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퍼 엘리아슨: 당신 자신의 예술은 당신이 느끼는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힘을 지닙니다. 그것은 고통스러운 것일 수도 있고 긍정적인 기억이 될 수도 있습니다. 누구나 예술 작품을 다르게 바라 봅니다. 예술작품을 대하는 이들의 주관적 경험이 예술 작품에 결합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저는 이 생각이 언제나 옳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예술이 엘리트주의적이고 폐쇄적이라 느낄 것입니다. 이것은 꽤 유효한 쟁점이기도 합니다. 예술 뿐 아니라 문화의 가장 큰 힘은 포용력과 본질적으로 사람들의 정서적 요구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이 전시는 아주 순환적입니다. 전시의 제목은 "공간을 경청하다"입니다. 바로 착시를 활용해 만든 실재 세계들이죠. 이해할 수 없거나 모호한 것들이 있다면 언제든 기꺼이 다시 돌아볼 수 있습니다. 작품들의 추상성을 통해 스스로 발견할 수 있게 하는 것이죠. 이는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들에게 꽤 관대하고 작품들이 보는 이들로부터 신뢰를 얻게 합니다. [짹짹 지저귀는 새소리] 미대 재학 시절 '빛과 공간 운동'이라는 것을 캘리포니아에서 접했습니다. ["두번째 조우"(1989) 제임스 터렐] 제임스 터렐이나 로버트 어윈과 같은 아티스트들이 예술을 경험하는 사람이나 관람자의 역할을 재고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공간 실험들을 소개한 것이죠. [올라퍼 엘리아슨 스튜디오 - 독일, 베를린] 저에게는 그것이 신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실재로 책임감을 가지게 된 기회가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누군가 "당신을 믿어요" "이것을 보고 무언가를 할 수 있어요" "그리고 당신에게 납득이 가는 무언가를 만들 수 있어요" 사실 이것이 예술의 중요한 점들 중 하나죠. 시간, 그리고 빛, 알다시피 열 두 달 그리고 이것... 아버지가 화가셨어요. 아버지가 산으로 여행을 떠나면 함께 따라나섰죠. 아버지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 산을 오르거나 주변을 돌아다녔어요. 강에 작은 댐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런 것들이 아이스란드의 경관이 만들어 낸 환경과 느긋함속에서도 실질적인 관계를 맺게 해주었죠. 아이스란드의 경관에는 나무도, 차도, 소도 없습니다. 어떻게 보면 달 같죠. "한 시간, 하루, 아니면 일주일 깊은 공간을 보고 있는 건가?" 하며 궁금해합니다. 걷기 시작하면서는 "저 돌은 실제로는 그렇게 멀리 있지 않구나" 라는 것을 깨닫게 되죠. 당신 자신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