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 재활용 통에 넣은 것들은 어떻게 될까요? 전 항상 궁금했어요 그래서 사무실 재활용품을 모아서 재활용 공장에 가져가 알아봤어요 재활용품의 생애를 알아보러 저와 함께 가시죠 재활용 공장으로 말이죠 ♪ (명랑한 음악) ♪ 브루클린의 심즈 재활용 공장입니다 거대한 창고가 있습니다 뉴욕 전역에서 모인 800톤의 재활용품을 화물선과 화물 자동차가 실어 옵니다 2013년에 지어진 이 공장은 최첨단입니다 금속, 유리, 경질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다룹니다 해당 소재들은 이송된 후에 분류됩니다 분류되지 않은 재활용품은 거의 완전 자동화된 처리 시스템을 거칩니다 약 2.5마일 정도의 컨베이어 벨트, 자석 카메라, 각종 기계들은 서로 다른 소재를 분류하는 데 쓰입니다 이 분류 기계는 첨단 기술로 14가지 소재를 분류합니다 유리, 알루미늄, 용기, 각종 플라스틱을 말이죠 한 소재가 충분히 모였을 때 1,000에서 1,500파운드의 압축물이 되는데 바로 '베일'입니다 베일들이 분류가 되면 협력 업체에 판매됩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한 베일이 800달러에 판매될 수 있습니다 구매자는 해당 원료를 세척하고 처리하여 새로운 것으로 만듭니다 원생 재료를 채굴하는 것보다 에너지를 훨씬 아낄 수 있죠 새로운 알루미늄 한 캔을 만드는 에너지로 재활용 알루미늄 캔 20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재활용 플라스틱 1톤을 쓰면 석유 16배럴을 아낄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자원은 지구에서 오는 거잖아요? 플라스틱은 석유와 같은 천연 자원으로 만들죠 쓰레기통에 버리면 쓰레기 매립지로 가요 소각장으로 가든지요 그 소재를 다시 쓸 수 없어요 지구의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소재들을 가능한 한 여러 번, 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 (명랑한 음악) ♪ 심즈의 시스템은 훌륭하지만 재활용에 문제가 있습니다 우선 미국인들은 재활용을 잘 안 합니다 EPA에 따르면 미국 폐기물의 75%가 재활용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재활용률이 34% 언저리입니다 매일 사용되고 버려진 모든 것들 중에서 오직 3분의 1만이 재활용 통에 들어가는 것이죠 뉴요커들은 더 심합니다 쓰레기의 17%만이 재활용됩니다 저희 사무실 밖에 있는 쓰레기통입니다 종이, 캔, 컵 등이 있는 것이 보이죠 모두 재활용 가능한데 쓰레기통 속에 있네요 바로 옆에 재활용 통이 있는데요 뉴욕의 재활용 가능한 것들 중 50%만이 재활용되고 있어요 공교육의 부족이 문제에 크게 기여했다고 전 생각해요 시간이 지나며 규정이 바뀌었고 몇몇은 관심이 없거나 왜 해야 하는지 모르죠 교육을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심즈는 교육을 위해 매일 공장 견학을 제공하여 낮은 재활용률을 끌어올리고자 합니다 낮은 재활용률만이 문제는 아닙니다 샘은 '위시사이클링'도 문제라고 말합니다 재활용 될 수 없는 쓰레기를 재활용 통에 넣고 재활용되기를 바라는 것을 말합니다 저희가 받는 것 중 10%에서 13%에 해당해요 오면 안 됐을 것들이죠 그런 소재는 플라스틱 봉지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용기에 담겨 있는 약간의 음식물이죠 위시사이클링은 많은 에너지와 연료를 낭비합니다 심즈와 같은 공장으로 운반되고 분류된 후에 결국 버려지기 때문이죠 저와 제 동료들이 위시사이클링을 하고 있는지 보기 위해서 샘을 설득해 함께 봉투 안을 살폈습니다 저희 장갑을 안 꼈어요 - 괜찮으세요? - 매일 해서 괜찮아요 봉투 안을 보니 몇 가지 실수를 했네요 페이퍼 타월을 재활용 통에 넣었어요 이건 퇴비화 가능합니다 중요한 조언도 얻었어요 플라스틱 빨대 줄이기처럼요 매우 작은 일회용 쓰레기는 재활용보다 적게 쓰는 것이 좋아요 작은 플라스틱은 장치의 틈새로 빠지거든요 - 줄이기 - 그렇죠 샘은 재활용에 대한 큰 오해를 말해 줬어요 플라스틱 봉지입니다 매일 18톤가량의 플라스틱 봉지를 받아요 아예 안 오는 게 좋죠 플라스틱 봉지는 낮은 품질의 플라스틱으로 다시 팔기 매우 어려워요 예를 들어 심즈의 경우 다른 회사에 돈을 주고 봉지들을 회수해서 다른 곳에서 재활용해야 돼요 게다가 봉지가 기계에 껴서 고장을 일으키기도 해요 플라스틱 봉지를 재활용하고 싶다면 홀 푸드와 같은 유통 업체의 전용 전달 장소에 가거나 아예 플라스틱 봉지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세요 각 도시마다 다르기 때문에 해당 재활용 공장에서 무엇을 받는지 검색하세요 심즈는 가장 포용적인 재활용 공장에 해당합니다 미국 동해안에서요 그리고 다수의 공장들보다 많은 소재를 받습니다 샘은 일반적인 규칙을 준수하라고 말합니다 "경질 플라스틱이면 재활용 통에 넣으세요" 심즈에서 800톤의 재활용품을 보는 것은 어마어마했어요 하지만 뉴욕 주민이 매일 버리는 12,000톤의 쓰레기에 비하면 그건 아무것도 아니었어요 그걸 본 후에 제가 뭘 쓰는지 더욱 의식하게 되었고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자고 마음 먹었어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플라스틱은 여전히 일상의 일부이고 완전히 피할 수는 없어요 그러나 어떻게 처리될지는 결정할 수 있다는 걸 알았죠 이것을 계기로 우리의 환경을 돕고 보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듭시다 ♪ (명량한 음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