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루클린, 고와너스
-
예술가의 삶은 일상과
사람들과의 유대와
-
관계에 따라 좌지우지돼요
-
상당수의 작품은
대상 자체를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죠
-
"마리암 호세이니의 일상의 관념"
-
제가 그림 그리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고 처음으로 깨달았던 건
-
13살 때였어요
-
학교에 선생님이 계셨는데
-
교육하시는 방식이 좋았고
-
인간으로서도 정말 강인한 분이셨어요
-
이란 여성으로서는
보기 드문 분이었기 때문에
-
상당한 흥미를 느끼게 되었죠
-
제가 그랬던 게
아직도 생생히 기억이 나요
-
"그림 수업을 듣고 싶어요"
-
"작품을 계속해서 만들고 싶어요"
-
그러다 보니 부모님 집에
수많은 종이 더미가 쌓이게 되었죠
-
스스로 천상 화가라고 느껴요
-
그림을 그리고 색을 덧대며
-
다시 그 위에 그림을 그리죠
-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해요
-
유명한 시를 바탕으로
작품을 만들어달라고 요청받았는데요
-
"레일라와 마즈눈 이야기"이죠
-
금지된 사랑에 대해 이야기인데
-
이 시리즈를 계속 발전시켜봤어요
-
"그녀와 그녀의 그림자 사이의 비밀"
이라는 제목으로 말이죠
-
여성 캐릭터에 더 많은 흥미를 느꼈는데
-
사실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고
-
마즈눈이 정신을 놓아버린 것이
중요한 부분이었기 때문이죠
-
아주 연약한 여성으로 표현된
레일라가 정말 궁금했어요
-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말하고
-
꿈꾸는 것조차
-
금지되었던 여성이었기 때문이죠
-
작품의 대다수는
유머와 공포의 결합인 것 같아요
-
우스꽝스러운 분을 찾으면서도
-
많은 것을 두려워하게 되죠
-
그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
인물들의 배치가 보다 명확했어요
-
지난 몇 년 간은
-
이러한 명확성을 사용해왔어요
-
머리가 없는 몸을 표현하기로 했는데
-
이는 정체성을 둘러싼
정치적 관점 때문이죠
-
이 같은 균열된 공간과
-
분열된 육체들은
-
이민자로서의 저만의 경험과
-
삶을 반영하는 거예요
-
제 나라를 맘대로 여행할 수도 없기에
-
미국으로 돌아와 작품을 만드는
한 명의 사람에 대한 것이죠
-
표현된 육체들은
모두 불안함을 지니고 있지만
-
동시에 아주 강인한 모습을 보이죠
-
제가 힘을 부여한 거예요
-
그림 속의 육체 간의 상호작용과
-
주변의 물리적 공간과의
관계를 끊임없이 고민하죠
-
색을 입히는 작업과
소묘 작업 사이의 공간에 관심이 많아요
-
마치 공과 사의 문제처럼요
-
그러한 공간 사이에서
일종의 개방을 찾을 수 있는데
-
육체는 보다 자유롭게 움직이며
-
보는 이들의 해석에도 도움이 되죠
-
현장의 보는 이들이 존재함으로써
-
작품이 갖는 의미가
-
완성이 되거나
-
힘을 얻게 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