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553 --> 00:00:04.395 사진은 천 마디 말보다 더 가치가 있습니다. 00:00:04.395 --> 00:00:06.522 그래서 저는 00:00:06.522 --> 00:00:09.190 말보다는 제가 최근에 작업한 사진 몇 장으로 00:00:09.190 --> 00:00:12.357 오늘의 이야기 를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NOTE Paragraph 00:00:30.712 --> 00:00:34.742 이제, 이미 6천 낱말을 말한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00:00:34.742 --> 00:00:36.890 이쯤에서 이야기를 끝내도 될 것 같습니다. NOTE Paragraph 00:00:36.890 --> 00:00:39.310 (웃음) NOTE Paragraph 00:00:39.310 --> 00:00:40.201 그와 동시에 00:00:40.201 --> 00:00:42.137 여러분이 방금 보신 사진에 대해 00:00:42.137 --> 00:00:45.240 설명을 해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00:00:45.240 --> 00:00:47.963 사진가로서 그리고 예술가로서 00:00:47.963 --> 00:00:49.316 제가 하고자 하는 바는 00:00:49.316 --> 00:00:53.823 세상 사람들에게 예술과 과학을 함께 보여주는 것입니다. 00:00:53.823 --> 00:00:56.162 여러분이 보신 것처럼 00:00:56.162 --> 00:00:58.928 비 누거품이 막 터지려고 하는 00:00:58.928 --> 00:01:01.400 순간의 사진이나 00:01:01.400 --> 00:01:04.008 유화 물감의 작은 방울들이 00:01:04.008 --> 00:01:06.506 만들어내는 세계, 00:01:06.506 --> 00:01:10.849 아주 특이하게 움직이는 이상한 액체나 00:01:10.849 --> 00:01:15.115 원심력이 만들어내 는 그림 같은 것들입니다. 00:01:15.115 --> 00:01:19.081 저는 늘 이 두 분야를 함께 연결하려고 노력합니다. NOTE Paragraph 00:01:19.081 --> 00:01:21.471 이 두 분야가 흥미로운 까닭은 00:01:21.471 --> 00:01:24.750 둘 다 같은 것을 보고 있기 때문이죠. 00:01:24.750 --> 00:01:27.574 그것들은 주변 환경에 대한 반응입니다. 00:01:27.574 --> 00:01:31.467 그렇지만 그 둘은 아주 다른 반응을 보이죠. 00:01:31.467 --> 00:01:33.514 여러분이 한편으로 과학을 보면 00:01:33.514 --> 00:01:36.937 과학은 주변 환경에 대한 00:01:36.937 --> 00:01:38.418 아주 이성적인 접근입니다. 00:01:38.418 --> 00:01:40.507 반면에 예술은 00:01:40.507 --> 00:01:44.810 감성적으로 주변 환경에 접근합니다. 00:01:44.810 --> 00:01:46.827 제가 하고자 하는 바는 00:01:46.827 --> 00:01:49.468 이들 두 가지 관점을 하나로 합쳐서 00:01:49.468 --> 00:01:53.418 제가 찍은 사진이 보는 사람들의 감성과 이성에 00:01:53.418 --> 00:01:56.612 모두 호소하게끔 하는 거죠. 00:01:56.612 --> 00:02:01.278 세 가지 프로젝트의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NOTE Paragraph 00:02:01.278 --> 00:02:06.332 첫 작품은 소리를 눈에 보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00:02:06.332 --> 00:02:07.350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00:02:07.350 --> 00:02:09.976 소리는 파동으로 이동합니다. 00:02:09.976 --> 00:02:12.299 그래서 스피커가 있으면 00:02:12.299 --> 00:02:14.348 스피커는 실제로 별다른 일을 하는게 아니라 00:02:14.348 --> 00:02:16.232 소리 신호를 받아서 00:02:16.232 --> 00:02:19.829 진동으로 바꾸고, 00:02:19.829 --> 00:02:22.530 진동이 공기를 통해 이동하면 00:02:22.530 --> 00:02:24.392 우리 귀가 그것을 포착하여 00:02:24.392 --> 00:02:27.933 소리 신호로 다시 바꾸는 거죠. 00:02:27.933 --> 00:02:29.779 그래서 저는 생각했습니다. 00:02:29.779 --> 00:02:33.999 어떻게 하면 음파를 눈에 보이게 할 수 있을까? 00:02:33.999 --> 00:02:36.115 그래서 다음과 같은 장치를 생각해냈습니다. 00:02:36.115 --> 00:02:39.835 스피커를 가져다가 00:02:39.835 --> 00:02:42.070 그 위를 얇은 플라스틱 막으로 덮은 다음 00:02:42.070 --> 00:02:44.737 아주 작은 수정 알갱이들을 00:02:44.737 --> 00:02:46.714 그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00:02:46.714 --> 00:02:49.614 그리고 그 스피커로 소리를 틀면 00:02:49.614 --> 00:02:53.496 수정 알갱이가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됩니다. 00:02:53.496 --> 00:02:55.795 그런데 이 과정은 아주 빨리 일어나서 00:02:55.795 --> 00:02:57.747 눈깜짝할 사이에 끝나버립니다. 00:02:57.747 --> 00:03:01.434 그래서 LG와 함께 이 움직임을 00:03:01.434 --> 00:03:03.120 카메라로 잡아냈는데 이 카메라는 00:03:03.120 --> 00:03:06.595 1초에 3천 장면 이상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00:03:06.595 --> 00:03:10.068 어떻게 보이는지 보여드리죠. NOTE Paragraph 00:03:10.068 --> 00:03:15.435 (음악: 매시브 어택의 "눈물") NOTE Paragraph 00:03:51.406 --> 00:03:56.724 (박수) NOTE Paragraph 00:03:56.724 --> 00:03:57.987 정말 고맙습니다. 00:03:57.987 --> 00:04:01.231 정말 놀랍죠. NOTE Paragraph 00:04:01.231 --> 00:04:03.590 그런데 재미있는 얘기를 한가지 해드려야겠군요. 00:04:03.590 --> 00:04:06.104 저는 로스엔젤레스에서 이걸 찍으면서 00:04:06.104 --> 00:04:08.152 실내에서 얼굴이 탔습니다. 00:04:08.152 --> 00:04:09.477 로스엔젤레스에서는 00:04:09.477 --> 00:04:12.153 어느 바닷가엘 가든 얼굴이 꽤나 타는데 00:04:12.153 --> 00:04:14.223 저는 실내에서 얼굴이 탔어요. 00:04:14.223 --> 00:04:15.932 무슨 일이 벌어졌냐 하면 00:04:15.932 --> 00:04:18.753 초당 3천 장면의 사진을 찍으려고 하면 00:04:18.753 --> 00:04:23.242 엄청난 양의 조명, 아주 많은 조명이 필요합니다. 00:04:23.242 --> 00:04:25.771 그래서 우리는 스피커를 설치하고 00:04:25.771 --> 00:04:27.370 거기에 카메라를 향하게 한 후, 00:04:27.370 --> 00:04:30.756 많은 조명을 스피커에 맞추어 준비합니다. 00:04:30.756 --> 00:04:32.111 저는 스피커를 설치하고 00:04:32.111 --> 00:04:35.157 그 스피커 위에 아주 작은 수정 알갱이들을 올렸습니다. 00:04:35.157 --> 00:04:37.978 우리는 이 과정을 계속 되풀이했는데 00:04:37.978 --> 00:04:39.729 한낮이 되어서야 00:04:39.729 --> 00:04:43.076 제 얼굴이 완전히 붉게 변한 걸 깨달았죠. 00:04:43.076 --> 00:04:46.162 조명이 스피커를 향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어요. 00:04:46.162 --> 00:04:48.468 정말 웃겼던 사실은 00:04:48.468 --> 00:04:51.195 스피커가 오른쪽만 나왔기 때문에 00:04:51.195 --> 00:04:54.562 제 얼굴 오른쪽만 완전히 붉게 변해서 00:04:54.562 --> 00:04:56.404 오페라의 유령처럼 00:04:56.404 --> 00:04:59.246 그 주 내내 그렇게 보내야 했습니다. NOTE Paragraph 00:04:59.246 --> 00:05:01.349 이제 다른 프로젝트로 가보겠습니다. 00:05:01.349 --> 00:05:04.869 이건 좀 덜 해로운 물질을 가지고 합니다. 00:05:07.852 --> 00:05:11.492 자성 유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00:05:11.492 --> 00:05:14.014 몇 분이 계시네요. 좋습니다. 00:05:14.014 --> 00:05:15.891 그 부분을 넘어갈까요? NOTE Paragraph 00:05:15.891 --> 00:05:17.473 (웃음) NOTE Paragraph 00:05:17.473 --> 00:05:20.736 자성유체는 아주 이상한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00:05:20.736 --> 00:05:22.988 완전히 검은 색깔의 액체이고 00:05:22.988 --> 00:05:25.482 기름과 같은 성질을 가집니다. 00:05:25.482 --> 00:05:28.942 그 속에는 아주 작은 금속 입자들이 들어 있어서 00:05:28.942 --> 00:05:31.081 자성을 갖게 하죠. 00:05:31.081 --> 00:05:34.634 이 액체를 자기장에 넣으면 00:05:34.634 --> 00:05:37.427 모양이 바뀝니다. NOTE Paragraph 00:05:37.427 --> 00:05:39.162 지금 여기서 실제로 00:05:39.162 --> 00:05:43.798 보여드리겠습니다. 00:05:47.533 --> 00:05:50.486 카메라가 아래쪽으로 이 판을 보게 하고, 00:05:50.486 --> 00:05:54.014 판 아래에는 자석이 있습니다. 00:05:54.014 --> 00:05:57.006 이제 자성액체를 00:05:57.006 --> 00:06:00.310 자기장에 넣겠습니다. NOTE Paragraph 00:06:05.609 --> 00:06:09.738 오른쪽으로 조금 옮겨서 00:06:13.330 --> 00:06:18.088 초점을 조금 더 맞추겠습니다. 좋군요. NOTE Paragraph 00:06:18.088 --> 00:06:20.281 지금 여러분이 보시는 것은 00:06:20.281 --> 00:06:22.678 자성액체가 돌기를 만들어낸 모습입니다. 00:06:22.678 --> 00:06:26.031 이것은 액체 안에 있는 입자 하나하나의 00:06:26.031 --> 00:06:29.740 인력과 반발력 때문입니다. 00:06:29.740 --> 00:06:31.983 이건 꽤나 흥미로운데 00:06:31.983 --> 00:06:35.537 거기에다 수채화 물감을 넣어보겠습니다. 00:06:35.537 --> 00:06:37.991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00:06:37.991 --> 00:06:39.622 보통 수채화 물감입니다. 00:06:39.622 --> 00:06:42.425 사람들은 주사기로 그림을 그리지는 않겠지만 00:06:42.425 --> 00:06:45.953 효과는 같습니다. 00:06:58.798 --> 00:07:00.910 이제 보시는 것은 00:07:00.910 --> 00:07:04.154 수채화 물감이 구조 속으로 흘러 들어갈 때 00:07:04.154 --> 00:07:07.505 수채화 물감은 자성액체와 섞이지 않습니다. 00:07:07.505 --> 00:07:09.841 자성액체는 그 자체가 00:07:09.841 --> 00:07:12.024 물을 싫어합니다. 00:07:12.024 --> 00:07:14.187 그 말은 물과 섞이지 않는다는 뜻이죠. 00:07:14.187 --> 00:07:17.196 그와 동시에 자성액체는 자기장 위에서 00:07:17.196 --> 00:07:18.561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00:07:18.561 --> 00:07:21.956 그래서 그것이 다채로운 수성 물감으로 된 00:07:21.956 --> 00:07:25.289 운하와 작은 연못의 00:07:25.289 --> 00:07:27.869 놀라운 구조를 만들어냅니다. 00:07:27.869 --> 00:07:29.620 그게 두번째 프로젝트였습니다. NOTE Paragraph 00:07:29.620 --> 00:07:31.972 이제 마지막 프로젝트로 가서 00:07:31.972 --> 00:07:36.744 이것은 00:07:36.744 --> 00:07:38.834 스코트랜드의 국민 음료와 관련이 있습니다. 00:07:38.834 --> 00:07:41.154 (웃음) NOTE Paragraph 00:07:41.154 --> 00:07:45.074 이 사진과 이 사진은 00:07:45.074 --> 00:07:48.345 위스키를 이용해서 찍었습니다. 00:07:48.345 --> 00:07:49.835 여러분은 이렇게 물어보시겠죠. 00:07:49.835 --> 00:07:50.863 어떻게 저걸 만들지? 00:07:50.863 --> 00:07:52.712 위스키 반 병을 마시고 00:07:52.712 --> 00:07:55.423 술에 취해서 본 환상을 00:07:55.423 --> 00:07:59.037 종이 위에 그린 건가? 00:07:59.037 --> 00:08:01.281 제가 이 사진을 찍었을 때 00:08:01.281 --> 00:08:04.391 정신이 아주 말짱했다고 말씀드리고 싶군요. NOTE Paragraph 00:08:04.391 --> 00:08:08.493 자, 위스키는 40%의 알콜 함량을 갖고 있고 00:08:08.493 --> 00:08:12.729 알콜은 아주 재미난 특성을 갖고 있죠. 00:08:12.729 --> 00:08:14.420 여러분은 어쩌면 00:08:14.420 --> 00:08:16.546 그런 특성을 이미 경험하셨을 수도 있는데 00:08:16.546 --> 00:08:19.265 저는 물리적인 특성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00:08:19.265 --> 00:08:21.500 다른 특성이 아니구요. 00:08:21.500 --> 00:08:24.090 병을 열면 알콜 분자가 00:08:24.090 --> 00:08:27.043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는데 00:08:27.043 --> 00:08:31.123 알콜은 휘발성이 강한 물질이라 그렇습니다. 00:08:31.123 --> 00:08:35.810 그와 동시에 알콜은 불에 잘 탑니다. 00:08:35.810 --> 00:08:37.959 이런 두 가지 특성을 가지고 00:08:37.959 --> 00:08:40.564 저는 여러분이 지금 보시는 00:08:40.564 --> 00:08:42.594 사진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NOTE Paragraph 00:08:42.594 --> 00:08:46.065 여기서 그 장면을 보여드리죠. 00:08:52.709 --> 00:08:56.027 여기 있는 것은 빈 유리 용기인데 00:08:56.027 --> 00:08:57.336 안에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00:08:57.336 --> 00:09:01.144 이제 유리 용기를 산소와 00:09:01.144 --> 00:09:03.825 위스키로 채우겠습니다. 00:09:19.962 --> 00:09:22.915 좀 더 넣죠. 00:09:26.171 --> 00:09:28.186 이제 몇 초 동안 기다리면 00:09:28.186 --> 00:09:31.233 분자가 병 안에서 퍼집니다. 00:09:31.233 --> 00:09:33.630 이제 불을 한 번 질러 보죠. NOTE Paragraph 00:09:33.630 --> 00:09:38.340 (웃음) NOTE Paragraph 00:09:51.740 --> 00:09:53.278 그게 다입니다. 00:09:53.278 --> 00:09:56.477 정말 빨라서 별로 인상에 남지 않습니다. 00:09:56.477 --> 00:09:59.083 한 번 더 보여드릴 수 있습니다만, 00:09:59.083 --> 00:10:01.814 몇몇 분들은 그게 위스키를 낭비할 뿐이고 00:10:01.814 --> 00:10:05.666 차라리 위스키를 마시는게 낫다고 하시겠죠. NOTE Paragraph 00:10:05.666 --> 00:10:07.754 아주 어두운 방에서 00:10:07.754 --> 00:10:09.449 느린 동작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00:10:09.449 --> 00:10:14.699 좀전에 실제로 보여드린 것과 똑같은 것입니다. 00:10:21.605 --> 00:10:24.338 무슨 일이 벌어졌냐 하면 불꽃이 00:10:24.338 --> 00:10:28.330 유리 용기 안에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00:10:28.330 --> 00:10:30.059 공기 분자와 00:10:30.059 --> 00:10:33.208 알콜이 섞인 기체를 태웁니다. 00:10:33.208 --> 00:10:36.024 여러분이 처음에 보신 사진은 00:10:36.024 --> 00:10:40.368 불꽃이 병 안에서 이동하는 동안 00:10:40.368 --> 00:10:42.846 순간적으로 멈춘 것입니다. 00:10:42.846 --> 00:10:45.254 사진은 180도 뒤집어진 것이라 00:10:45.254 --> 00:10:47.530 상상을 좀 하셔야 합니다. 00:10:47.530 --> 00:10:49.968 그렇게해서 이런 사진이 나왔습니다. NOTE Paragraph 00:10:49.968 --> 00:10:54.324 (박수) NOTE Paragraph 00:10:54.324 --> 00:10:57.097 고맙습니다. NOTE Paragraph 00:10:57.097 --> 00:11:00.180 자, 여러분 께 세 가지 프로젝트를 보여드렸는데 00:11:00.180 --> 00:11:02.832 여러분은 이렇게 질문하실 수도 있어요. 그게 무슨 소용이야? 00:11:02.832 --> 00:11:04.423 무슨 생각으로 저걸 만들었지? 00:11:04.423 --> 00:11:05.756 그냥 위스키만 낭비한 거 아냐? 00:11:05.756 --> 00:11:09.981 그냥 좀 이상한 물질이네? 00:11:09.981 --> 00:11:12.224 세 가지 프로젝트는 아주 단순한 00:11:12.224 --> 00:11:14.456 과학적 현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00:11:14.456 --> 00:11:17.197 자성, 음파, 00:11:17.197 --> 00:11:21.239 그리고 여기 물질의 물리적 특성과 같은 것들입니다. 00:11:21.239 --> 00:11:23.151 그리고 제가 하고자 하는 바는 00:11:23.151 --> 00:11:26.300 이들 현상을 이용해서 그 현상들을 00:11:26.300 --> 00:11:29.417 시적이면서 여태까지 본 적이 없는 방식으로 표현해서 00:11:29.417 --> 00:11:31.836 보는 사람들이 00:11:31.836 --> 00:11:33.736 한 순간 멈춰서서 00:11:33.736 --> 00:11:36.451 우리를 늘 둘러싸고 있는 것들의 00:11:36.451 --> 00:11:40.394 아름다움에 대 해 생각해보게 하는 거죠. NOTE Paragraph 00:11:40.394 --> 00:11:41.823 정말 감사합니다. NOTE Paragraph 00:11:41.823 --> 00:11:46.316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