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1,261 --> 00:00:03,783 5년전쯤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된 것 같은 2 00:00:03,783 --> 00:00:07,119 기분을 느꼈던 적이 있습니다. 3 00:00:07,119 --> 00:00:09,782 펜실배니아 주립대학교에서 공과대학 학생에게 4 00:00:09,782 --> 00:00:13,122 의사소통 관련 과목을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받았거든요. 5 00:00:13,122 --> 00:00:15,728 저는 겁부터 났어요. (웃음) 6 00:00:15,728 --> 00:00:19,399 정말 겁이 났는데 좋은 머리, 두꺼운 책, 알 수도 없는 용어를 7 00:00:19,399 --> 00:00:23,106 사용하는 학생들이란 생각에 겁이 난거죠. 8 00:00:23,106 --> 00:00:26,311 하지만, 의사소통 과목이 진행되면서. 9 00:00:26,311 --> 00:00:29,219 저는 '앨리스'가 토끼 굴에 들어가 완전히 새로운 세상으로 10 00:00:29,219 --> 00:00:33,396 통하는 문을 봤을 때, 어떤 기분이었으리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어요. 11 00:00:33,396 --> 00:00:36,007 그건 꼭 제 학생들과 대화에서 제가 느꼈을 법한 것이었을 겁니다. 12 00:00:36,007 --> 00:00:38,756 저는 학생들이 가진 아이디어에 정말 놀랐어요. 13 00:00:38,756 --> 00:00:43,722 다른 사람들도 이런 "이상한 나라'가 어떤건지 경험해 보기를 바랄 정도였죠. 14 00:00:43,722 --> 00:00:46,353 저는 그 문을 여는 열쇠가 바로 수월한 소통이라고 15 00:00:46,353 --> 00:00:47,643 믿습니다. 16 00:00:47,643 --> 00:00:50,527 세상을 바꾸기 위해서 우리는 과학자나 공학자와의 17 00:00:50,527 --> 00:00:53,586 소통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18 00:00:53,586 --> 00:00:56,476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인류 최대의 도전에 대응하고 있는 19 00:00:56,476 --> 00:00:59,642 사람들이에요. 다른 것말고도 에너지 문제부터 20 00:00:59,642 --> 00:01:02,647 보건 문제 같은 것을 해결하려 애쓰고 있죠. 21 00:01:02,647 --> 00:01:05,809 우리가 그런 것을 이해하고 알지 못한다면 22 00:01:05,809 --> 00:01:08,817 그런 작업은 수행될 수가 없지요. 저는 과학자가 아닌 사람으로써 23 00:01:08,817 --> 00:01:11,768 이런 상호 작용을 갖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반드시 해야할 일이라고 믿습니다. 24 00:01:11,768 --> 00:01:14,928 그런데, 과학자나 공학자들이 우리를 자신들의 '이상한 나라'로 25 00:01:14,928 --> 00:01:18,162 초대하지 않으면 수월성있는 소통은 일어날 수 없겠지요. 26 00:01:18,162 --> 00:01:23,641 그러니, 과학자와 공학자 여러분들, 제발 우리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주세요. 27 00:01:23,641 --> 00:01:26,128 저는 과학자들이 하는 과학이 얼마나 매혹적이고 28 00:01:26,128 --> 00:01:30,203 공학은 얼마나 사람을 사로잡게 되는지 확실하게 볼 수 있도록 29 00:01:30,203 --> 00:01:32,803 이 분들이 어떻게 그런 일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열쇠를 공유하고 싶어요. 30 00:01:32,803 --> 00:01:36,536 우리의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은 "그래서 어쨌다고?"에요. 31 00:01:36,536 --> 00:01:40,491 여러분들이 하는 과학이 우리에게 어떤 관련이 있는지 말해 주세요. 32 00:01:40,491 --> 00:01:43,121 그저 트라베큘라를 연구한다고만 하지말고 33 00:01:43,121 --> 00:01:47,018 자신이 트라베큘라(Trabeculae, 섬유주)를 연구하고 있으며, 그건 사람의 뼈 안에 있는 망구조 같은 것인데 34 00:01:47,018 --> 00:01:51,631 골다공증에 대해 알고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분야라고 말해달라는 겁니다. 35 00:01:51,631 --> 00:01:56,137 그리고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에 대해 이야기할 때, 복잡한 용어를 피해야 합니다. 36 00:01:56,137 --> 00:02:00,013 복잡한 용어는 과학자를 이해하는데 걸림돌이 됩니다. 37 00:02:00,013 --> 00:02:03,089 물론, "시공간적인"이라고 말 할 수도 있지만, 38 00:02:03,089 --> 00:02:06,515 "시간과 공간"이라고 말하면 안될까요? 사람들에게는 그게 훨씬 쉽게 다가오거든요. 39 00:02:06,515 --> 00:02:11,663 자신의 아이디어에 쉽게 접근하게 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40 00:02:11,663 --> 00:02:14,440 그건 아인슈타인이 말했듯이, 모든 것을 가능한 한 간단하게 41 00:02:14,440 --> 00:02:17,874 하라는 것이지, 내용을 잘라내라는 의미는 아니거든요. 42 00:02:17,874 --> 00:02:20,647 분명히 과학자들은 아이디어를 희생하지 않아도 43 00:02:20,647 --> 00:02:23,334 과학에 대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44 00:02:23,334 --> 00:02:27,279 고려해볼만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보일 수도 있고, 45 00:02:27,279 --> 00:02:28,984 이야기를 통해서나, 비유를 들 수있어요. 과학에 대해서 46 00:02:28,984 --> 00:02:31,166 일반인들이 마음이 끌리고 흥분하게 할 방법은 있습니다. 47 00:02:31,166 --> 00:02:37,479 그리고 과학의 결과를 말할 때, 글머리 기호(bullet points)는 피하세요. 48 00:02:37,479 --> 00:02:41,332 그런 것들이 왜 (bullet point라고) 그렇게 불리는지 생각해 보셨나요? (웃음) 49 00:02:41,332 --> 00:02:43,700 총알(bullet)이 어떤 작용을 하죠?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50 00:02:43,700 --> 00:02:46,012 그리고 그런 것은 자신의 발표 내용을 사망에 이르게 하거든요. 51 00:02:46,012 --> 00:02:50,191 이런 슬라이드는 지루할 뿐 아니라 52 00:02:50,191 --> 00:02:53,918 두뇌의 언어 영역에 너무 부담을 줘서 사람들을 완전히 압도하거든요. 53 00:02:53,918 --> 00:02:57,822 그런 것 말고, 제네비브 브라운의 이런 슬라이드의 예는 54 00:02:57,822 --> 00:03:00,704 훨씬 효과적이에요. 이건 골망의 특별한 구조 모형이 55 00:03:00,704 --> 00:03:04,368 매우 강렬해서 사람들은 에펠탑의 특별한 구조와 같은 56 00:03:04,368 --> 00:03:07,223 인상을 갖게 되거든요. 57 00:03:07,223 --> 00:03:10,903 여기서 비결은 단 하나의 읽기 쉬운 문장을 사용함으로써 58 00:03:10,903 --> 00:03:13,955 청중이 내용을 일부 놓치더라도 요점에 집중하고 59 00:03:13,955 --> 00:03:17,233 사람들의 감각에 호소하는 장면으로 작용하니까 60 00:03:17,233 --> 00:03:19,647 원래 전달하려던 내용에 대해 훨씬 더 깊게 이해할 수 61 00:03:19,647 --> 00:03:21,286 있도록 한다는 것이에요. 62 00:03:21,286 --> 00:03:24,136 저는 이런 것들이 보통 사람들이 63 00:03:24,136 --> 00:03:27,658 과학과 공학이라는 '이상한 나라'의 문을 열고 들여다 보게 하는데 64 00:03:27,658 --> 00:03:29,874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65 00:03:29,874 --> 00:03:32,323 제가 함께 일했던 공학자들이 66 00:03:32,323 --> 00:03:36,123 저를 가르쳐서 뼛속까지 이해시키려고 하다보니 67 00:03:36,123 --> 00:03:39,076 저도 방정식을 이용해서 요약해 봤어요. (웃음) 68 00:03:39,076 --> 00:03:43,321 과학의 내용에서 총알(중요 표시)과 어려운 용어는 빼고 69 00:03:43,321 --> 00:03:46,099 연관성으로 나누세요. 70 00:03:46,099 --> 00:03:48,546 이건 청중들과 관련있는 부분을 의미하죠, 71 00:03:48,546 --> 00:03:51,337 그 다음, 거기에다 과학자들이 놀라운 작업에 들였던 72 00:03:51,337 --> 00:03:53,560 열정을 곱하시면 됩니다. 73 00:03:53,560 --> 00:03:56,338 그 결과는 서로가 완전히 이해하는 74 00:03:56,338 --> 00:03:58,812 놀라운 상호 작용과 같아질 겁니다. 75 00:03:58,812 --> 00:04:02,274 그러니까, 과학자와 공학자들께서, 어떤 방정식을 풀어내면 76 00:04:02,274 --> 00:04:07,370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수다스럽게 말해 주세요. (웃음) 77 00:04:07,370 --> 00:04:13,443 감사합니다.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