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369 --> 00:00:01.845 다른 영상들에서 00:00:01.845 --> 00:00:04.405 전선에 흐르는 전류가 어떻게 자기장을 00:00:04.405 --> 00:00:07.395 만들 수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00:00:07.395 --> 00:00:09.252 이번 영상에서 살펴보려는 것은 00:00:09.252 --> 00:00:11.042 그와는 반대로 00:00:11.042 --> 00:00:13.227 자기장의 변화가 어떻게 00:00:13.227 --> 00:00:18.063 고리 도선에 전류를 유도시킬 수 있는지 입니다 00:00:18.063 --> 00:00:20.794 우리는 '변화'를 살펴볼 것인데 00:00:20.794 --> 00:00:25.619 고리 도선을 지나는 자속의 00:00:25.619 --> 00:00:26.452 고리 도선을 지나는 자속의 00:00:27.404 --> 00:00:29.821 변화를 살펴볼 것입니다 00:00:32.039 --> 00:00:33.992 00:00:33.992 --> 00:00:36.100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도선에 전류를 00:00:36.100 --> 00:00:38.890 유도하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00:00:38.890 --> 00:00:40.697 유도하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00:00:40.697 --> 00:00:42.197 00:00:43.045 --> 00:00:44.378 00:00:45.767 --> 00:00:46.847 왼쪽의 그림은 00:00:46.847 --> 00:00:49.368 자기장을 그리고자 한 것입니다 00:00:49.368 --> 00:00:51.138 이것들은 자기력선입니다 00:00:51.138 --> 00:00:52.184 화면에 수직인 선들이기 때문에 00:00:52.184 --> 00:00:54.103 선처럼 보이지는 않을 것입니다 00:00:54.103 --> 00:00:56.944 선들은 당신을 향해서 화면을 뚫고 나오고 있습니다 00:00:56.944 --> 00:01:00.524 따라서 화살표의 끝부분이 보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00:01:00.524 --> 00:01:02.331 전기장을 나타내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00:01:02.331 --> 00:01:04.445 이 그림처럼 나타낼 수도 있고 00:01:04.445 --> 00:01:06.103 벡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00:01:06.103 --> 00:01:07.781 그리고 자기력선을 사용할 때는 00:01:07.781 --> 00:01:09.703 선들의 밀도가 00:01:09.703 --> 00:01:11.908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냅니다 00:01:11.908 --> 00:01:13.234 그림의 오른쪽에서는 00:01:13.234 --> 00:01:15.252 선들의 밀도가 작으므로 00:01:15.252 --> 00:01:18.138 자기장은 왼쪽에서보다 00:01:18.138 --> 00:01:20.342 오른쪽에서의 세기가 더 작습니다 00:01:20.342 --> 00:01:23.174 이 그림이 자기장의 세기를 알려줍니다 00:01:23.174 --> 00:01:24.158 만약 벡터로 나타냈다면 00:01:24.158 --> 00:01:26.488 오른쪽에서의 화살표가 왼쪽보다 00:01:26.488 --> 00:01:28.173 더 크게 그려졌을 것입니다 00:01:28.173 --> 00:01:30.524 이제 고리 도선을 그려보겠습니다 00:01:30.524 --> 00:01:32.161 이제 고리 도선을 그려보겠습니다 00:01:32.161 --> 00:01:34.645 ('고리'는 끊이지 않고 한 바퀴 돌아가는 모양을 뜻함) 00:01:34.645 --> 00:01:38.540 ('고리'는 끊이지 않고 한 바퀴 돌아가는 모양을 뜻함) 00:01:38.540 --> 00:01:40.540 (따라서 꼭 원형이 아니어도 됨) 00:01:41.479 --> 00:01:42.812 00:01:44.311 --> 00:01:46.271 이곳에 고리 도선을 두었을 때 00:01:46.271 --> 00:01:48.599 도선이 자기장 안에 고정되어 있고 00:01:48.599 --> 00:01:50.176 자기장이 변화하는 상태가 아니라면 00:01:50.176 --> 00:01:53.434 이 도선으로 인해 정의된 평면을 지나는 00:01:53.434 --> 00:01:55.563 자속이 존재할 것입니다 00:01:55.563 --> 00:01:57.868 '자속'이라는 말이 익숙하지 않다면 00:01:57.868 --> 00:02:00.722 자속에 관련된 영상을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00:02:00.722 --> 00:02:02.053 만약 이 도선을 00:02:02.053 --> 00:02:03.642 자기장 안에 고정시키면 00:02:03.642 --> 00:02:05.878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00:02:05.878 --> 00:02:08.486 하지만 이 표면을 통과하는 자속을 00:02:08.486 --> 00:02:11.323 어떻게든 변화시킨다면 00:02:11.323 --> 00:02:14.814 전류를 유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00:02:14.814 --> 00:02:16.926 예를 들어 현재 자기장은 00:02:16.926 --> 00:02:19.586 화면을 뚫고 나오고 있습니다 00:02:19.586 --> 00:02:21.508 이 자기장을 00:02:21.508 --> 00:02:25.091 더 강력하게 만들 수 있다면 어떨까요? 00:02:25.091 --> 00:02:27.494 한가지 방법은 00:02:27.494 --> 00:02:30.460 화면 바깥 방향으로의 자기장에 00:02:30.460 --> 00:02:33.295 변화를 주어 자속을 더 강력하게 00:02:33.295 --> 00:02:34.915 하는 것입니다 00:02:34.915 --> 00:02:36.259 그림으로 나타내기는 애매하지만 00:02:36.259 --> 00:02:38.571 바깥방향으로 더욱 강력해지므로 00:02:38.571 --> 00:02:40.128 큰 화살표를 그려보겠습니다 00:02:40.128 --> 00:02:41.076 이것들이 바깥 방향으로 00:02:41.076 --> 00:02:45.017 밀도가 조금 더 높아진다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00:02:45.017 --> 00:02:47.879 이는 전류를 유도시킬 것이고 00:02:47.879 --> 00:02:51.578 유도된 전류는 00:02:51.578 --> 00:02:53.402 이 방향이 될 것입니다 00:02:53.402 --> 00:02:55.191 이 방향이 될 것입니다 00:02:55.191 --> 00:02:57.588 00:02:57.588 --> 00:03:01.562 도선을 따라 시계 방향이 될 것입니다 00:03:01.562 --> 00:03:04.628 전류가 흐르는 이유는 자속의 변화가 00:03:04.628 --> 00:03:06.660 전압을 유도했기 때문이고 00:03:06.660 --> 00:03:11.016 전압은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기적 원동력이기 때문입니다 00:03:11.016 --> 00:03:13.044 00:03:13.044 --> 00:03:15.294 자속을 바꾸는 다른 방법들도 있습니다 00:03:15.294 --> 00:03:18.461 바깥쪽이든 어느쪽이든 자기장을 약화시키면 00:03:19.426 --> 00:03:21.009 만약 안쪽으로 자기장을 변화시키면 00:03:21.009 --> 00:03:23.744 만약 안쪽으로 자기장을 변화시키면 00:03:23.744 --> 00:03:25.701 전류는 반대 방향으로 흐를 것입니다 00:03:25.701 --> 00:03:28.277 어쨌든 여기에서 도선으로 정의된 평면을 00:03:28.277 --> 00:03:32.359 통과하는 자속에 변화를 주었을 때 00:03:32.359 --> 00:03:34.295 전류가 유도된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00:03:34.295 --> 00:03:36.317 만약 자기장이 일정하고 00:03:36.317 --> 00:03:37.903 도선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면 00:03:37.903 --> 00:03:41.235 전류는 유도되지 않을 것입니다 00:03:41.235 --> 00:03:43.730 하지만 어떤 방법으로든 자속을 변화시킨다면 00:03:43.730 --> 00:03:45.664 전류가 유도될 것입니다 00:03:45.664 --> 00:03:48.224 자기장을 변화시키는 대신 00:03:48.224 --> 00:03:50.724 도선을 이동시킬 수도 있습니다 00:03:52.820 --> 00:03:54.103 이쪽 방향으로 움직이면 00:03:54.103 --> 00:03:55.293 이쪽 방향으로 움직이면 00:03:55.293 --> 00:03:58.813 이 표면을 통과하는 자속 00:03:58.813 --> 00:04:01.617 즉 표면을 뚫고 나오는 자속은 증가할 것입니다 00:04:01.617 --> 00:04:03.135 왜냐하면 왼쪽으로 갈수록 00:04:03.135 --> 00:04:05.411 자기장의 밀도는 커지고 00:04:05.411 --> 00:04:07.767 세기가 강력해지기 때문에 이 면적을 통과하는 00:04:07.767 --> 00:04:08.965 자속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00:04:08.965 --> 00:04:10.295 따라서 만약 이쪽으로 이동시킨다면 00:04:10.295 --> 00:04:12.100 역시 이와 같은 전류가 유도될 것입니다 00:04:12.100 --> 00:04:13.634 만약 도선이 왼쪽에 위치했을 때 00:04:13.634 --> 00:04:16.188 반대쪽 방향으로 도선을 움직인다면 00:04:16.188 --> 00:04:17.809 역시 전류가 유도되겠지만 00:04:17.809 --> 00:04:19.656 화면 바깥쪽 방향으로의 자속이 00:04:19.656 --> 00:04:20.834 감소하기 때문에 00:04:20.834 --> 00:04:23.132 반대 방향의 전류가 유도될 것입니다 00:04:23.132 --> 00:04:24.537 자속을 변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들도 있습니다 00:04:24.537 --> 00:04:28.176 고리 도선의 면적을 변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00:04:28.176 --> 00:04:29.634 만약 도선이 수축성이 있는 00:04:29.634 --> 00:04:33.432 소재로 만들어졌다면 말입니다 00:04:33.432 --> 00:04:35.969 도선 내부 고리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00:04:35.969 --> 00:04:37.505 도선 내부 고리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00:04:37.505 --> 00:04:39.588 00:04:39.588 --> 00:04:42.838 도선을 늘여서 00:04:44.276 --> 00:04:47.032 도선 내부의 면적이 증가된다면 00:04:47.032 --> 00:04:50.206 도선 내부의 면적이 증가된다면 00:04:50.206 --> 00:04:51.669 00:04:51.669 --> 00:04:53.191 면적의 증가로 인해 00:04:53.191 --> 00:04:55.048 화면을 뚫고 나오는 00:04:55.048 --> 00:04:57.604 자속은 증가할 것이고 00:04:57.604 --> 00:04:59.752 따라서 전류가 유도될 것입니다 00:04:59.752 --> 00:05:02.125 따라서 전류가 유도될 것입니다 00:05:02.125 --> 00:05:06.498 결론적으로 전류를 유도함에 있어서 00:05:06.498 --> 00:05:09.383 자속의 변화가 필수적이고 00:05:09.383 --> 00:05:11.636 더 자세한 내용은 다른 영상들에서 다루겠습니다 00:05:11.636 --> 00:05:14.719 이것이 패러데이 법칙의 기본이고 00:05:15.651 --> 00:05:16.484 00:05:18.051 --> 00:05:19.218 00:05:21.282 --> 00:05:23.668 이 영상에서 중요한 것은 00:05:23.668 --> 00:05:27.640 고리 도선이 있을 때 00:05:27.640 --> 00:05:29.780 고리 도선을 통과하는 00:05:29.780 --> 00:05:31.425 자속이 변화한다면 00:05:31.425 --> 00:05:35.342 전류가 유도될 것이라는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