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안나 론코: 제가 짧은 곡 하나를
연주해볼께요. 절반 정도는
3D 프린터 바이올린으로 연주한 후
일반 바이올린으로 바꿔 할거에요.
소리의 차이를
근접비교 하실 수 있을 거에요.
[바이올린 연주]
(박수)
진행자: 고마워요. 요안나.
저는 여기 아주 가까이 있어서
들을 수 있었어요.
소리크기가 차이가 있네요.
아마도 "음향 방사" 라고 부르시죠?
요안나: 네. 사실 둘 다 맞아요.
그 둘은 별개의 것이에요.
하나 분명한 것은
3D 프린터로 만든 바이올린은
소리크기가 작고,
더 조용한 소리를 내죠.
진행자: 맞아요.
요안나: 음향반사는 사실 없었어요.
지금 저희는 마이크도 있고
또 주변에 소음도 많거든요.
하지만 이 공간에서 보통
클래식 음악 연주회가 열리고
어쿠스틱 연주회를 하기에도
아주 아름다운 곳이죠.
진행자: 보통 바이올린을 연주할때,
이렇게 마이크를 설치하거나
스피커가 많지 않죠.
그냥 바이올린만 연주하죠.
지금 당신이
할 수 없는게 있는거네요.
저기 뒤쪽 관중에겐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거죠?
요안나: 사실 시도해보진 않았어요.
실험해봐야 하겠지만
제 생각엔 안될거에요.
진행자: 전 실험에 대 찬성인데요.
마이크 죽이고 한번 해볼까요?
별로 어감이 좋진 않네요.
요안나 마이크 볼륨을 좀
꺼주시겠어요?
그리고 바이올린만의
순수한 소리를 감상해보실까요?
요안나: 네.
진행자: 마이크 되나요?
(아뇨)
진행자: 좋아요.
(바이올린 연주)
진행자: 어쿠스틱으로 해볼까요?
(바이올린 연주)
진행자: 뒤에 계시는 분들이
"아, 고마워요" 하시네요.
(박수)
진행자: 제가 또 발견한게 있는데,
기존의 바이올린을 연주하실때
당신의 자세가 바뀌면서,
악기와 하나가 되더군요.
당신 악기인가요?
요안나: 음, 제껀 아니지만
8년째 연주하고 있어요.
진행자: 그럼 당신꺼죠.
요안나: 네 제 악기에요.
진행자: 3D 바이올린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악기와 하나가 된다는게
가능한 일인가요?
요안나: 정말 중요한 질문이에요.
한가지 제가 발견한 사실은
3D 바이올린이
보통 바이올린 보다 훨씬
무겁다는 겁니다.
그래서 장시간 콘서트에서
연주는 못할 것 같아요.
보통 바이올린으로는
장시간 연주할 수 있지만요.
하지만, 3D 바이올린으로 실제 연주를
할 수 있다는게 놀라워요.
정말 믿을 수가 없어요.
바이올린 같긴 하지만,
바이올린이 가진 진동은 없습니다.
나무로 만든 바이올린의 특별한 이유는
세상에 단 하나뿐이란 점입니다.
왜냐하면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악기 하나하나가 달라요.
포지션이나 음의
강약이 서로 다르죠.
음악가로서
그 악기를 알게 되면
포지션만 찾으면 되거든요.
진행자: 각각의 악기는
고유한 특징이 있어요.
3D 로 만든 제품은
다른 것과 똑같을 것입니다.
나무 바이올린으로는 할 수 없는데
3D 바이올린으로만 특별히
할 수 있는게 있나요?
네. 없나 보네요.
요안나: 잘 모르겠어요.
사실 오늘 저와 얘기한 친구도
비슷한 질문을 했었어요.
3D 바이올린이 뭐가 좋냐고.
그 친군 제가 생각해 보지 않은
점을 이야기했어요.
3D 바이올린이
클래식 음악이 아니라 스튜디오 음악에
쓰일수 있지 않을까 라고요.
3D 바이올린 소리가 증폭되면
소리가 모두 일정하기 때문에
아마도 자연스러운 바이올린 소리보다
3D 바이올린 소리를
더 많이 수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클래식 음악 세계에서는
그렇게 못하죠.
진행자: 맞아요.
그래서 우쿨레레는 10유로 쯤 하고
스트라디바리우스는 가난한 사람이죠.
요안나: 네.
진행자: 시간 다 됐네요. 앙코르 곡을
3D 바이올린으로, 그리고 짧은 곡을
나무 바이올린으로 들려주시겠어요?
요안나: 네. 폴란드 카프리치오라는
짧은 곡을 연주할게요.
이 곡은 도입부가 느리고
바이올린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여줄 것입니다.
비록, 3D 프린터로 만든 바이올린엔
불완전함이란 있을수 없고,
그 불완전함이 바로 저의 음악에
아름다움을 더해 주는 것이긴 하지만,
3D 프린터로 바이올린을 만드는건
여전히 놀라워요.
(바이올린 연주)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