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6.000,0:00:07.000 우리가 영화나 연극을 볼 때, 0:00:07.000,0:00:08.000 우리는 배우들이 0:00:08.000,0:00:11.000 대본으로 그 대사를 배웠다는 것을 [br]알고 있습니다. 0:00:11.000,0:00:12.000 대본은 배우들에게 0:00:12.000,0:00:12.000 무엇을 말하고, 0:00:12.000,0:00:14.000 또 언제 말해야 할지를 알려주죠. 0:00:15.000,0:00:16.000 음악 작품 또한 0:00:16.000,0:00:18.000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0:00:18.000,0:00:19.000 아주 기초적인 것 부터 말하자면, 0:00:19.000,0:00:21.000 악보는 연주자가 무엇을 연주하고 0:00:21.000,0:00:23.000 언제 연주를 해야하는지를 알려줍니다. 0:00:23.000,0:00:26.000 미화해서 말하자면, 0:00:26.000,0:00:28.000 베토벤과 0:00:28.000,0:00:29.000 저스틴 비버사이에는 [br]다른 음악 세계가 있습니다. 0:00:29.000,0:00:30.000 하지만 두 예술가는 모두 0:00:30.000,0:00:33.000 그들의 음악을 창조하기 위해 [br]동일한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0:00:33.000,0:00:34.000 바로 음표입니다. 0:00:34.000,0:00:35.000 설령 결과의 끝이 0:00:35.000,0:00:36.000 다소 복잡하게 들릴 수 있다고 하더라도 0:00:36.000,0:00:38.000 음표뒤에 숨어있는 논리는 0:00:38.000,0:00:40.000 상당히 단순합니다. 0:00:40.000,0:00:41.000 자, 이제 봅시다. 0:00:41.000,0:00:43.000 기보법의 기본적인 요소에서[br](기보법 :음악을 기록하는 방법 ) 0:00:43.000,0:00:47.000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여[br]예술 작품을 창조해 내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0:00:47.000,0:00:49.000 음악은 좌우로 그려진 0:00:49.000,0:00:51.000 다섯 줄의 선 위에 쓰여집니다. 0:00:51.000,0:00:53.000 이 다섯개의 선은 오선이라고 부릅니다. 0:00:53.000,0:00:56.000 이 오선은 두 개의 축과 [br]함께 작동하는데요, 0:00:56.000,0:00:57.000 위쪽과 아래쪽 0:00:57.000,0:00:59.000 왼쪽과 오른쪽입니다. 0:00:59.000,0:01:01.000 위-아래 축은 연주자에게 0:01:01.000,0:01:02.000 음의 높낮이나 0:01:02.000,0:01:03.000 어떤 음을 쳐야 하는지 알려줍니다. 0:01:03.000,0:01:06.000 그리고 왼-오른쪽 축은 연주자에게 0:01:06.000,0:01:07.000 음의 리듬과 0:01:07.000,0:01:09.000 언제 연주해야하는지를 알려줍니다. 0:01:09.000,0:01:11.000 음의 높낮이부터 시작하죠. 0:01:11.000,0:01:12.000 이해를 돕기위해, [br]우리는 피아노를 이용해 볼 거에요. 0:01:12.000,0:01:14.000 이 시스템은 [br]여러분이 생각할 수 있는 어떤 악기보다 0:01:14.000,0:01:16.000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0:01:16.000,0:01:18.000 서구의 전통 음악에서 0:01:18.000,0:01:19.000 높낮이는 0:01:19.000,0:01:22.000 처음부터 일곱번째까지 [br]알파벳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0:01:22.000,0:01:22.000 라 0:01:22.000,0:01:23.000 시 0:01:23.000,0:01:23.000 도 0:01:23.000,0:01:24.000 레 0:01:24.000,0:01:24.000 미 0:01:24.000,0:01:25.000 파 0:01:25.000,0:01:26.000 그리고 솔 입니다. 0:01:26.000,0:01:28.000 그리고, 이 주기가 계속 반복이 되죠. 0:01:28.000,0:01:28.000 라 0:01:28.000,0:01:29.000 시 0:01:29.000,0:01:29.000 도 0:01:29.000,0:01:29.000 레 0:01:29.000,0:01:30.000 미 0:01:30.000,0:01:30.000 파 0:01:30.000,0:01:30.000 솔 0:01:30.000,0:01:30.000 라 0:01:30.000,0:01:31.000 시 0:01:31.000,0:01:31.000 도 0:01:31.000,0:01:31.000 레 0:01:31.000,0:01:31.000 미 0:01:31.000,0:01:31.000 파 0:01:31.000,0:01:32.000 솔 0:01:32.000,0:01:33.000 이렇게 말이에요. 0:01:33.000,0:01:35.000 어떻게 음의 높낮이가[br]이런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0:01:35.000,0:01:38.000 예를 들면요, 만약 여러분이 '파'를 누르고 0:01:38.000,0:01:39.000 피아노에서 한 옥타브 더 높거나 낮은 0:01:39.000,0:01:41.000 다른 '파'를 누른다면, 0:01:41.000,0:01:42.000 그 소리가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br]알 수 있을겁니다. 0:01:42.000,0:01:45.000 '레'같은 것과 비교했을 때 말이죠. 0:01:45.000,0:01:46.000 다시 오선으로 돌아가겠습니다. 0:01:46.000,0:01:49.000 두 줄의 각 선과 공간은 0:01:49.000,0:01:51.000 음의 높낮이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0:01:51.000,0:01:53.000 만약 이 선에, 또는 이 공간에서 0:01:53.000,0:01:55.000 하나의 음표를 붙이면 0:01:55.000,0:01:57.000 연주자에게 그 음을 연주하라고[br]말할는 것입니다. 0:01:57.000,0:01:59.000 음표가 더 높이 위치할 수록 0:01:59.000,0:02:01.000 음의 높이도 더욱 높아집니다. 0:02:01.000,0:02:03.000 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음의 높낮이가 있죠. 0:02:03.000,0:02:06.000 이 선과 공간을 합친 [br]아홉개의 높이를 제외하고도요. 0:02:06.000,0:02:08.000 예를 들어, 그랜드 피아노는 0:02:08.000,0:02:10.000 88개의 음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0:02:10.000,0:02:13.000 그렇다면, 어떻게 88개의 음을 오선위에[br]표시할 수 있을까요? 0:02:13.000,0:02:16.000 그래서 우리는[br]'음자리표'라는 것을 이용합니다. 0:02:16.000,0:02:17.000 '음자리표'는 상당히 이상하게 생겼는데 0:02:17.000,0:02:18.000 악보의 맨 처음에 위치해있습니다. 0:02:18.000,0:02:20.000 그리고 기준점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0:02:20.000,0:02:22.000 특정한 선과 공간이 0:02:22.000,0:02:25.000 악기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음에[br]상응하는지를 알려줍니다. 0:02:25.000,0:02:27.000 만약 악보에 있지 않은 음을 [br]치고 싶다면 0:02:27.000,0:02:29.000 우리는 몇개의 선을 [br]추가로 그리는 속임수인 0:02:29.000,0:02:31.000 '덧줄'을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 0:02:31.000,0:02:33.000 음표를 그 위에다가 그려넣는거죠. 0:02:33.000,0:02:35.000 만약,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덧줄을 0:02:35.000,0:02:36.000 아주 많이 그려 넣어야 한다면, 0:02:36.000,0:02:39.000 다른 음자리표로 [br]바꿔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0:02:39.000,0:02:42.000 연주자에게 언제 [br]음을 쳐야하는지를 알려주는 0:02:42.000,0:02:44.000 두 개의 요소가 있습니다. 0:02:44.000,0:02:45.000 박자, 0:02:45.000,0:02:46.000 그리고 리듬입니다. 0:02:46.000,0:02:47.000 음악의 박자는 0:02:47.000,0:02:50.000 사실, 그 자체로는 조금 지루하죠. 0:02:50.000,0:02:51.000 이런 소리입니다. 0:02:54.000,0:02:55.000 소리가 변하지 않는 것을 [br]알 수 있습니다. 0:02:55.000,0:02:57.000 그저 행복하게 잘 진행되고 있습니다. 0:02:57.000,0:03:00.000 느리게 갈 수도 있고, 0:03:00.000,0:03:02.000 빠르게 갈 수도 있습니다. 0:03:02.000,0:03:03.000 여러분이 좋아하는 방식대로요. 0:03:03.000,0:03:06.000 여기서 요점은, [br]마치 1분을 60초로 쪼개는 초침처럼 0:03:06.000,0:03:09.000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0:03:09.000,0:03:12.000 각 초 뒤에 그 다음 초가 이어지듯이 0:03:12.000,0:03:13.000 박자는 음악 작품을 0:03:13.000,0:03:15.000 작은 시간의 단위로 [br]쪼개는 역할을 합니다. 0:03:15.000,0:03:17.000 박자는 모두 0:03:17.000,0:03:18.000 동일한 길이를 지니고 있습니다. 0:03:18.000,0:03:20.000 기본적으로 변함이 없습니다. 0:03:20.000,0:03:22.000 우리는 음의 높낮이에 [br]리듬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0:03:22.000,0:03:24.000 여기서 바로 음악이 시작되는 겁니다. 0:03:25.000,0:03:27.000 이것은 4분음표입니다. 0:03:27.000,0:03:28.000 리듬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죠. 0:03:28.000,0:03:30.000 한 박자를 차지합니다. 0:03:30.000,0:03:33.000 이것은 2분음표입니다. 2박자를 차지합니다. 0:03:33.000,0:03:35.000 여기 있는 온음표는 4박자를 차지하고요, 0:03:35.000,0:03:37.000 이 작은 음표는 8분음표라고 불리는데 0:03:37.000,0:03:39.000 각각 반박자를 차지합니다. 0:03:39.000,0:03:41.000 여러분은 "좋아요. 그런데 [br]그게 무슨말이죠?" 라고 말하겠죠. 0:03:41.000,0:03:42.000 여러분은 0:03:42.000,0:03:44.000 악보의 한 줄의 전체 길이에서 0:03:44.000,0:03:47.000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있는 선을 [br]보셨을지 모르겠습니다. 0:03:47.000,0:03:48.000 이것은 '세로 줄'입니다. 0:03:48.000,0:03:51.000 우리는 각 부분을 이러한 마디로 표시하죠. 0:03:51.000,0:03:53.000 음악이 처음 시작할때, 0:03:53.000,0:03:54.000 음자리표 바로 뒤에 0:03:54.000,0:03:56.000 '박자표'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0:03:56.000,0:04:00.000 '박자표'는 연주자에게 한 마디 안에 [br]얼마나 많은 박자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0:04:00.000,0:04:02.000 이 것은 각 마디안에 [br]두박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0:04:02.000,0:04:03.000 이 말은 세박자, 0:04:03.000,0:04:04.000 이건 네 박자, 0:04:04.000,0:04:05.000 이렇게 말입니다. 0:04:05.000,0:04:07.000 밑에 있는 숫자는 0:04:07.000,0:04:10.000 어떤 음표가 박자의 기본 구성 요소로 [br]사용되는지를 알려 줍니다. 0:04:10.000,0:04:12.000 1은 온음표를 뜻하고요, 0:04:12.000,0:04:13.000 2는 반음표, 0:04:13.000,0:04:15.000 4는 4분음표를 말합니다. 0:04:15.000,0:04:16.000 그리고 8은 8분음표를 의미합니다. 0:04:16.000,0:04:17.000 이렇게 말이에요. 0:04:17.000,0:04:19.000 그래서 이 '박자표'는 0:04:19.000,0:04:22.000 각 마디 안에 4분음표가 4개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0:04:22.000,0:04:22.000 하나 0:04:22.000,0:04:23.000 둘 0:04:23.000,0:04:23.000 셋 0:04:23.000,0:04:24.000 넷 0:04:24.000,0:04:24.000 하나 0:04:24.000,0:04:24.000 둘 0:04:24.000,0:04:25.000 셋 0:04:25.000,0:04:25.000 넷 0:04:25.000,0:04:26.000 이렇게 계속됩니다. 0:04:26.000,0:04:28.000 하지만 제가 조금 전에 말씀드렸듯이, 0:04:28.000,0:04:29.000 이 박자를 계속 동일하게 유지한다면 0:04:29.000,0:04:31.000 음악은 상당히 지루해질 것입니다. 0:04:31.000,0:04:32.000 그래서 몇개의 4분음표를 0:04:32.000,0:04:34.000 다른 리듬으로 바꿔보겠습니다. 0:04:34.000,0:04:36.000 각 마디 안에 있는 음표의 개수는 0:04:36.000,0:04:37.000 변했지만, 0:04:37.000,0:04:40.000 각 마디의 전체 박자수는 [br]변하지 않았습니다. 0:04:41.000,0:04:45.000 그럼 우리가 창조한 음악은 어떨까요? 0:04:47.000,0:04:51.000 오, 좋습니다. 하지만 [br]소리가 약간 가냘프죠? 0:04:51.000,0:04:52.000 이제 여기에 나름의 [br]음높이와 리듬을 가진 0:04:52.000,0:04:53.000 다른 악기를 추가해봅시다. 0:04:54.000,0:04:56.000 이제야 제대로된 음악같네요. 0:04:57.000,0:04:59.000 물론, 연습을 조금 더 해야 0:04:59.000,0:05:00.000 빨리 연주할 수 있고 0:05:00.000,0:05:02.000 우리가 악기에서 보는 그대로[br]연주할 수 있습니다. 0:05:02.000,0:05:04.000 조금만 더 시간과 인내심을 투자하면, 0:05:04.000,0:05:06.000 어러분은 차세대의 베토벤, 0:05:06.000,0:05:07.000 혹은 0:05:07.000,0:05:08.000 저스틴 비버가 될 수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