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텐 더글라스 : 마일스 데이비스와 교신하기]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저의 첫번째 직업은 영화관 안내원이었습니다. 두번째 직업은 DJ였습니다. 저는 2년 동안 페이스라는 클럽에서 일했습니다. 무대 뒤의 부스에 들어가서 디제잉을 하는 거죠. 사람들이 저한테 와서 마이클 잭슨 음악을 틀어달라고 하더군요. 저는 타코마라는 지역으로 갔습니다. 국경 건너편에 있는 지역이었는데 근처에 군대 기지가 있었어요. 많은 흑인들이 군대 기지에 있었어요. 그곳에 펑크와 힙합 음악을 틀어주는 레코드 가게가 있었습니다. 벤쿠버에서는 구할 수 없는 음악들이 있었어요. 저는 제 음악을 녹음하기 위해서 그곳에 직접 방문했습니다. 저는 제 카세트 테이프 기계를 사용해서 멈춤 버튼을 누르면서 디제잉을 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떻게 그랜드믹서 DST의 비트를 할 수 있는지 배웠습니다. 그리고 하비 핸콕의 "락잇"과 "와일드스타일"을 리믹싱했습니다. 제가 이 음악을 리믹스한 사실을 아무도 알지 못했습니다. 그들은 제가 리믹스를 했다는 말을 아무에게나 해서도 안됐습니다. 믹스테이프는 이렇게 해서 현존하는 문화적 미디어를 새롱룬 작품을 만드는 소재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루안다 킨샤사"는 1970년대 마일스 데이비스의 작품에서 제가 보고 영감을 받아 만든 작품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앨범은 마일스데이비스의 "온 더 코너"입니다. 그는 그 시대에 이미 펑크와 락 음악을 섞어 재즈 음악으로 만들어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인도 고전음악을 도입하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면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게 될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만든 앨범은 가장 잘 팔리지 않은 엘범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음악을 들어보면 작품성에 놀라게 되죠. 당시는 그가 마누 이방고의 "소울 마코사"라고 부르는 음악을 녹음했는데 그 음악은 뉴욕의 디스코 언더그라운드 씬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아프로비트 사운드와 데이비드 마일리스의 믹스를 섞으면 어떤 음악이 될까요? 아마 "루안다 칸샤사"가 그런 의도로 만들어진 음악일 겁니다. 이 음악은 두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