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Video

vimeo.com/.../436612411

  • 0:01 - 0:06
    제 이름은 제프 모이어입니다. 저는 71세이고 장애인의 인권을 옹호하며
  • 0:06 - 0:10
    작가이고 음악가입니다. 저는 ada가 실제 법제화되기 전에도
  • 0:10 - 0:14
    이미 ada를 위해 일했습니다. 그 때 저와 제 동료들은
  • 0:14 - 0:21
    1977년 제정된 504조 법규를 통해서 장애인들 권리를 수립하는
  • 0:21 - 0:28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당시에 저는 샌프란시스코
  • 0:28 - 0:32
    연방 건물 앞에서 26일 동안 시위를 벌였습니다.
  • 0:32 - 0:35
    제 동료들은 그 곳에서 먹고 자면서 시위를 했지만 저는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습니다.
  • 0:35 - 0:41
    저는 그곳에 계속 갔어요. 저에게 어린 아이가 있었습니다.
  • 0:41 - 0:49
    저는 1988년 저스틴 다트의 연설을 들었고 그의 웅장한 연설에 감탄했습니다.
  • 0:49 - 0:53
    그는 통일된 어조로 말했습니다. 저는 그 때 저자신을 소개했고
  • 0:53 - 0:58
    제가 그의 연설을 녹음해도 되는지 그에게 물었습니다. 그는 괜찮다고 했고
  • 0:58 - 1:04
    그때 저는 그와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는 저를 초대해 주었고
  • 1:04 - 1:10
    미국 상원들이 모인 자리에서 ADA 주제가 를 불렀습니다. 그날 아침에
  • 1:10 - 1:14
    백악관에서 ADA에 서명을 하고 나서 이어진 저녁 연회 자리였습니다.
  • 1:14 - 1:20
    그 뒤에 저는 ADA 수립 네트워크의 구성원이 되었고
  • 1:20 - 1:25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돈을 받지 않고 일을 했습니다.
  • 1:25 - 1:31
    저는 ADA를 통해 장애인들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일을 도아 왔습니다.
  • 1:34 - 1:40
    저는 1954년 여름에 시력이 나빠지기 시작해서 이후 시각장애인이 되었습니다.
  • 1:40 - 1:45
    제가 그 일을 겪기 2주 전에 제 남동생이 심각한 인지 장애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 1:45 - 1:53
    저는 점점 사람들에게서 소외되어 간다고 느끼기 시작했고 1학년일 때
  • 1:53 - 1:59
    글자를 읽으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읽을 수가 없었습니다.
  • 2:00 - 2:04
    학교 선생님이 칠판에 적힌 글자 모두를 크게 읽어 주셨고
  • 2:04 - 2:08
    각 단어를 일일히 불러서 제가 적을 수 있게도 해주셨습니다.
  • 2:08 - 2:12
    그 때 저는 처음으로 제가 누군가를 필요로 하며 제 필요를 충족시키려고 하다가 다른 사람을 방해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 2:12 - 2:18
    제 동생도 장애 때문에 힘들어 했는데 그 아이는 폭력배로부터
  • 2:18 - 2:25
    많은 구타를 당했고 폭력에 항상 시달렸으며
  • 2:25 - 2:29
    어떤 학교도 제 동생을 받아주지 않았습니다. 장애인만 다니는 학교에서도 그랬습니다.
  • 2:29 - 2:34
    결국 제 동생은 9살 때 기관에 갖혀 살았습니다.
  • 2:35 - 2:41
    저는 그 사실로 인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필요를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 2:41 - 2:48
    감사하게도 ADA의 일환으로 내려진 올름스테드 결정 덕분에 사람들이
  • 2:48 - 2:54
    기관에 강제로 갖혀 지내는 것이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 2:54 - 2:58
    대중이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일화와 관련해서 제가 들려드릴 수 있는 얘기가 참 많습니다.
  • 2:59 - 3:10
    ADA는 놀라운 체제와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 3:10 - 3:16
    상원 의원들이 모여서 결정을 내렸고 시각장애인을 배척하지 못하게 했으며
  • 3:16 - 3:25
    국가에서 내려지는 많은 차별을 완화시켰습니다. 그리고
  • 3:25 - 3:32
    시각 장애인을 위한 많은 신호들이 만들어졌고 의무화 되었습니다. 저는 이런 과정들을
  • 3:32 - 3:38
    지켜보고 걱정도 많이 했고 다른 사람보다 이에 대해 많이 알고 있습니다.
  • 3:38 - 3:43
    지금은 고인이 된 제 친구가 워싱턴에서 이 모든 과정에 참여를 했습니다. 친구의
  • 3:43 - 3:51
    이름은 메리 제인 오웬입니다. ADA는 훌륭한 약속이고 그러나 이 약속이 지켜지기
  • 3:51 - 4:01
    위해서는 사람들의 행동이 필요합니다. 사람들이 장애인들의 각 사례마다
  • 4:01 - 4:05
    옹호를 하고 주장을 할 수 있어야 실현이 되는겁니다.
  • 4:06 - 4:12
    저는 서명운동을 하기 위해서 백악관에 초대를 받아 갔었습니다.
  • 4:12 - 4:16
    사실 그 때 제가 탔던 비행기가 잠깐 착륙을 했기 때문에 일찍 그 자리에 도착했는데요
  • 4:16 - 4:21
    저는 일반인들이 앉는 좌석 맨 앞줄에 앉아있었습니다. 국회의원이 앉는 의석과
  • 4:21 - 4:24
    행정부 공무원들이 앉는 의석, 일반인이 앉는 의석으로 나눠져 있었어요.
  • 4:24 - 4:28
    연단을 지나서 대통령이 걸어나오는데
  • 4:28 - 4:32
    참여한 사람들이 대통령을 지켜보았고
  • 4:32 - 4:36
    의회석에 앉은 사람들이 모두 일어나서
  • 4:36 - 4:41
    박수를 쳤습니다. 그 뒤에 사람들이 소리를 지르면서 "뒤쪽에 있는 사람들은
  • 4:41 - 4:47
    보이지 않으니 앉으시오!"라고 했습니다. 케네디 상원이 제 앞에 앉았고
  • 4:47 - 4:50
    제 옆에 어떤 여성도 앉아 있었는데 그 여성도 앉으라고 소리를 쳤었습니다.
  • 4:50 - 4:56
    케네디가 몸을 재빨리 돌렸고 일어나 있는 사람들 때문에
  • 4:56 - 5:00
    휠체어에 앉은 사람들의 시야가 가려졌다는 걸 그도 알게 되었습니다.
  • 5:00 - 5:04
    법과 실제 차별 사이에 어떤 간극이 있다는 사실을 저는 그 당시에 깨달았던 것 같습니다.
  • 5:05 - 5:11
    사람들은 바로 앉았습니다. 처음으로 그 때 ADA에 서명을 했었고
  • 5:11 - 5:17
    장애인들의 접근성은 결국 개인적인 활동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었습니다.
  • 5:20 - 5:27
    제 생각에 장애인의 권리와 관련하여 새로운 것을 실현하기란
  • 5:27 - 5:31
    오늘날에도 여전히 어려운 것 같습니다. 미국은 현재
  • 5:31 - 5:37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에 대한 규제 때문에 경제적 문제와
  • 5:37 - 5:43
    씨름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기반을
  • 5:43 - 5:48
    유지하기 위해서 정말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5:48 - 5:55
    만약 제가 장애인들의 접근성을 위해서 무언가를
  • 5:55 - 6:01
    할 수 있다면 그 일이 ADA의 새로운 장을 열게되는 일이었으면
  • 6:01 - 6:07
    좋겠습니다. 그리고 장애인들을 위해 많은 정보를 포함시키고 사람들이 그 정보를 금방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6:07 - 6:14
    만약 여러분이 시각장애인이고 걸어다닐 수 있다면, 아니면 인지 장애 때문에 읽을 수가 없다면
  • 6:14 - 6:19
    횡단보도를 건너고 오고 있는 버스가 몇 번인지 모르고
  • 6:19 - 6:25
    건물에 어떤 간판이 있는지 같은 간단한 일들이 어렵다면, 전혀 읽을 수가없고
  • 6:25 - 6:34
    볼 수가 없다면 이 기술을 도입하고 싶은 겁니다. 이 기술을 말하는 사인이라고 부르는데
  • 6:34 - 6:40
    우리는 이 기술을 굉장히 많이 발전시킨 바 있습니다. 이 모든 기술을 ADA가 요구하는 건 아닙니다.
  • 6:40 - 6:47
    그러나 ADA 정책의 일환으로 이런 일들이 실현되는 것을 여러분이 보게 될 겁니다. 그러나
  • 6:47 - 6:51
    공화당원들이 고속도로 법이 실현되는 것을 막았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오바마 대통령이 이기는 걸 원치
  • 6:51 - 6:55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 때문에 법이 우선순위에 있을 수 있도록 개정하는 일도 했습니다.
  • 6:55 - 6:59
    그 일이 볼 수 없고 읽을 수 없는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접근이 가능한 장소인
  • 6:59 - 7:03
    워싱턴 DC에서 이루어졌습니다.
  • 7:03 - 7:07
    10년 동안 사람들이 노력한 이후에야 이 일이 결실을 맺었으며
  • 7:07 - 7:12
    그러나 당시 우리는 공화당원들에게 패배했습니다.
  • 7:12 - 7:18
    저는 그 10년 동안 자원해서 봉사했고 이 일 때문에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일에
  • 7:18 - 7:24
    엄청난 차질이 생기고 말았습니다. 분명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 7:24 - 7:30
    접근성을 획득하기가 쉬워집니다. 그러나 그건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 7:30 - 7:36
    있을 때의 이야기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접근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 7:36 - 7:43
    그 이유는 그 접근성을 획득하기 위한 돈이 없고 사람들도 그들을
  • 7:43 - 7:49
    도와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ADA는 장애인들에게 접근성을 가져다주어야
  • 7:49 - 7:54
    한다는 사실을 정부를 대표해서 주장합니다.
  • 7:54 - 7:59
    사람들에게 장애가 있을 수 있고 상황으로 인해서 장애인이 되기도 합니다.
  • 7:59 - 8:05
    ADA가 한 일은 사람들의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고
  • 8:05 - 8:09
    ADA에 참여한 사람들은 장애인들에게 고용의 기회를 주고 싶어했습니다.
  • 8:09 - 8:15
    사실 우리는 ADA가 통과된 이후에 기반을 잃어버렸습니다. 왜냐하면
  • 8:15 - 8:19
    사람들이 장애인을 고용을 하고 싶어하지 않았고 법 뒤에 교묘하게 숨어 법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8:19 - 8:26
    우리는 고용의 평등을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 8:26 - 8:31
    사람을 모으고 정보도 전달해야 합니다.
  • 8:31 - 8:37
    저는 ADA를 알면서 로버트 모세라는 사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시민의 인권 운동에서
  • 8:37 - 8:45
    대단히 성공한 사람이며 1964년 자유의 여름을 이끈 사람입니다.
  • 8:45 - 8:53
    1964년 시민의 인권과 1965년 투표권은
  • 8:53 - 8:59
    당시 아직 실현되지 않은 권리였습니다.
  • 8:59 - 9:06
    ADA는 생각이고 체제이며 대단한 업적이기도 합니다.
  • 9:06 - 9:11
    그러나 이 일을 완전히 이루기 위해서
  • 9:11 - 9:17
    접근성이 필요하고 결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장 절실히
  • 9:17 - 9:23
    그 일이 실현되기를 바라는 마음가짐도 필요합니다.
  • 9:23 - 9:28
    이것이 인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안전하고 접근
  • 9:28 - 9:34
    가능한 주거지를 가능케 합니다. 기관과 지역사회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 9:34 - 9:37
    우리는 사람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과 그들의 집에서 살게 하기 위해서
  • 9:37 - 9:43
    장애인들을 옹호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 9:43 - 9:48
    제 동생은 어린 아이였을 때 기관에서 담배에 중독되어서
  • 9:48 - 9:51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을
  • 9:51 - 9:53
    지켜봤습니다.
  • 9:53 - 9:59
    그러나 제 동생이 죽던 날에도 저희 집에는 강도가 들고 폭력이 난무했습니다.
  • 9:59 - 10:04
    그 때도 저는 동생을 기관에서 꺼내주고
  • 10:04 - 10:08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저희 집에서 동생과 함께 살고 싶어 했습니다.
  • 10:08 - 10:14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가장 적게 가진 사람들입니다.
  • 10:14 - 10:22
    다시 한 번 우리는 우리 내면 깊은 곳에서 우러나는 소리들을
  • 10:22 - 10:27
    귀기울여 듣고 무엇이 옳은지 구분할 줄 알아야 하며
  • 10:27 - 10:32
    어떤 한 사람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 10:32 - 10:40
    그게 ADA와 IDEA, 504, 투표권법, 공정주택법 같은
  • 10:40 - 10:45
    법들을 통해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법을 통해서 우리는 정교한 방식으로
  • 10:45 - 10:50
    보호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법에는 개인의 계획이 필요하고
  • 10:50 - 10:55
    변호 또한 필요합니다. 모든 변호사들과
  • 10:55 - 10:59
    젊은이들 모두가 이 법을 읽고
  • 10:59 - 11:03
    영상을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 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 11:03 - 11:08
    젊은이들이 우리가 하는 일을 계승할 수 있어야 하고
  • 11:08 - 11:14
    우리가 힘들게 획득했던 시민의 권리와
  • 11:14 - 11:18
    장애인들의 권리를 지켜야 합니다.
  • 11:18 - 11:25
    저는 사람들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해
  • 11:25 - 11:30
    더 넓게 생각하고 모두가 같은 방향으로 서로를 당기며
  • 11:30 - 11:35
    지역사회에서 소수만이 누리는 좋은 것들을 모두가 누릴 수 있기
  • 11:35 - 11:39
    위해 노력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접근성을 증진시키려고 할 때
  • 11:39 - 11:41
    우리 모두가 이익을 입는다는 사실을 모두가 기억했으면 좋겠습니다.
  • 11:41 - 11:48
    저는 ADA에 서명을 하던 당시 음악을 만들어서 불렀고
  • 11:48 - 11:52
    ADA 10주년에도 불렀습니다.
  • 11:52 - 11:56
    그 과정에서 저는 음악의 힘을 이해했습니다.
  • 11:56 - 12:01
    음악을 통해 더 넓은 지역사회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습니다. 음악은
  • 12:01 - 12:06
    우리를 지탱하고 보호해 주며 하나로 묶어줍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사망한 뒤
  • 12:06 - 12:12
    그의 부인이 마틴루터킹 휴일에 이 말을 했습니다.
  • 12:12 - 12:17
    우리가 시민 인권 운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을 때에도
  • 12:17 - 12:20
    1960년대에 장애인 인권운동을 할 때에도
  • 12:20 - 12:25
    70년대 인권운동을 했을 때도 지역사회를 만들어주는 데 음악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12:25 - 12:30
    우리는 그 때 하나가 되어 노래를 불렀고 저는 그 때
  • 12:30 - 12:34
    음악이 우리를 하나로 계속해서 묶어주기를 정말 바랐습니다.
  • 12:34 - 12:40
    만약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하나 있다면 우리가 장애인들과
  • 12:40 - 12:46
    다르지 않으며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과
  • 12:46 - 12:52
    차별받고 소외당한 같은 역사를 우리 모두가 공유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입니다.
  • 12:52 - 12:58
    우리의 권리는 같은 법에 의해서 보호 받고 있습니다. 저는 문화가 계속해서
  • 12:58 - 13:04
    우리를 하나로 묶어주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목소리를 가져다 주었으면
  • 13:04 - 13:11
    좋겠습니다. 그렇게 해서 사람들이 현실과 희망을 표현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13:11 - 13:16
    지금 우리에게는 어느 때보다도 더 희망이 많이 필요합니다.
  • 13:16 - 13:20
    그리고 ADA는 우리에게 희망을 가져다 줍니다. ADA는 희망의 푯대입니다.
Title:
vimeo.com/.../436612411
Video Language:
English
Team:
ABILITY Magazine
Duration:
13:20
Sae-mi Choi published Korean subtitles for vimeo.com/.../436612411
Sae-mi Cho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imeo.com/.../436612411
Sae-mi Choi edited Korean subtitles for vimeo.com/.../436612411

Korean subtitles

Revisions Compare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