도 있어요. 00:09:16.440 --> 00:09:18.970 그렇지만 방금 이야기한 내용과 똑같은 이야기에요. 00:09:18.970 --> 00:09:22.000 글루코오스로 시작합니다. 00:09:22.000 --> 00:09:24.270 글루코오스는 6탄당이죠. 00:09:24.270 --> 00:09:26.060 고리 형태를 이룹니다. 00:09:26.060 --> 00:09:30.280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개의 탄소로요. 00:09:30.280 --> 00:09:33.110 이렇게 적을 수 있는데요, 00:09:33.110 --> 00:09:34.226 엄청난 단순화죠. 00:09:34.226 --> 00:09:36.020 이 글루코오스는 몇 개의 과정을 거칩니다. 00:09:36.020 --> 00:09:37.460 여기에서 ATP를 소모하고요. 00:09:37.460 --> 00:09:39.430 그러므로 색깔 있는 것으로 표시할게요. 00:09:39.430 --> 00:09:42.310 ATP를 소모할 때마다 오렌지색으로 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00:09:42.310 --> 00:09:43.870 여기에서 ATP 1개를 소모하고 00:09:43.870 --> 00:09:46.050 여기에서 나머지 1개를 소모합니다. 00:09:46.050 --> 00:09:48.500 그리고 제가 이야기했듯이, 00:09:48.500 --> 00:09:49.370 이들은 약간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어요. 00:09:49.370 --> 00:09:49.880 이들은 00:09:49.880 --> 00:09:52.040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라고 불립니다. 00:09:52.040 --> 00:09:54.480 이것은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이라고 불립니다. 00:09:54.480 --> 00:09:56.850 완벽히 똑같은 분자에요. 00:09:56.850 --> 00:10:00.130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00:10:00.130 --> 00:10:03.020 세 개의 탄소가 있습니다. 00:10:03.020 --> 00:10:05.670 하나, 둘, 세개의 탄소요. 00:10:05.670 --> 00:10:07.630 그리고 인산기가 붙어있습니다. 00:10:07.630 --> 00:10:09.600 인산기는 사실 산소에 붙어 있죠. 00:10:09.600 --> 00:10:12.160 그러나 단순화를 위해서 00:10:12.160 --> 00:10:13.560 인산기를 그냥 이렇게 그리도록 할게요. 00:10:13.560 --> 00:10:15.750 바로 저기에서 언급했었엉. 00:10:15.750 --> 00:10:16.440 여기 00:10:16.440 --> 00:10:18.535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 바로 여기요. 00:10:18.535 --> 00:10:20.700 위의 이것은 실제 구조입니다. 00:10:20.700 --> 00:10:23.630 그렇지만 저는 이런 실제 구조들을 보면 가끔은 00:10:23.630 --> 00:10:24.680 큰 그림을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00:10:24.680 --> 00:10:25.480 아무튼 그래서 이 구조가 두개 있습니다. 00:10:25.480 --> 00:10:28.600 이 두 상태를 왔다갔다 할 수 있어요. 00:10:28.600 --> 00:10:31.190 서로 다른 이성질체를 말이죠 00:10:31.190 --> 00:10:32.740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00:10:32.740 --> 00:10:34.950 3탄당 구조가 두개 생겼다는 것입니다. 00:10:34.950 --> 00:10:36.520 글루코오스가 쪼개져서요. 00:10:36.520 --> 00:10:39.650 그리고, 우리는 이제 지불 과정에 들어갑니다. 00:10:39.650 --> 00:10:43.050 여기 두 개의 화합물이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00:10:43.050 --> 00:10:44.610 그것이 바로, 이들이 이 메커니즘을 그릴 때 00:10:44.610 --> 00:10:46.310 옆에 곱하기 2를 적어둔 이유입니다. 00:10:46.310 --> 00:10:47.650 왜냐하면 글루코오스가 00:10:47.650 --> 00:10:49.090 두 개의 화합물로 분리되니까요. 00:10:49.090 --> 00:10:50.810 그래서 각각의 분자들은 00:10:50.810 --> 00:10:52.000 여기 이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00:10:52.000 --> 00:10:55.430 그리고 각각의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 00:10:55.430 --> 00:10:58.600 혹은 PGAL들, 혹은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들은 00:10:58.600 --> 00:11:02.920 이 메커니즘을 거치는데요 00:11:02.920 --> 00:11:06.270 여기에서 ADP가 ATP로 바뀌네요. 00:11:06.270 --> 00:11:09.090 그러므로 ATP 1개 추가입니다. 00:11:09.090 --> 00:11:12.410 그리고 여기에서 또 일어나는 것을 다시 볼 수 있죠 00:11:12.410 --> 00:11:14.710 피루브산으로 향하는 과정에서요. 00:11:14.710 --> 00:11:17.100 피루브산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00:11:17.100 --> 00:11:20.330 또다른 ATP가 1개 더 생성됩니다. 00:11:20.330 --> 00:11:23.640 그러므로 각각의 PGAL들, 혹은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들에 대해서 00:11:23.640 --> 00:11:29.290 지불 과정에서 두 개의 ATP를 00:11:29.290 --> 00:11:30.200 생산하게 됩니다. 00:11:30.200 --> 00:11:31.410 이러한 PGAL이 두 개 있고요. 00:11:31.410 --> 00:11:35.040 그래서 총 한 개의 글루코오스에 대해서 우리는 총 00:11:35.040 --> 00:11:37.340 4개의 ATP를 지불과정에서 생산합니다. 00:11:37.340 --> 00:11:39.420 결론적으로 지불과정에서, ATP 4개. 00:11:39.420 --> 00:11:43.230 투자과정에서 하나, 두 개의 ATP를 소모했었죠. 00:11:43.230 --> 00:11:46.080 그래서 총 알짜 ATP는 00:11:46.080 --> 00:11:49.070 해당과정에서 ATP 2개입니다. 00:11:49.070 --> 00:11:51.440 총 생산된 것은 4개지만 00:11:51.440 --> 00:11:54.100 투자 과정에서 2개를 투자해야 하니까요. 00:11:54.100 --> 00:11:58.090 그리고 바로 여기에서 NAD와 NADH를 볼 수 있습니다. 00:11:58.090 --> 00:12:00.760 각각의 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 혹은 00:12:00.760 --> 00:12:03.700 글리세르알데히드 3인산 혹은 PGAL 뭐든 부르고 싶은 대로, 00:12:03.700 --> 00:12:07.540 바로 이 단계에서 우리는 00:12:07.540 --> 00:12:11.800 NAD+가 NADH로 환원된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00:12:11.800 --> 00:12:14.935 그래서 각각의 화합물들에 대해 이러한 일이 일어납니다. 00:12:14.935 --> 00:12:16.500 그리고 명백하게도 이러한 화합물은 두 개 있고요. 00:12:16.500 --> 00:12:18.330 글루코오스가 두 개의 이 화합물들로 쪼개지잖아요. 00:12:18.330 --> 00:12:22.900 그래서 두 개의 NADH들이 생산됩니다. 00:12:22.900 --> 00:12:25.080 그리고 나중에 이것들은 전자전달계에서 00:12:25.080 --> 00:12:30.900 세 개의 ATP를 생산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00:12:30.900 --> 00:12:32.870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 과정이 모두 끝났을 때, 00:12:32.870 --> 00:12:34.250 두 개의 피루브산이 남게 됩니다. 00:12:34.250 --> 00:12:36.715 그림을 크게 그려서 좋네요. 00:12:36.715 --> 00:12:39.550 피루브산이 어떻게 생겼는지 봐요. 00:12:39.550 --> 00:12:42.600 그리고 우리는 산소 결합을 포함한 모든 구조를 00:12:42.600 --> 00:12:43.140 볼 수 있어요. 00:12:43.140 --> 00:12:45.635 아무튼 3탄당입니다. 00:12:45.635 --> 00:12:47.780 세 개의 탄소 골격이 있어요. 00:12:47.780 --> 00:12:51.340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글루코오스가 00:12:51.340 --> 00:12:52.280 둘로 쪼개진겁니다. 00:12:52.280 --> 00:12:53.220 산화된거죠. 00:12:53.220 --> 00:12:54.960 어떤 수소들은 여기에서 떨어져나옵니다. 00:12:54.960 --> 00:12:57.190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여기에는 수소가 세개밖에 없는데 00:12:57.190 --> 00:12:59.810 우리는 처음에 글루코오스에서 12개의 수소로 시작했잖아요 00:12:59.810 --> 00:13:03.750 그리고 지금은 탄소가 00:13:03.750 --> 00:13:04.830 산소와 더 세게 결합하고 있고요. 00:13:04.830 --> 00:13:07.110 그래서 결과적으로는 전자를 00:13:07.110 --> 00:13:09.160 산소에게 빼앗기는 것이지요. 00:13:09.160 --> 00:13:11.430 그래서 탄소는 이 과정에서 산화되는 것입니다. 00:13:11.430 --> 00:13:14.130 산화해야 할 것이 아직 더 남았어요. 00:13:14.130 --> 00:13:20.470 그리고 이 과정에서 우리는 두 개의 알짜 ATP와 00:13:20.470 --> 00:13:26.930 이후에 ATP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두 개의 NADH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00:13:26.930 --> 00:13:29.570 아무튼, 이 내용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