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VTT 00:00:00.743 --> 00:00:03.302 이 영상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신장(콩팥)에 관한 것입니다 00:00:03.302 --> 00:00:05.500 이것은 신장을 나타내는 그림이고 00:00:05.500 --> 00:00:08.200 이제 신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볼 것입니다 00:00:08.200 --> 00:00:10.500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 즉 가장 작은 부분은 '네프론'이라고 불립니다 00:00:10.500 --> 00:00:11.420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 즉 가장 작은 부분은 '네프론'이라고 불립니다 00:00:11.420 --> 00:00:16.700 지금부터 신장과 네프론에 대해서 말하도록 하겠습니다 00:00:16.700 --> 00:00:18.780 아마 모두들 '신장'에 대해서는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00:00:18.780 --> 00:00:19.680 우리들 각각은 신장을 2개씩 가지고 있죠 00:00:19.680 --> 00:00:23.270 제 생각에 신장이라는 기관은 무언가를 배설한다는 기능에서 00:00:23.270 --> 00:00:27.860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기관일 것입니다 00:00:27.860 --> 00:00:32.229 그러나 신장은 배설하는 기능뿐 아니라 체내의 수분 농도를 유지시켜 주고 00:00:32.229 --> 00:00:38.730 염분이나 전해질의 농도,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00:00:38.730 --> 00:00:40.010 그래도 간단하게 말하면 00:00:40.010 --> 00:00:40.870 물을 보존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00:00:40.870 --> 00:00:42.960 그리고 신장은 호르몬 같은 것을 생산하기도 하는데 00:00:42.960 --> 00:00:45.190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 00:00:45.190 --> 00:00:48.580 우리는 이 영상에서 00:00:48.580 --> 00:00:52.210 신장의 기능만을 전체적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00:00:52.210 --> 00:00:54.130 우리는 모두 신장을 2개 가지고 있습니다 00:00:54.130 --> 00:00:57.480 신장은 우리의 등과 가까이 위치해 있고 00:00:57.480 --> 00:00:59.210 척추의 양 옆에, 그러니까 간 뒤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00:00:59.210 --> 00:01:02.470 이 사진은 신장을 확대한 것입니다 00:01:02.470 --> 00:01:04.239 만약 이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보고 있다면 이 그림이 00:01:04.239 --> 00:01:07.150 엄청 크게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는 이 그림을 00:01:07.150 --> 00:01:10.980 잘라서 신장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겠습니다 00:01:10.980 --> 00:01:15.130 이 그림의 각 부분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00:01:15.130 --> 00:01:17.660 우리가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 네프론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중요해 질 것입니다 00:01:17.660 --> 00:01:20.520 우리가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 네프론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중요해 질 것입니다 00:01:20.520 --> 00:01:24.930 여기 마우스가 가리키고 있는 부분, 그러니까 여기부터 여기까지는 00:01:24.930 --> 00:01:28.910 '신장 겉질(=신장 수질)'이라고 합니다 00:01:28.910 --> 00:01:31.550 우리가 신장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도중에 00:01:31.550 --> 00:01:34.110 'renal'이라는 단어가 나온다면 이것은 신장에 관한 00:01:34.110 --> 00:01:34.580 용어라는 뜻 입니다 00:01:34.580 --> 00:01:36.800 그래서 여기 이 부분은 '신장 겉질'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00:01:36.800 --> 00:01:38.230 신장의 바깥쪽 껍질 부분에 있습니다 00:01:38.230 --> 00:01:44.380 그리고 여기 이 부분은 '신장 속질(=신장 피질)'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00:01:44.380 --> 00:01:46.480 '속질'이라는 말은 안쪽에 있다는 뜻입니다 00:01:46.480 --> 00:01:49.050 따라서 '신장 속질'은 신장의 안쪽에서 볼 수 있겠죠 00:01:52.400 --> 00:01:55.680 이런 용어들을 이해하는 과정을 지나서 00:01:55.680 --> 00:01:58.350 우리는 신장의 중요한 역할인 00:01:58.350 --> 00:02:01.720 여과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00:02:01.720 --> 00:02:05.730 여과는 노폐물을 배설하고 너무 많은 물을 흡수하거나 NOTE Paragraph 00:02:05.730 --> 00:02:09.020 배설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00:02:10.370 --> 00:02:14.330 아까도 말했듯이, 그리고 다른 선생님들의 강의에서도 00:02:14.330 --> 00:02:16.490 알수 있듯이,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는 네프론 입니다 00:02:16.490 --> 00:02:19.970 알수 있듯이, 신장의 기능적인 단위는 네프론 입니다 00:02:22.650 --> 00:02:28.290 그리고 네프론이 기능적인 단위로 불리는 이유에는 00:02:28.290 --> 00:02:30.250 2가지 중요한 과정이 00:02:30.250 --> 00:02:32.520 일어나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00:02:32.520 --> 00:02:35.780 신장의 주요 두 기능은 노폐물의 배설과 00:02:35.780 --> 00:02:37.600 혈액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 조절입니다 00:02:37.600 --> 00:02:39.620 혈액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 조절입니다 00:02:39.620 --> 00:02:43.520 그래서 이 그림을 이용해 네프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0:02:43.520 --> 00:02:46.970 이 그림은 위키피디아에서 가져왔습니다 00:02:46.970 --> 00:02:49.690 이 그림은 여기에 한 쌍의 네프론을 표현하려고 했군요 00:02:49.690 --> 00:02:52.100 그래서 네프론이 이렇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죠 00:02:52.100 --> 00:02:54.150 그리고 신장 속질로 내려가게 되고 00:02:54.150 --> 00:02:57.390 다시 신장 겉질로 나오면서 집합관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00:02:57.390 --> 00:03:00.460 그러면 액체는 여기에 있는 수뇨관으로 흘러가게 되고 00:03:00.460 --> 00:03:04.690 만들어진 오줌을 나중에 배설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인 방광에 모이게 됩니다 00:03:04.690 --> 00:03:07.770 만들어진 오줌을 나중에 배설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인 방광에 모이게 됩니다 00:03:07.770 --> 00:03:10.780 그럼 네프론의 크기는 얼마나 될지 예상이 되십니까? 00:03:10.780 --> 00:03:11.800 그럼 네프론의 크기는 얼마나 될지 예상이 되십니까? 00:03:11.800 --> 00:03:13.470 여기가 출발하는 곳이고 다시 내려가는 곳입니다 00:03:13.470 --> 00:03:15.840 수많은 네프론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00:03:15.840 --> 00:03:18.140 구성되어 있지만 그것을 구성하는 관은 정말 얇습니다 00:03:18.140 --> 00:03:20.800 이 관들은 정말 정말 얇습니다 00:03:20.800 --> 00:03:21.590 이 관들은 정말 정말 얇습니다 00:03:21.590 --> 00:03:27.440 하나의 신장에는 평균적으로 약 100만 개의 네프론이 들어 있을 정도입니다 00:03:31.320 --> 00:03:34.470 그러나 네프론이 매우 작은 것만은 아닙니다 00:03:34.470 --> 00:03:39.390 네프론은 아래로 하강하는 관 등을 보면 최소한의 길이를 가지게 됩니다 00:03:41.880 --> 00:03:45.510 하나의 신장에는 이러한 네프론들이 말그대로 구겨져 있는 것이죠 00:03:45.510 --> 00:03:49.580 그럼 이제 네프론이 어떻게 혈액을 거르고 00:03:49.580 --> 00:03:52.880 수분 또는 꼭 필요한 물질이 혈액에서 빠져나가고 00:03:52.880 --> 00:03:56.530 결국에 소변으로 만들어지는지를 볼 차례입니다 00:03:58.330 --> 00:04:04.070 그럼 여기에 네프론을 그려 보겠습니다 00:04:04.070 --> 00:04:07.200 여기서 시작하겠습니다 00:04:07.200 --> 00:04:08.850 먼저 혈관을 그립시다 00:04:08.850 --> 00:04:13.480 혈액은 동맥에서 들어옵니다 00:04:13.480 --> 00:04:15.780 이것은 동맥 모세혈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00:04:15.780 --> 00:04:17.589 그럼 이쪽으로 혈액이 들어오게 됩니다 00:04:17.589 --> 00:04:21.820 이 혈관은 '수입소동맥'이라고 불립니다 00:04:21.820 --> 00:04:23.230 이 이름들을 알아두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00:04:23.230 --> 00:04:24.480 언젠가는 또 보게 될 것입니다 00:04:26.670 --> 00:04:28.170 혈액이 들어오면 00:04:28.170 --> 00:04:32.060 이렇게 생긴 구불구불한 곳으로 가게 됩니다 00:04:32.060 --> 00:04:34.810 여기에는 혈관이 이렇게 매우 얽혀 있습니다 00:04:34.810 --> 00:04:36.060 이것은 '사구체'라고 합니다 00:04:43.490 --> 00:04:45.870 그리고 남은 혈액은 '수출소동맥'을 통해 나가게 됩니다 00:04:57.100 --> 00:04:58.610 '수출'이라는 말은 중심에서부터 나간다는 말입니다 00:04:58.610 --> 00:05:02.750 '수입'은 중심을 향해서, '수출'은 중심에서 이동하게 됩니다 00:05:02.750 --> 00:05:04.340 나중에 말하게 될텐데 흥미로운 것은 00:05:04.340 --> 00:05:05.830 이 부분의 혈액은 동맥을 지나가고 있고 00:05:05.830 --> 00:05:07.630 아직 산소로 포화된 혈액이라는 점입니다 00:05:08.770 --> 00:05:12.260 보통 사구체와 같은 모세혈관을 지나게 되면 00:05:12.260 --> 00:05:14.950 정맥으로 통하게 되지만 00:05:14.950 --> 00:05:18.650 여기는 아직 동맥이라는 것입니다 00:05:18.650 --> 00:05:21.280 이것은 아마 동맥이 더 높은 혈압을 00:05:21.280 --> 00:05:22.760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00:05:22.760 --> 00:05:28.730 사구체에서는 혈액을 짜내서 혈액이 녹아있는 성분들이 00:05:28.730 --> 00:05:30.970 밖으로 나와야 합니다 00:05:30.970 --> 00:05:35.420 이 투과한 물질들을 통제하기 위해 사구체는 투과성이 높습니다 00:05:35.420 --> 00:05:37.460 그리고 이를 이용할 다른 세포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00:05:37.460 --> 00:05:39.220 이것은 일종의 단면도와 같은 것입니다 00:05:44.470 --> 00:05:49.200 사구체는 이와 같은 구조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00:05:49.200 --> 00:05:53.350 여기가 세포들로 둘러싸여 있는 것을 상상해 보세요 00:05:53.350 --> 00:05:56.980 그리고 모세 혈관에서도 세포들이 줄지어 구성되어 있습니다 00:05:58.960 --> 00:06:02.190 이 줄들은 이제 작은 세포들을 의미합니다 00:06:03.420 --> 00:06:04.540 혈액이 들어오게 되면 00:06:04.540 --> 00:06:05.900 매우 높은 혈압을 가지고 들어오게 됩니다 00:06:05.900 --> 00:06:06.960 사구체는 투과성이 높다고 했었죠 00:06:06.960 --> 00:06:10.020 여기에는 '족세포'(podocyte)들이 있습니다 00:06:10.020 --> 00:06:11.880 이 세포들은 무언가를 걸러 내는 데에 00:06:11.880 --> 00:06:14.630 특화되어 있고 혈액의 약 1/5이 걸려져 00:06:14.630 --> 00:06:20.640 여기에 있는 구조인 00:06:20.640 --> 00:06:22.550 '보먼 주머니'로 향하게 됩니다 00:06:22.550 --> 00:06:23.690 이 구조들을 다 합쳐서 00:06:23.690 --> 00:06:24.940 보먼 주머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00:06:28.270 --> 00:06:30.650 보먼 주머니는 구 모양이며 한쪽이 열려 있어서 00:06:30.650 --> 00:06:34.050 모세 혈관이 들어와서 얽힐 수 있는 공간이 여기 생깁니다 00:06:36.890 --> 00:06:41.270 이 안쪽에는 이렇게 공간이 있고 00:06:41.270 --> 00:06:42.150 각각의 구조물은 00:06:42.150 --> 00:06:44.200 모두 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00:06:46.830 --> 00:06:48.730 이제 '여과'라는 과정이 끝났습니다 00:06:48.730 --> 00:06:53.190 여과액은 사구체에서 압착 후 걸러진 액체입니다 00:06:53.190 --> 00:06:56.380 여과액은 아직 오줌이라고 부를 만큼의 00:06:56.380 --> 00:07:01.720 단계를 지나지 않았습니다 00:07:01.720 --> 00:07:04.400 아직 '여과'라는 단계 밖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00:07:04.400 --> 00:07:07.220 그리고 여과된 액체 중에는 약 20% 정도가 00:07:07.220 --> 00:07:10.450 작은 이온, 염류, 포도당과 같은 작은 분자들이나 00:07:10.450 --> 00:07:16.430 심지어 아미노산도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00:07:19.570 --> 00:07:21.086 여기에는 엄청난 양의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00:07:21.086 --> 00:07:22.080 그러면 아이디어를 하나 내 봅시다 00:07:22.080 --> 00:07:25.370 적혈구나 큰 분자들, 큰 단백질과 같이 00:07:25.370 --> 00:07:31.340 걸러지지 않는 물질들이 있었습니다 00:07:31.340 --> 00:07:33.126 그것들은 '여과'되지 않습니다 00:07:34.133 --> 00:07:36.700 여과되는 것들은 보통 작은 분자들로 00:07:36.700 --> 00:07:40.910 보먼 주머니를 지나서 생기는 00:07:40.910 --> 00:07:42.390 여과액의 일부가 됩니다 00:07:42.390 --> 00:07:45.110 그럼 이제 네프론의 다른 부분들이 하는 역할, 00:07:45.110 --> 00:07:46.960 (보먼 주머니는 시작에 불과합니다) 00:07:46.960 --> 00:07:51.280 그러니까 신장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 봅시다 00:07:51.280 --> 00:07:54.760 그럼 여기에 동맥이 있고 00:07:54.760 --> 00:07:56.980 여기에는 보먼 주머니가 있다고 합시다 00:07:56.980 --> 00:07:59.075 이 흰색 작은 점이 보먼 주머니고 전체 네프론은 00:07:59.075 --> 00:08:00.580 이렇게 구불구불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00:08:00.580 --> 00:08:03.150 신장 속질로 쭉 내려갔다가 다시 돌아옵니다 00:08:03.150 --> 00:08:06.220 결국에는 집합관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 부분은 00:08:06.220 --> 00:08:07.980 다음에 더 자세히 말하겠습니다 00:08:07.980 --> 00:08:12.250 여기에 그린 그림은 이 작은 부분의 확대된 버전 00:08:12.250 --> 00:08:14.660 이라는 것입니다 00:08:14.660 --> 00:08:16.250 그럼 이제 이 그림을 살짝 축소시켜서 보겠습니다 00:08:16.250 --> 00:08:17.550 설명할 자리가 부족하네요 00:08:17.550 --> 00:08:19.290 그럼 설명을 계속하겠습니다 00:08:19.290 --> 00:08:23.220 여기에서 동맥이 들어가고 00:08:23.220 --> 00:08:26.520 따라가면 잔뜩 엉켜있는 사구체가 있고 00:08:26.520 --> 00:08:30.160 여기서 대부분의 피가 지나갑니다 00:08:30.160 --> 00:08:33.390 20% 정도만 보먼 주머니를 통과하게 됩니다 00:08:33.390 --> 00:08:34.780 여기가 보먼 주머니이고요 00:08:34.780 --> 00:08:36.450 살짝 축소했습니다 00:08:36.450 --> 00:08:39.530 그럼 여기 여과액이 생깁니다 00:08:39.530 --> 00:08:41.080 조금 더 노랑색으로 바꿔 볼게요 00:08:43.660 --> 00:08:45.650 여과액은 여기서 나오게 되고 00:08:45.650 --> 00:08:48.720 이 여과액은 사구체를 거쳐서 나오기 때문에 00:08:48.720 --> 00:08:52.170 '사구체여액'이라고도 합니다 00:08:52.170 --> 00:08:55.060 그렇지만 보먼 주머니 안의 족세포(podocyte)에 의해서도 00:08:55.060 --> 00:08:56.470 여과가 되는 것임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00:08:56.470 --> 00:08:59.120 그럼 이제 '근위세뇨관'으로 갈 차례힙니다 00:09:03.080 --> 00:09:06.530 이렇게 그린 것이 바로 근위 세뇨관 입니다 00:09:06.530 --> 00:09:08.300 당연히 이것은 정확한 그림은 아니지만 00:09:08.300 --> 00:09:09.580 비슷하게만 그려 봤습니다 00:09:09.580 --> 00:09:17.470 여기가 바로 근위세뇨관입니다 00:09:17.470 --> 00:09:20.560 매우 어려운 단어 같지만 '근위'라는 말은 00:09:20.560 --> 00:09:23.590 '몸 중심부 쪽의'라는 뜻으로 사구체 즉, 몸과 가까운 부분에 있다는 말입니다 00:09:23.590 --> 00:09:25.740 따라서 근위 세뇨관은 00:09:25.740 --> 00:09:27.880 시작 부분과 가까운 얇은 관이라는 뜻입니다 00:09:27.880 --> 00:09:29.700 세뇨관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집니다 00:09:29.700 --> 00:09:31.245 이 전체 부분은 00:09:31.245 --> 00:09:32.870 '근위곡세뇨관'이라고도 불립니다 00:09:35.870 --> 00:09:37.390 전부 구불구불하기 때문입니다 00:09:37.390 --> 00:09:38.830 전부 구불구불하게 그렸죠 00:09:38.830 --> 00:09:40.750 그림에서 보기에는 2차원적으로 구부러져 있지만 00:09:40.750 --> 00:09:43.170 사실은 3차원적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이죠 00:09:43.170 --> 00:09:45.470 사실은 여기에는 구불구불한 부분이 있고 00:09:45.470 --> 00:09:48.220 근위세뇨관 끝 부분에는 쭉 펴진 부분이 있습니다 00:09:48.220 --> 00:09:50.570 그래서 이 전체를 근위곡세뇨관이 아닌 근위세뇨관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00:09:50.570 --> 00:09:52.060 여기가 구부러진 부분이고 00:09:52.060 --> 00:09:53.670 여기가 펴진 부분입니다만 00:09:53.670 --> 00:09:55.340 너무 까다롭게 굴 필요는 없습니다 00:09:55.340 --> 00:09:59.040 이 내용의 핵심은 바로 00:09:59.040 --> 00:10:02.810 여기서 네프론이 시작한다는 것과 00:10:02.810 --> 00:10:05.890 여과액 속의 물질들을 00:10:05.890 --> 00:10:09.700 재흡수해서 다시 사용하도록 한다는 점입니다 00:10:10.670 --> 00:10:11.880 우리는 포도당이 필요하죠 00:10:11.880 --> 00:10:13.900 포도당은 우리가 에너지를 위해서 먹고 소화시키는 00:10:13.900 --> 00:10:15.090 과정을 통해서 얻은 귀한 물질입니다 00:10:15.090 --> 00:10:18.790 우리에게 염분 또한 꼭 필요한 물질들입니다 00:10:18.790 --> 00:10:24.040 우리는 그동안 여러 비디오를 통해 수많은 기능을 하는 이온들을 보아 왔습니다 00:10:24.480 --> 00:10:26.490 우리는 아미노산도 꼭 필요합니다 00:10:26.490 --> 00:10:30.490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만드는데 꼭 필요한 재료이자 다른 곳에도 사용됩니다 00:10:30.490 --> 00:10:32.320 이러한 것들이 버려서는 안될 것이고 00:10:32.320 --> 00:10:33.670 다시 흡수해야 합니다 00:10:33.670 --> 00:10:35.840 이 비디오에서 다시 흡수하는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00:10:35.840 --> 00:10:37.480 말해 줄 것이지만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00:10:37.480 --> 00:10:40.575 짧게 요약하자면 00:10:40.575 --> 00:10:43.900 ATP를 이용해서 나트륨을 바깥으로 펌프해냅니다 00:10:43.900 --> 00:10:45.660 그러면 다른 것들을 옮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00:10:45.660 --> 00:10:48.160 방금 한 이야기들은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였습니다 00:10:48.160 --> 00:10:52.190 그래서 재흡수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습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상상해 봅시다 00:10:52.190 --> 00:10:56.370 여기에 근위세뇨관에 줄지어 있는 세포들이 있습니다 00:10:56.370 --> 00:10:58.310 그리고 그 세포들은 조금씩 튀어 나온 부분이 있습니다 00:10:58.310 --> 00:10:59.790 나머지 내용은 바로 이 부분에 관한 흥미로운 내용들입니다 00:11:00.630 --> 00:11:01.910 여기에 세포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00:11:01.910 --> 00:11:04.660 세포의 다른 부분에는 동맥 또는 모세혈관이라고 부를 수 있는 혈관이 있습니다 00:11:08.110 --> 00:11:12.080 그래서 근위세뇨관에 있는 세포들이 줄지어 있는 곳 00:11:12.080 --> 00:11:16.580 바로 부근에 모세혈관이 위치해 있습니다 00:11:16.580 --> 00:11:19.140 이 부분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00:11:19.140 --> 00:11:23.000 이 모세혈관으로 물질들 특히 나트륨을 내보냅니다 00:11:23.000 --> 00:11:25.510 약간의 물도 포함될 수 있겠네요 00:11:25.870 --> 00:11:32.480 그래서 이렇게 약간의 나트륨, 포도당을 다시 가져왔습니다 00:11:32.480 --> 00:11:34.710 그리고 물을 전부 배설하지 않기 위해서 00:11:34.710 --> 00:11:36.540 물의 일부분도 흡수합니다 00:11:36.540 --> 00:11:38.620 만약 여과액의 물이 그대로 00:11:38.620 --> 00:11:41.560 오줌을 통해 배설되었다면 00:11:41.560 --> 00:11:44.240 우리는 매일 수 리터의 오줌을 배출할 것입니다 00:11:44.240 --> 00:11:45.310 당연히 그러면 좋지 않겠죠 00:11:45.310 --> 00:11:46.500 그럼 여기서 정리하겠습니다 00:11:46.500 --> 00:11:49.130 우리는 재흡수라는 과정을 배웠습니다 00:11:49.130 --> 00:11:51.400 이제 우리는 '헨레 고리'라는 부분을 공부할 예정입니다 00:11:51.400 --> 00:11:52.610 이 부분은 제 생각에는 네프론에서 00:11:52.610 --> 00:11:55.370 가장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00:11:55.370 --> 00:11:59.930 헨레 고리는 이렇게 다시 내려갔다가 00:11:59.930 --> 00:12:03.680 다시 올라오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00:12:03.680 --> 00:12:05.740 또한 네프론의 길이 중 대부분이 00:12:05.740 --> 00:12:07.900 헨레 고리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00:12:07.900 --> 00:12:10.916 여기에 있는 그림으로 잠깐 다시 돌아가 보면 00:12:10.916 --> 00:12:13.270 여기에 헨레 고리가 있습니다 00:12:13.270 --> 00:12:15.440 이 전체 부분에 대해서 말하게 될 것입니다 00:12:15.440 --> 00:12:17.450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00:12:17.450 --> 00:12:21.050 이 부위는 옅은 갈색인 신장 속질과 00:12:21.050 --> 00:12:24.820 진한 붉은색인 신장 겉질의 경계면을 지난다는 것입니다 00:12:24.820 --> 00:12:27.170 여기에는 아주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00:12:27.170 --> 00:12:28.000 여기에 그림을 그려 보겠습니다 00:12:28.000 --> 00:12:32.710 여기가 두 수질과 겉질의 경계면이라고 합시다 00:12:32.710 --> 00:12:35.460 이 위쪽 부분이 신장 겉질이고 00:12:35.460 --> 00:12:39.550 이 아래쪽 부분은 신장 속질입니다 00:12:39.550 --> 00:12:42.060 그럼 이유를 살펴 봅시다 00:12:42.060 --> 00:12:43.590 이렇게 구성된데는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00:12:48.570 --> 00:12:57.830 첫번째 이유는 신장 속질의 삼투압을 높게 유지해서 00:12:57.830 --> 00:13:00.502 피 속의 염분을 내보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00:13:00.502 --> 00:13:03.090 헨레 고리의 윗부분에서 00:13:03.090 --> 00:13:06.140 활발하게 염분을 내보내는 것입니다 00:13:06.140 --> 00:13:12.390 그러니까 나트륨, 칼륨, 00:13:12.390 --> 00:13:14.440 염화 이온 등을 내보냅니다 00:13:17.500 --> 00:13:21.990 헨레 고리는 이러한 염분들을 바깥쪽으로 내보냄으로서 00:13:21.990 --> 00:13:27.670 신장 속질의 삼투압이 높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00:13:29.990 --> 00:13:33.320 여기에는 관 안에 있는 여과액보다 00:13:33.320 --> 00:13:36.010 용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용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00:13:36.010 --> 00:13:37.240 이 내보내는 일을 하기 위해서는 ATP를 필요로 합니다 00:13:37.240 --> 00:13:39.910 용질의 농도에 반대되도록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은 00:13:39.910 --> 00:13:41.570 항상 ATP를 필요로 합니다 00:13:41.570 --> 00:13:46.110 여기도 염분이 높고 여기도 염분이 높습니다 00:13:46.110 --> 00:13:50.820 여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여과액에서 염분을 빼려는 것이 아니라 00:13:50.820 --> 00:13:53.230 고농도의 염분 상태로 올라가는 부분(=상행지)에서만 염분과 00:13:53.230 --> 00:13:57.620 이온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00:13:59.270 --> 00:14:00.830 물은 통과할 수 없습니다 00:14:06.110 --> 00:14:09.050 헨레 고리의 하행부분(=하행지)만 00:14:09.050 --> 00:14:10.300 물을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00:14:13.390 --> 00:14:14.380 그럼 이제 어떻게 될 까요? 00:14:14.380 --> 00:14:17.430 헨레고리의 상행지의 염분 이동이 활발해 00:14:17.430 --> 00:14:21.260 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00:14:21.260 --> 00:14:23.110 헨레고리의 하행지에서의 물은 어떻게 될까요? 00:14:23.110 --> 00:14:24.870 이 밖은 고농도입니다 00:14:24.870 --> 00:14:28.830 물은 농도를 맞추기 위해서 자동으로 나오게 될 것입니다 00:14:30.540 --> 00:14:31.510 이 삼투압이라는 것에 대한 비디오가 있었습니다 00:14:31.510 --> 00:14:33.680 이것은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00:14:33.680 --> 00:14:36.710 그래서 물은 00:14:36.710 --> 00:14:39.620 염분이 높은, 고농도이고 물만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00:14:39.620 --> 00:14:44.270 헨레 고리의 하행지에서 물은 방출됩니다 00:14:44.560 --> 00:14:48.710 이 내용이 바로 물의 재흡수의 주요 방식입니다 00:14:48.710 --> 00:14:52.870 저는 물을 펌프할 떄는 왜 ATP를 방출하지 않는지에 대해서 00:14:52.870 --> 00:14:54.360 많은 생각을 했었습니다 00:14:54.360 --> 00:14:55.850 여기에 바로 그 답이 있습니다 00:14:55.850 --> 00:14:56.650 물을 방출하는 것에는 간단한 방법이 있었습니다 00:14:56.650 --> 00:15:01.130 생체학적 기관들은 ATP를 이용해 이온들을 내보내는데는 효율적이지만 00:15:01.130 --> 00:15:03.360 물을 내보낼때는 그렇지 않습니다 00:15:03.360 --> 00:15:06.360 물은 단백질이 움직이기에는 어려운 물질 중 하나인 것입니다 00:15:06.360 --> 00:15:09.580 그래서 해결책은 삼투압을 조정하고 물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해서 00:15:09.580 --> 00:15:12.540 물이 자동으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00:15:12.540 --> 00:15:14.750 삼투압을 조절하면 물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입니다 00:15:14.750 --> 00:15:18.170 지금까지 여기서 물이 걸러지는 주요 기작을 살펴보았습니다 00:15:20.820 --> 00:15:23.390 여기에 오랜 시간이 걸린 이유는 바로 00:15:23.390 --> 00:15:27.560 이 분비라는 과정을 통해 염분이 높은 용액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00:15:31.490 --> 00:15:34.710 이제 헨레 고리를 마무리 하고 00:15:34.710 --> 00:15:36.110 네프론에 대한 내용도 마무리가 되어 갑니다 00:15:36.110 --> 00:15:38.790 그리고 여기에 다른 구불구불한 관이 있습니다 00:15:38.790 --> 00:15:41.710 이 관의 이름도 예측해 볼 수 있겠죠 00:15:41.710 --> 00:15:44.860 여기가 가까운 부분(=근위)이었으니까 여기는 먼 부분(=원위)입니다 00:15:44.860 --> 00:15:47.070 사실 그림을 올바르게 고치자면 00:15:47.070 --> 00:15:51.560 이 관들은 사구체와 매우 가까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00:15:51.560 --> 00:15:52.810 다른 색깔로 그리도록 하겠습니다 00:15:57.230 --> 00:16:03.970 이 원위세뇨관은 보먼 주머니와 아주 가까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00:16:03.970 --> 00:16:06.000 근위세뇨관과 마찬가지로 여기에는 2차원적으로 00:16:06.000 --> 00:16:07.740 구부러져 있지만 사실 3차원적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입니다 00:16:07.740 --> 00:16:09.840 이렇게 길지는 않지만 지금은 00:16:09.840 --> 00:16:11.830 설명을 위해서 이렇게 그리도록 하겠습니다 00:16:11.830 --> 00:16:12.830 이 부분은 '원위세뇨관'이라고 불립니다 00:16:12.830 --> 00:16:14.510 '원위'라는 말은 '멀리 떨어져 있는' 이라는 뜻입니다 00:16:14.510 --> 00:16:16.750 '구불구불하고' '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00:16:16.750 --> 00:16:24.450 그래서 '원위세뇨관'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입니다 00:16:24.450 --> 00:16:27.350 여기에서도 재흡수 과정이 일어납니다. 00:16:27.350 --> 00:16:28.820 나트륨을 한번 더 재흡수하고 칼슘 등을 재흡수합니다 00:16:28.820 --> 00:16:31.250 첫번째 세뇨관에서 흡수해내지 못했던 물질들을 00:16:31.250 --> 00:16:32.600 다시 한 번 흡수하는 과정입니다 00:16:32.600 --> 00:16:34.180 흡수되는 물질들은 엄청나게 많지만 00:16:34.180 --> 00:16:36.330 앞에서 약간만 살펴보았습니다 00:16:36.330 --> 00:16:39.870 또한 약간의 물도 재흡수하게 됩니다 00:16:39.870 --> 00:16:41.420 그러나 원위세뇨관의 끝 부분에 도달하게 되면 00:16:41.420 --> 00:16:42.800 여과액에 대한 처리는 거의 끝나게 됩니다 00:16:42.800 --> 00:16:44.290 많은 물이 빠져나가게 되고 00:16:44.290 --> 00:16:45.760 농도는 진해집니다 00:16:45.760 --> 00:16:47.700 다시 한번 염분, 필요한 전해질들을 00:16:47.700 --> 00:16:49.290 재흡수하게 됩니다 00:16:49.290 --> 00:16:52.100 또한 포도당, 아미노산 등도 재흡수하게 됩니다 00:16:52.100 --> 00:16:53.770 우리가 원하는 것 그러니까 필요한 것은 00:16:53.770 --> 00:16:55.630 모두 재흡수했습니다 00:16:55.630 --> 00:16:59.710 이제 이 여과액은 거의 필요없는 00:16:59.710 --> 00:17:01.670 성분들로 가득찬 00:17:01.670 --> 00:17:02.920 물이고 '집합관'으로 버려지게 됩니다 00:17:05.140 --> 00:17:07.230 이 부분은 이러한 집합관들이 모이는 부분으로 볼 수 있습니다 00:17:07.230 --> 00:17:12.384 수많은 네프론에서 이어진 집합관들이 00:17:12.384 --> 00:17:13.740 연결되어 이곳으로 필요없는 여과액을 버리게 됩니다 00:17:13.740 --> 00:17:16.960 그러니까 이 부분이 바로 다른 네프론의 원위세뇨관이 될 수 있겠고 00:17:16.960 --> 00:17:22.010 여기가 바로 네프론이 만들어낸 00:17:22.010 --> 00:17:23.569 부산물들을 모으는 관인 00:17:23.569 --> 00:17:27.040 집합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0:17:27.040 --> 00:17:28.620 흥미로운 점은 집합관이 다시 00:17:28.620 --> 00:17:31.040 신장 속질을 통과한다는 점입니다 00:17:31.040 --> 00:17:34.210 고농도의 염분이 포함된 신장 속질 말입니다 00:17:34.210 --> 00:17:36.090 그러니까 집합관은 서로 다른 네프론에서 만들어진 00:17:36.090 --> 00:17:40.400 여과액을 모으는 데 00:17:40.400 --> 00:17:43.070 다시 신장 속질을 거친다는 것입니다 00:17:43.070 --> 00:17:46.860 그리고 이 집합관이 신장 속질에서 농도가 00:17:46.860 --> 00:17:50.240 매우 높은 곳을 지나가기 때문에 00:17:50.240 --> 00:17:54.540 오줌의 수분양을 조절하는 4가지 호르몬 00:17:54.540 --> 00:18:00.910 즉, 항이뇨호르몬을 통해 물이 00:18:00.910 --> 00:18:04.430 투과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됩니다 00:18:04.430 --> 00:18:07.660 오줌에서 물의 양은 이렇게 한번 더 조절됩니다 00:18:07.690 --> 00:18:10.740 여기서 일어나는 것은 바로 00:18:10.740 --> 00:18:13.100 여과액을 오줌이라고 불리는 액체로 만드는 작업입니다 00:18:13.100 --> 00:18:17.170 만약 몸에 물이 부족하다면 여기서 필요한 00:18:17.170 --> 00:18:19.490 물들을 모으고 또 모으게 됩니다 00:18:19.490 --> 00:18:23.650 이 과정이 끝나면 신장을 떠나고 00:18:23.650 --> 00:18:25.030 수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이동합니다 00:18:25.030 --> 00:18:27.200 다행히도 수업이 잘 끝났습니다 00:18:27.200 --> 00:18:29.650 정리를 하자면 우리는 지금까지 물을 00:18:29.650 --> 00:18:33.293 어떻게 흡수하는지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00:18:33.384 --> 00:18:36.669 내 생각이지만 가장 잘 만들어진 기관은 바로 헨레 고리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