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0:00:05,671 --> 00:00:09,091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토니고 Every Frame a Painting입니다 2 00:00:09,330 --> 00:00:13,087 무슨 생각하시는지 알고있어요 '왜 이 남자에 대해 이야기하려 하냐?' 3 00:00:13,137 --> 00:00:14,899 "세상에, 당신 마이클 베이잖아요!" 4 00:00:14,899 --> 00:00:18,509 "세상에, 제가 마이클 베이군요!" 전 그의 영화를 싫어하지만 5 00:00:18,524 --> 00:00:20,965 그의 영화는 반드시 공부해봐야 한다 생각합니다 6 00:00:20,993 --> 00:00:22,015 왜냐고요? 7 00:00:22,016 --> 00:00:26,475 베르너 헤어조크: ".. 폴, 난 당신이 '레슬매니아'를 봐야한다고 생각해요" 8 00:00:26,477 --> 00:00:27,350 "아, 그건..." 9 00:00:27,373 --> 00:00:31,791 "눈을 돌려서는 안되죠. 우리가 마주해야하는 세상인데요" 10 00:00:31,792 --> 00:00:36,883 "이게 텔레비젼이라는 것이고 상당히 많은 수의 사람들이" 11 00:00:36,883 --> 00:00:40,438 텔레비전에서 보고싶어하는 거잖아요" 12 00:00:40,741 --> 00:00:43,507 '레슬매니아'나 '안나 니콜 스미스'나 13 00:00:43,531 --> 00:00:46,179 '잭애스' 시리즈처럼 마이클 베이가 만든것도 역시... 14 00:00:46,179 --> 00:00:47,045 "스펙터클!" 15 00:00:47,051 --> 00:00:51,710 "사람들이 원하는거잖아. 로마인도 알았고 루이 까또즈도 알았고, 울포위츠도 알았다고" 16 00:00:51,728 --> 00:00:52,777 "하나, 둘, 셋.." 17 00:00:52,875 --> 00:00:55,205 "붐! 베이헴(Bayhem)!" * 베이(Bay) + 난장판(Mayhem) 18 00:00:55,205 --> 00:00:58,890 바보같고 저급하다 할지라도 더 나은 영화를 만들기위해선 19 00:00:58,898 --> 00:01:01,075 우리가 마주하는 이미지를 잘 이해해야겠죠 20 00:01:01,076 --> 00:01:02,232 "이봐 이봐!" 21 00:01:02,262 --> 00:01:07,600 그렇다면 "베이헴"을 얘기해봅시다. 어떤 특정한 영화의 형태일까요? 22 00:01:09,537 --> 00:01:14,259 마이클 베이를 이해하는데 가장 좋은것은 그를 모방한 작품을 보는것이죠 23 00:01:14,271 --> 00:01:16,054 "배틀쉽"의 이 장면을 봅시다 24 00:01:16,054 --> 00:01:19,393 마이클베이 영화에서 유명한 원형 카메라 무빙인데요 25 00:01:19,420 --> 00:01:21,862 여기선 적용이 안되죠 왜일까요? 26 00:01:21,878 --> 00:01:24,942 이유는 간단합니다. 첫번째, 하늘말곤 배경이란게 없습니다 27 00:01:24,942 --> 00:01:28,585 배경 없이는 '시차'가 생기질 않고 그때문에 샷이 역동적이지 않은거죠 28 00:01:28,593 --> 00:01:29,535 차이를 아시겠나요? 29 00:01:30,868 --> 00:01:34,948 하지만 그보다도 렌즈 선택이 문제입니다 이런 촬영에 베이는 보통 망원렌즈를 써서 30 00:01:34,948 --> 00:01:38,481 공간을 압축시키고 배경이 휙 지나가는 효과를 만들죠 31 00:01:38,552 --> 00:01:40,943 세번째, 배우들이 그냥 응시만하고 고개만 돌리죠 32 00:01:40,953 --> 00:01:43,772 하지만 베이 연출의 특징은 배우들이 수직으로 움직이는거에요 33 00:01:43,787 --> 00:01:44,640 이것처럼이나 34 00:01:44,923 --> 00:01:45,882 이것처럼요 35 00:01:46,171 --> 00:01:50,650 마지막으로, 로우앵글로 스케일을 키우고 슬로우모션으로 효과를 더합니다 36 00:01:50,974 --> 00:01:54,481 그러니 베이의 샷은 결국 다양한 움직임의 통합입니다 37 00:01:54,481 --> 00:01:57,185 카메라의 움직임 배경의 움직임 38 00:01:57,185 --> 00:01:59,873 배우의 움직임 시간의 확장말이죠 39 00:01:59,902 --> 00:02:03,236 이런 연출과 함께라면 그저 화면밖을 보는 정적인 샷도 40 00:02:03,385 --> 00:02:08,161 프레임의 어느곳을 멀뚱히 쳐다보는거라도 샷이 웅장하게 느껴지죠 41 00:02:08,186 --> 00:02:10,455 "이제 진짜 리얼이 됐군" 42 00:02:11,870 --> 00:02:15,003 마이클 베이의 어느 샷을 분석해봐도 대부분이 이렇습니다 43 00:02:15,008 --> 00:02:18,906 깊이감있는 레이어, 시차 움직임, 캐릭터, 환경에 44 00:02:18,926 --> 00:02:20,687 진지함과 웅장함을 부여하죠 45 00:02:20,846 --> 00:02:23,322 이 테크닉 중 어느것도 새로운건 없습니다 46 00:02:23,341 --> 00:02:26,995 사실 대부분의 촬영감독들이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47 00:02:26,995 --> 00:02:29,062 자연스레 이미지의 깊이와 시차를 형성해내죠 48 00:02:29,062 --> 00:02:30,685 '영웅 샷'도 어느 영화에나 있고요 49 00:02:33,568 --> 00:02:37,347 베이가 특별한 것은 그가 구성한 레이어와 움직임의 조밀함입니다 50 00:02:37,377 --> 00:02:38,814 그게 그의 샷이 더 낫단게 아닙니다 51 00:02:38,814 --> 00:02:41,686 그저 더 복잡하게 만든다는 거죠 52 00:02:41,704 --> 00:02:44,060 그래서 그의 프레임에는 늘 많은게 일어나는듯 보이죠 53 00:02:44,074 --> 00:02:48,091 먼지, 흙, 연기, 폭발이 레이어 사이에 가득해요 54 00:02:48,135 --> 00:02:50,360 아, 그리고 가로등도요 55 00:02:52,003 --> 00:02:53,638 엄청나게 많은 가로등말이죠 56 00:02:55,040 --> 00:02:58,390 "나쁜 녀석들" 1편을 보면 오프닝 크레딧부터 그렇단걸 알수 있습니다 57 00:02:58,403 --> 00:03:00,576 여기 차 한대가 출발하고 비행기 한대가 가죠 58 00:03:00,576 --> 00:03:03,798 스케일 차이를 보여주는 가로등이 있고 카메라는 망원렌즈로 찍습니다 59 00:03:04,180 --> 00:03:07,461 영화의 후반부에서도 똑같은 구성이 쓰이고 60 00:03:07,596 --> 00:03:09,069 폭발이 일어날때도 그렇죠 61 00:03:10,193 --> 00:03:13,242 한번 이것을 발견하면 그의 이미지를 분해하고 62 00:03:13,272 --> 00:03:14,870 그 한계를 아는게 훨씬 쉬워집니다 63 00:03:15,067 --> 00:03:19,044 예를 들어, 베이는 어떤 샷을 쓸때와 쓰지않을때를 구분치 않죠 64 00:03:19,044 --> 00:03:20,551 그는 늘 같은 카메라 무빙을 씁니다 65 00:03:20,578 --> 00:03:22,666 캐릭터가 중요한 걸 말하든... 66 00:03:22,666 --> 00:03:25,226 "여기 미국에 남아있는 돈 있어?" 67 00:03:25,336 --> 00:03:27,003 ... 쓸데없는 말을 하든요 68 00:03:27,019 --> 00:03:29,765 "내가 뭐라 말했어? 내가 한말 듣고는 있어?" 69 00:03:29,795 --> 00:03:32,957 "난 내가 한말을 들어 내가 말할때 난 여기에 있거든!" 70 00:03:32,980 --> 00:03:37,492 적절한지와 상관없이 모든 샷에서 최상의 시각적 충격을 주려하죠 71 00:03:40,492 --> 00:03:44,110 하지만 이런 그의 스타일은 흥미로운 시각적 아이디어로 이어집니다 72 00:03:44,126 --> 00:03:46,230 '어떻게하면 뭔가를 크게 느껴지게 할까?' 73 00:03:46,252 --> 00:03:49,411 다양한 사이즈의 많은것을 한 샷안에 배치하고 74 00:03:49,426 --> 00:03:51,537 극대화할만한 카메라 무빙을 주면 됩니다 75 00:03:51,552 --> 00:03:54,656 이것은 "쥬라기 공원"이 무척 잘 했던 것이죠 76 00:03:54,862 --> 00:03:58,516 - "아!" - "이건.. 공룡이잖아" 77 00:03:58,540 --> 00:04:00,961 화면에 나오지않는 공간 활용도 중요합니다 78 00:04:00,969 --> 00:04:04,757 이 장면을 보면, 배우는 배경에 보이는 비행기가 아닌 다른 비행기를 봅니다 79 00:04:04,757 --> 00:04:07,132 이것은 우리가 볼수없는 더 많은 비행기가 있단뜻이죠 80 00:04:07,153 --> 00:04:10,799 그래서 샷은 더욱 크게느껴지고 내포하는 스케일 역시 그러하죠 81 00:04:10,838 --> 00:04:13,432 그럼 영화제작자들은 어떻게 이런 이미지를 상상해낸걸까요? 82 00:04:13,448 --> 00:04:16,464 마이클 베이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 중 한편을 살펴볼까요? 83 00:04:16,480 --> 00:04:19,308 "너가 제트기라면 저 하늘로 날아갈거야" 84 00:04:19,331 --> 00:04:22,893 "첫번째 담배부터 죽을때까지 연기를 피우며" 85 00:04:22,908 --> 00:04:25,942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그가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보고 86 00:04:25,961 --> 00:04:28,798 이 장면이 어떻게 좋은 샷인지 87 00:04:28,819 --> 00:04:30,701 이게 어떻게 좋은 컷인지 설명한 적이 있죠 88 00:04:30,720 --> 00:04:33,799 "정말 다이나믹하다"말고는 딱히 정확한 표현을 하진 못했지만 89 00:04:33,810 --> 00:04:36,617 그게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90 00:04:36,639 --> 00:04:39,832 그의 작품들과 비교해보면 유사점을 찾을 수 있죠 91 00:04:40,283 --> 00:04:43,112 제 생각엔 베이의 목표란 좋은 샷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92 00:04:43,136 --> 00:04:45,255 좋은 컷이라 생각하는 것과 연결시키는 것일거에요 93 00:04:45,468 --> 00:04:48,629 하워드 혹스는 좋은 영화란 '3개의 좋은씬과 나쁜씬이 없는것'이라 말했죠 94 00:04:48,629 --> 00:04:50,446 마이클 베이가 생각하는 좋은 영화란 95 00:04:50,446 --> 00:04:53,862 '3천개의 다이나믹한 샷과 정적인게 없는것'일겁니다 96 00:04:57,019 --> 00:05:01,074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말고 베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건 블록버스터죠 97 00:05:01,098 --> 00:05:04,584 그는 종종 같은 문법들과 다른 시퀀스들을 빌려오곤합니다 98 00:05:04,607 --> 00:05:06,145 그래서 이런 것이.. 99 00:05:08,137 --> 00:05:09,708 이렇게 되는거죠. 100 00:05:11,430 --> 00:05:14,495 눈치채셨겠지만 타이트한 샷은 더 타이트하게 101 00:05:14,521 --> 00:05:17,037 와이드한 샷은 더 와이드하게 됩니다 102 00:05:17,050 --> 00:05:22,068 모든것이 액션의 레이어가 더해질뿐 기본 문법은 똑같은거죠 103 00:05:23,812 --> 00:05:26,987 - "격추시켰어요!" - "잘했다, 애송이! 자만하지마!" 104 00:05:27,036 --> 00:05:29,346 그는 다른 사람의 작품들뿐 아니라 105 00:05:29,360 --> 00:05:31,829 자신의 작품까지 끊임없이 분해하고 복제합니다 106 00:05:31,853 --> 00:05:33,090 그래서 이게... 107 00:05:34,233 --> 00:05:36,377 이렇게 되는거죠 108 00:05:40,494 --> 00:05:43,023 원래의 샷들에 있는 움직임들이 109 00:05:43,048 --> 00:05:45,256 이 경우에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폭탄과 110 00:05:45,264 --> 00:05:46,903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카메라같은 샷들을 111 00:05:46,913 --> 00:05:49,153 좀 더 세게 돌린 버젼일뿐입니다 112 00:05:49,187 --> 00:05:51,966 "오토봇, 내가 추적한다" 113 00:05:51,975 --> 00:05:53,797 그래서 "베이헴"이란 뭘까요? 114 00:05:53,829 --> 00:05:56,173 웅장한 스케일을 형성하기위해 움직임과 구도 115 00:05:56,173 --> 00:05:58,317 빠른 편집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116 00:05:58,317 --> 00:06:02,557 각 샷들도 거대하게 느껴지지만, 화면밖에 더 거대한게 있단걸 암시하는거죠 117 00:06:02,564 --> 00:06:07,084 광각이든 망원이든 샷에 계속해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118 00:06:07,194 --> 00:06:09,728 한순간에 엄청나게 많은걸 보여주고는 빼앗아 가는거죠 119 00:06:09,744 --> 00:06:13,380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지만 실제적인 뭔가는 없는거에요 120 00:06:13,471 --> 00:06:16,920 물론, 이를 위해선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과 기술적 통합이 필요합니다 121 00:06:17,069 --> 00:06:20,880 하지만 오랫동안 존재해온 액션씬 문법의 변형일 뿐이에요 122 00:06:21,017 --> 00:06:25,825 각각의 샷이 더 더러워지고, 더 흔들리고, 더 복잡하고, 레이어가 더 추가될 뿐이죠 123 00:06:25,845 --> 00:06:28,689 그런 다음, 뇌의 감당속도보다 더 빠르게 124 00:06:28,689 --> 00:06:30,929 눈의 감당속도에는 적절하게 편집하는겁니다 125 00:06:30,954 --> 00:06:34,480 혁신적인게 아니에요 과거의 기술인데 좀더 난잡할뿐이죠 126 00:06:36,845 --> 00:06:39,683 비슷한 기술의 극대화된 버젼을 보고싶다면 127 00:06:39,683 --> 00:06:41,718 후기의 토니 스콧 작품을 보면됩니다 128 00:06:42,062 --> 00:06:45,482 덜 어수선한 버젼의 작품을 보고싶다면, 애니메이션이 있습니다 129 00:06:45,494 --> 00:06:47,450 글렌 킨 같은 이들의 작품말이죠 130 00:06:47,461 --> 00:06:50,995 베이의 방식보다 훨씬 명료하지만 기본 아이디어는 같습니다 131 00:06:50,995 --> 00:06:53,781 캐릭터, 환경, 많은 레이어, 한번의 거대한 휩쓸기 132 00:06:53,781 --> 00:06:56,401 그럼 세상이 웅장해보이는 겁니다 133 00:06:58,773 --> 00:07:02,869 제가 좋아하는 마이클 베이 스타일의 적용은 사실 그것을 축소하는데 있습니다 134 00:07:02,875 --> 00:07:06,927 아이러니하게도 기차 세트를 폭발시키던 어린시절에서 유래한듯한 "베이헴"은 135 00:07:06,927 --> 00:07:09,228 그 규모가 작을때 무척 매력적이죠 136 00:07:09,523 --> 00:07:12,758 세상을 폭발시키는 대신 영국의 한 작은 마을은 어떤가요? 137 00:07:12,758 --> 00:07:14,028 "백조다!" 138 00:07:21,550 --> 00:07:24,773 하지만 결국 그 스타일의 인기라는게 실은 굉장히 중요한듯 싶습니다 139 00:07:24,819 --> 00:07:27,273 우리가 그걸 좋아하든 말든 흥미로운 점은 140 00:07:27,274 --> 00:07:29,357 우리가 시각적으로 무척 지적이면서 141 00:07:29,360 --> 00:07:31,449 동시에 무척 무지하다는 점입니다 142 00:07:31,463 --> 00:07:34,829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속도로 시각적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지만 143 00:07:34,843 --> 00:07:37,584 그 정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144 00:07:37,607 --> 00:07:39,061 "꼭 이럴 필욘 없잖아!" 145 00:07:39,084 --> 00:07:40,314 ....그렇지 않죠 146 00:07:40,384 --> 00:07:41,942 베르너 헤어조크가 말했듯이 147 00:07:41,958 --> 00:07:45,577 "눈을 돌려서는 안되죠 우리가 마주해야하는 세상인데요" 148 00:07:45,600 --> 00:07:48,855 이렇게 말하는게 이상할지도 모르지만 이 스타일에 피해입은 사람은 149 00:07:48,855 --> 00:07:52,450 바로 마이클 베이 본인이죠 그는 자기 눈의 노예가 된겁니다 150 00:07:52,459 --> 00:07:54,790 그는 모든 이미지를 다이나믹하게 만들려고 하죠 151 00:07:54,790 --> 00:07:57,998 그것이 영화의 주제와 반대여도 말입니다 152 00:07:58,023 --> 00:08:03,958 "사람들은 자기 앞에 있는 행복을 못보고 지나치죠" 153 00:08:05,681 --> 00:08:08,115 "행복은 정말 작고 간단하다.." 154 00:08:08,115 --> 00:08:09,225 맞아요, 작고 간단한거 155 00:08:09,225 --> 00:08:12,606 거대한 집, 긴 선착장, 드넓은 바다, 지나가는 스피드 보트처럼요 156 00:08:12,606 --> 00:08:16,853 만약 다른 두명의 위대한 스토리텔러가 같은 테마를 다룬다면 어떨까요? 157 00:08:17,108 --> 00:08:19,594 "젠장할 '노엄' 당신도 알지만 우린 지금 잘 살고있어" 158 00:08:23,072 --> 00:08:25,576 "사랑해, 마지" 159 00:08:25,600 --> 00:08:27,956 "사랑해, 노엄" 160 00:08:30,612 --> 00:08:33,196 "두 달만 더" 161 00:08:35,769 --> 00:08:39,467 "두 달만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