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술라 본 라이딩스바르: 저의 작품은 너무나도 노동잡약적이기 때문에
이따금 저는 엄청나게 반복적인 일을 해야 합니다.
작품이나 프로젝트를 끝내기 위해서는 말이죠.
이미지를 만드는 것은 아주 쉽습니다.
그렇지만 이미지를 실현하는 것은 정말 어렵습니다.
종종 이미지를 실현하는 과정 중에 있을 때 작품이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곤 합니다.
작업을 하다가 다른 모양을 만들었는데 그 모양이 더 괜찮다고 느껴지면
그 방향으로 작업을 이어가면 됩니다.
저는 2차대전 때 독일의 폴란드 사람들이 거주하던
피난처에서 자라난 아이였고, 저에게는 여섯 명의 형제가 있습니다.
저의 부모님은 놀라운 생존자였습니다.
그리고 저의 집에서 대화는 많이 이루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대화를 너무 많이 하면 즉시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는 시각적 수단을 통해 세상을 배워나갔습니다.
제가 살던 곳은 정보의 큰 진원지였습니다.
누군가가 웃지만, 그 사람은 지나치 웃어서는 안됐습니다.
사람들은 웃지만 자주 웃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적당한 때에만 웃어야 하죠.
그리고 열심히 일하는 것이 삶의 정답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저는 이것이 셰이커 교도들이 살아가는 방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목재로 만든 바닥,
벽 그리고 목재천장으로 만든
가건물에서 살았고 그 장소가 저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의 피까지도 그 일을 기억하는 듯 하죠.
저는 세다르 나무를 사용해서 모든 것을 만듭니다.
이 재료는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마치 종이 조각과도 같아요.
조각을 만들 때 저는 나무를 겹겹이 쌓아 올립니다.
저는 여기에서 보시는 것처럼 각 조각의 겉면에 선을 긋습니다.
그리고 톱을 사용해서 잘라냅니다.
그리고 다시 이 위에 올려 놓습니다.
그리고 정확한 표시를 합니다.
바깥 면을 보면, 바깥쪽에 이 표시들을 볼 수 있으신가요?
안쪽에서, 이 부분의 맨 위에 이 마크가
가장 정확합니다.
만약 이 조각들 중 하나가 튀어나가거나 조각을 잃어버리면
그것을 찾아서 원래 그 조각이 있던 자리에 가져다 놔야 합니다.
우리는 나무를 쌓고 다듬고 나사로 죕니다.
그리고 겹겹이 쌓아놓은 것을
풀로 붙입니다.
절단기는 저희 스튜디오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도구입니다.
어떤 절단기는 우아한 모양으로 절단을 하고
공격적으로 절단을 하는 절단기도 있습니다.
저의 필요에 따라 절단기를 선택합니다.
유기적 모양을 갖추기 위해서 직선으로 자르는 작업을 아주 많이 해야 합니다.
표면은 결국 잘라내야 할 일종의 지표(landscape)가 됩니다.
저는 그 지표를 심리학적 지표 또는
감정적 지표이라고 정의합니다.
흑연은 아주아주 고운 입자입니다. 아주 곱기 때문에
세다르 나무의 기포 안까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저는 아주 단단한 방식으로 목재를 쌓기 때문에
붓을 사용해서 표면을 갈아서 모양을 냅니다.
그리고 나서 제가 원하는 표면을 만들기 위해서 표면을
문질러 반들반들하게 만듭니다.
표면이 저에게 엄청나게 중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거죠.
감정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거라고 할까요?
저는 결코 모형을 만들지 않습니다.
제 작품을 위해 그림을 그리지도 않고요.
왜냐하면 그림들로 인해 제가 제약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저의 선택에 한계를 지울 수 있습니다.
결과가 예측하기 쉽다면 그것은 좋은 것이 아닙니다.
작품을 만들어서 사람들을 놀라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