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경제위기를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가?
-
0:01 - 0:05춥고 화창한 3월의 어느 날이었죠.
-
0:05 - 0:08리가의 거리를 걸어가는 중이었어요.
-
0:09 - 0:12겨울이 거의 끝나가고 있었어요.
-
0:12 - 0:15여기저기 아직 눈이 남아 있었지만
-
0:15 - 0:18거리는 이미 깨끗하고 말라있었죠.
-
0:18 - 0:19리가에서 살아보신 적이 있다면
-
0:19 - 0:25봄이 왔다는 첫 번째 증거에
안도하는 기분을 알 거예요. -
0:25 - 0:28눈과 진흙이 섞인 길거리를
더 이상 질척거리며 -
0:28 - 0:29걷지 않아도 되니깐요.
-
0:30 - 0:33그래서 저는 산책을 즐기고 있을 때
-
0:33 - 0:39저는 갑자기 제 앞에 있는 보도 위에
스텐실을 알아챕니다. -
0:39 - 0:40낙서가 있었어요.
-
0:41 - 0:45어두운 회색 벽돌위에 색칠 된
흰색 글자들이었는데 -
0:45 - 0:46이렇게 써있었어요.
-
0:46 - 0:51"너의 책임은 어디 있는가?"
-
0:53 - 0:55그 질문에 발걸음을 멈췄습니다.
-
0:56 - 1:00제가 그 의미를 생각하면서 서 있을 때
-
1:00 - 1:05제가 리가 지방 자치제 사회복지 부서 앞에
서 있다는 것을 발견합니다. -
1:06 - 1:09낙서의 저자가 누구든간에
-
1:10 - 1:14사회복지를 신청하러 오는 사람들에게
이 질문을 하는 것이죠. -
1:16 - 1:17그 겨울,
-
1:17 - 1:23저는 라트비아 금융위기의
후유증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습니다. -
1:23 - 1:282008년에 세계금융위기가 터졌을 때,
라트비아는 안 좋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
1:28 - 1:30작고 열린 경제로서
-
1:30 - 1:32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
1:32 - 1:35라트비아 정부는 내부
가치저하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
1:35 - 1:40본질적으로 그것은 과감하게
공공 예산소비를 줄인다는 말입니다, -
1:40 - 1:43공공기관 노동자들의 급료를 많이 낮추고
-
1:43 - 1:44행정 업무는 줄어들고
-
1:44 - 1:47실업자 혜택이나
다른 사회 복지를 없애고 -
1:47 - 1:49세금을 올립니다.
-
1:50 - 1:53제 어머니는 평생
역사 교사로 일했습니다. -
1:54 - 1:59재정 긴축은 어머니 월급
30% 삭감을 의미합니다 -
1:59 - 2:01갑작스럽게요.
-
2:01 - 2:04그리고 그녀같은 상황이나
더 불행한 상황도 아주 많습니다. -
2:04 - 2:09위기의 희생은 일반 라트비인의
어깨에 놓여졌습니다. -
2:10 - 2:13위기와 재정 긴축의 결과로
-
2:13 - 2:18라트비아 경제는 2년 안에
25% 만큼 줄어들었습니다. -
2:18 - 2:21오직 그리스만 경제위축을 겪었습니다.
-
2:21 - 2:22비슷한 범위에서
-
2:24 - 2:27하지만 그리스인들이
몇달 동안 길에 나와있었을 때, -
2:27 - 2:31아테네에서 지속적이고
종종 난폭한 시위를 하는 동안 -
2:31 - 2:34모든 것이 리가에서는 조용했습니다.
-
2:36 - 2:39저명한 경제학자들은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싸우는 중이었습니다 -
2:39 - 2:43이 궁금하고 심각한
라트비아 실험에 대해서 -
2:43 - 2:45금욕적인 정권의
-
2:45 - 2:47그리고 그들은 불신의 눈으로
보고있었습니다. -
2:47 - 2:49어떻게 라트비안 사회가
그것을 참고 견디는지요. -
2:51 - 2:52저는 그 시절에 런던에서
공부하고 있었고 -
2:52 - 2:55그곳에서의 점거운동을 기억합니다.
-
2:55 - 2:58그것이 도시에서 도시로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
2:58 - 3:00마드리드에서 뉴욕으로 그리고 런던으로,
-
3:00 - 3:021%를 반대한 99%.
-
3:02 - 3:04스토리 아시잖아요.
-
3:05 - 3:07하지만 제가 리가에 도착했을 때
-
3:07 - 3:09이곳에는 점거의 광경은 없었습니다.
-
3:10 - 3:12라트비아인들은 그냥 견디고 있었습니다.
-
3:13 - 3:17지역속담 오가듯이,
그들은 "두꺼비를 삼켰습니다." -
3:18 - 3:20저의 박사학위 연구를 위해,
-
3:20 - 3:24저는 국가-시민 관계가 라트비아에서
어떻게 바뀌는 지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
3:25 - 3:26소련 이후 시대 때,
-
3:26 - 3:30저는 실업사무소를
제 연구 장소로 골랐습니다 -
3:31 - 3:34제가 2011년 가을에
그곳에 도착하며 알았습니다. -
3:34 - 3:38"나는 정말로 직접 목격하는 중이다
-
3:38 - 3:40어떻게 위기의 결과가 끝나는지
-
3:40 - 3:44어떻게 나쁘게 영향을 받았고,
직업을 잃은 사람들이 어떻게 -
3:44 - 3:46그것에 반응하는 지를."
-
3:48 - 3:53저는 실업사무소에서 만난 사람들을
인터뷰하기 시작했습니다. -
3:54 - 3:59그들 모두 취업 준비중이었고
국가에서 도움을 받길 원했습니다. -
3:59 - 4:03하지만 제가 곧 알아냈을 때,
이 도움은 특정된 종류였습니다. -
4:03 - 4:05돈 혜택이 좀 있었지만
-
4:05 - 4:09대부분의 국가 지원은
다양한 사회적인 프로그램으로 나왔습니다, -
4:09 - 4:12그리고 그 프로그램들 중에서
큰 것 중에 하나는 -
4:12 - 4:14"경쟁력 높이기 활동."
-
4:15 - 4:17그것은 본질적으로 세미나였는데
-
4:17 - 4:20모든 실업자들들의 참여를 독려했습니다.
-
4:20 - 4:23그래서 저는 그들과 함께
세미나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
4:24 - 4:27많은 역설이 저에게 다가왔습니다.
-
4:27 - 4:29상상해 보세요.
-
4:29 - 4:32위기는 계속 진행중이고,
-
4:32 - 4:34라트비아 경제는 위축되는 중이고,
-
4:34 - 4:37거의 아무도 사람들을 고용하지 않고,
-
4:37 - 4:38그런 현실입니다.
-
4:38 - 4:41작고 밝은 조명의 교실 안에,
-
4:41 - 4:4315명의 사람이
-
4:43 - 4:48개인적인 힘과 약점, 내면의 악마들
목록을 작성합니다, -
4:48 - 4:51우리는 내면의 악마들이 우리가
더 성공적이게 되는 것을 막는다고 들었습니다 -
4:51 - 4:53노동시장 안에서요.
-
4:54 - 4:57가장 큰 지역 은행이 긴급 구제를 받고
-
4:57 - 5:01긴급구제의 비용은
주민들의 책임으로 넘겨질 때, -
5:01 - 5:07우리는 원 안에 앉아 있고
어떻게 심호흡 하는지 배우는 중입니다 -
5:07 - 5:09스트레스를 받을 때요.
-
5:09 - 5:11(심호흡)
-
5:13 - 5:16집 대출들은 담보권을 실행당하고,
-
5:16 - 5:18수 천명의 사람들이 이민을 갈 때,
-
5:18 - 5:22우리는 꿈을 크게 잡고
꿈을 따르라고 들었습니다. -
5:24 - 5:25사회학자로서
-
5:25 - 5:29사회 정책들이 아주 중요한 의사소통의
방법이라는 것을 압니다. -
5:29 - 5:31국가와 시민 사이에서요.
-
5:32 - 5:33이 프로그램의 교훈은
-
5:34 - 5:36트레이너들 중 한명이 말했습니다,
-
5:36 - 5:37"그냥 해라."
-
5:37 - 5:39그녀는 물론 나이키를 인용했습니다.
-
5:39 - 5:44상징적으로, 국가는 노동자들에게
교훈을 보내는 중이었습니다. -
5:44 - 5:47당신은 더 활발해야 하고,
더 열심히 일을 해야하고, -
5:47 - 5:51자기 개발에 노력해야하고,
내면 악마를 이겨내야 하고 -
5:51 - 5:52당신은 더 자신감 있어야 합니다
-
5:52 - 5:56어쩐지 일이 없는 것은
그들의 개인적인 실패였습니다. -
5:57 - 6:00이 위기의 괴로움은
-
6:00 - 6:03스트레스의 개인의 경험으로
취급되었습니다 -
6:03 - 6:05자기 자신의 몸에서 관리되기를
-
6:05 - 6:07깊고 정신적인 호흡을 통해서.
-
6:10 - 6:14개인의 책임감을 강조하는 이 종류의
사회적인 프로그램들은 -
6:14 - 6:17온 세계에 점점 갈수록
더 흔해졌습니다. -
6:17 - 6:21그것들은 사회학자 로익 바캉이 말하는
-
6:21 - 6:24"신자유주의적 켄타우로스 국가"의
상승의 일부입니다. -
6:24 - 6:26여러분이 떠올린 켄타우로스는
-
6:26 - 6:28고대 그리스 문화의 신화속에
나오는 생명체입니다, -
6:28 - 6:30반은 사람이고 반은 짐승인 생물입니다.
-
6:30 - 6:35그것은 사람의 윗부분과
말의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
6:35 - 6:37그래서 켄타우로스 국가는
-
6:37 - 6:42그것의 관심을 사회계층의
위쪽에 있는 사람들에게 줍니다 -
6:42 - 6:47사회계층 최하위에 있는
사람들이 짓밟아 질 동안요. -
6:47 - 6:49그래서 높은 수익을 얻는
사람들과 큰 회사들은 -
6:49 - 6:53세금 감면과 다른 지원정책들을
누릴 수 있습니다, -
6:53 - 6:55실업한 가난한 사람들은
-
6:55 - 6:59국가의 도움을 위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만들어 졌고 -
6:59 - 7:01도덕적으로 훈련 받았을 때,
-
7:01 - 7:04그들은 무책임함 또는 수동적임
또는 게으름으로 누명이 씌입니다 -
7:04 - 7:06또는 흔히 범인 취급을 당합니다.
-
7:07 - 7:11라트비아에서,
우리는 켄타우로스 국가 모델은 -
7:11 - 7:131990년도 부터 확고하게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
7:13 - 7:17예를 들어, 이번년도 까지
자리를 잡고있던 정율 소득세는 -
7:17 - 7:20높은 수익자들에게 혜택일때
-
7:20 - 7:23인구의 사분의 일은
빈곤에서 계속 삽니다. -
7:24 - 7:29그리고 위기와 재정 긴축은
이런 종류의 사회불평등을 더 심하게 만들었습니다. -
7:29 - 7:34그래서 은행들의 자산과
부자들은 보호되는 중에 -
7:34 - 7:35가장 많이 잃은 사람들은
-
7:35 - 7:39개인의 책임감에 대해서
수업을 들었습니다. -
7:40 - 7:44현재, 나는 세미나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말하면서, -
7:44 - 7:47나는 그들이 화난 모습을 예상했습니다.
-
7:47 - 7:48나는 예상했습니다 그들이
-
7:48 - 7:51개인의 책임감에 대해
수업을 저항하는 것을 -
7:51 - 7:56어쨌든, 위기는 그들의 잘못이 아니였지만
아직도 그들은 그것의 결과를 감당했습니다. -
7:56 - 8:00하지만 사람들이
저와 이야기를 공유하면서 -
8:00 - 8:02저는 부딪히고 또 부딪혔습니다
-
8:02 - 8:06책임감이라는 생각의 권력에요.
-
8:08 - 8:10제가 만난 사람들 중에
한 명은 자네테입니다. -
8:11 - 8:14그녀는 23년동안 일을 해왔습니다
-
8:14 - 8:19리가에 직업학교에서 바느질과
다른 공예를 가르치면서 -
8:19 - 8:21그리고 지금 위기와 부딪히고
-
8:21 - 8:24학교는 긴축 방안 중
한부분으로서 닫았습니다. -
8:24 - 8:30교육제도를 개편하는 것은 공금을
아끼는 방법중 하나였습니다. -
8:30 - 8:33전국의 10,000명의 교사가
직업을 잃고 -
8:33 - 8:35자네테가 그들 중에 한 명입니다.
-
8:35 - 8:38제가 그녀가
이야기해준 것으로부터 깨달은 것은 -
8:38 - 8:41그녀의 직업을 잃는 것은
절망적인 상황에 놓았다는 것입니다. -
8:41 - 8:45그녀는 이혼했고 두 아이의
유일한 부모입니다. -
8:45 - 8:47그리고 하지만, 저희가 얘기할떄,
-
8:47 - 8:52그녀는 이 위기가
정말로 기회라고 말합니다. -
8:53 - 8:56그녀는 말합니다,
"저는 이번년도에 50살이 되요. -
8:56 - 9:01저는 삶이 저에게 멈추고
둘러볼 수 있는 기회를 줬다고 생각해요, -
9:01 - 9:03왜냐하면 지금까지 저는 쉴새없이 일했고
-
9:03 - 9:05엄출 수 있는 시간이 없었어요
-
9:05 - 9:07그리고 지금은 제가 멈추고,
-
9:07 - 9:11저는 모든 것을 보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
9:11 - 9:13제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
9:13 - 9:15하지 않는 것이 무언인지요.
-
9:15 - 9:19이 모든 시간, 바느질하고
바느질은 일종의 피로예요." -
9:20 - 9:24그래서 자네테는 23년 후에
불필요해졌습니다. -
9:24 - 9:26하지만 그녀는 시위할
생각은 하지않습니다. -
9:26 - 9:30그녀는 1%를 반대하는 99%에 대하여
얘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
9:30 - 9:32그녀는 자기자신을 분석하는 중입니다.
-
9:32 - 9:35그리고 그녀는 작은 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실용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
9:35 - 9:37그녀의 침실 밖에서
-
9:37 - 9:40관광객에게 팔
작은 기념품 인형을 만들면서. -
9:40 - 9:43저는 또 실업사무소에서
아이버를 만났습니다. -
9:43 - 9:45아이버는 40대 후반이였고,
-
9:45 - 9:50그는 도로건설을 감독하는
정부기관에서 직업을 잃었습니다. -
9:50 - 9:54우리 모임들 중 하나에,
아이버는 그가 읽던 책을 가져옵니다. -
9:54 - 10:01그것은 "스트레스 예방접종,
또는 정신 에너지 합기도" 라고 불립니다. -
10:02 - 10:05현재, 몇몇의 합기도는
무술의 한 종류라고 알고 있습니다. -
10:05 - 10:08그래서, 정신 에너지 합기도.
-
10:09 - 10:12그리고 아이버는 저한테 말합니다.
-
10:12 - 10:15직업이 없는 동안, 읽고
생각하고 반성하고 몇달 후에 -
10:15 - 10:21그는 자신의 현재 어려움은
자신의 일임을 이해했습니다. -
10:21 - 10:23그는 저에게 말합니다,
-
10:23 - 10:25"나는 그것을 내 스스로 창작했어요.
-
10:25 - 10:28나는 나에게 좋지않은
심리적상태에 있었어요. -
10:28 - 10:31만약에 사람이 돈을 잃고
직업을 잃기가 두려우면, -
10:31 - 10:34그들은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더 불안해지고 두렵기 시작해요. -
10:34 - 10:36그것이 그들이 가지는 것이에요."
-
10:37 - 10:38제가 그에게 설명을 부탁하면서,
-
10:38 - 10:43그는 자신의 생각들을 사방으로 달리는
야생 말과 시적으로 비교합니다, -
10:43 - 10:46그리고 그는 말합니다,
"여러분은 생각의 목자가 되야해요. -
10:47 - 10:49물리적인 세상에서
일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
10:49 - 10:51여러분은 생각의 목자가 되어야 합니다,
-
10:51 - 10:54왜냐하면 모든 것이 정돈되어 있는 것은
당신의 생각을 통하기 때문입니다." -
10:55 - 10:57"최근," 그는 말합니다,
"저는 제대로 이해했어요 -
10:57 - 10:59제 주변의 세계,
저에게 무슨 일이 생기는지, -
10:59 - 11:03제 삶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모두 저 자신에게 달려있습니다." -
11:03 - 11:08그래서 라트비아가 이 극심한
경제적인 실험을 겪는 동안, -
11:08 - 11:11아이버는 자신의 사고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
11:11 - 11:16그는 당시에 겪고있는 일에 대해
자신을 비난하고 있습니다. -
11:17 - 11:22그래서 당연히 책임감을
갖는 것은 좋은 것이죠? 맞죠? -
11:22 - 11:24이것은 상당히 의미있고
-
11:24 - 11:26소련 사회에서 도덕적으로 바뀌었습니다.
-
11:26 - 11:30국가에 대한 의존이
소련의 과거의 불행한 유산으로 -
11:30 - 11:31평가받는 곳에서.
-
11:32 - 11:35하지만 내가 자네테,
아이버와 다른 사람들에게 경청할 때 -
11:35 - 11:38저는 이 질문이 얼마나
잔혹한지 생각했습니다. -
11:39 - 11:40"너의 책임감은 어디에 있니?"
-
11:40 - 11:42정말 살인적이죠.
-
11:42 - 11:46왜냐하면, 이것은 사람들을 비난하고
무마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11:46 - 11:48위기에 의해 가장 나쁘게
영향을 받은 사람들을. -
11:48 - 11:52그래서 그리스인들이 도로에 나와 있을 때,
라트비안들은 두꺼비를 삼켰습니다, -
11:52 - 11:55그리고 많은 수천명들이 이민을 갔습니다,
-
11:55 - 11:58그것은 책임감을 가지는
다른 방법입니다. -
12:00 - 12:03그래서 표현, 개인의 책임감의 표현은
-
12:03 - 12:06공통 부정의 한 종류가 되었습니다.
-
12:06 - 12:09저희가 실업자를 대우하는
사회정책이 있는 한에 -
12:09 - 12:11개인의 실패로
-
12:11 - 12:15하지만 사람들에게 기술을 주는 프로그램을
위한 넉넉한 자금은 없습니다. -
12:15 - 12:17또는 직장들을 만들 돈도 없습니다,
-
12:17 - 12:20우리는 정책담당자들의
책임감의 맹인들입니다. -
12:20 - 12:24저희가 왠지 소극적이거나 게으른
가난한 사람들을 누명을 씌우는 한에 -
12:24 - 12:26사람들에게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진짜 방법을 주지않습니다. -
12:27 - 12:28이민가는 것을 제외하고,
-
12:28 - 12:32우리는 가난의 진정한 원인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
12:32 - 12:34그리고 그동안,
-
12:34 - 12:35우리는 모두 고통받습니다,
-
12:36 - 12:40왜냐하면 사회과학자들이
상세한 통계자료를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
12:40 - 12:45정신과 신체 건강 문제가 있는 이들이
더 많아진다고 했습니다. -
12:45 - 12:49경제적 불평등 수준이 높은 사회에서.
-
12:49 - 12:55그래서 사회 불평등은 듣자하니
자원이 없는 사람에게만 나쁜 게 아니라 -
12:55 - 12:56우리 모두에게 나쁩니다,
-
12:56 - 12:58왜냐하면 불평등 수준이 높은
사회에서 사는 것은 -
12:58 - 13:02사회적 신뢰가 낮고 불안감이 높은 사회에서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지요. -
13:03 - 13:04그걸로 됐습니다.
-
13:04 - 13:06우리는 모두 자기 계발
책들을 읽는 중이고 -
13:06 - 13:08버릇을 버티려고 노력하고,
-
13:08 - 13:10우리의 두뇌를 재구성하려고 노력하고,
-
13:10 - 13:11우리는 명상합니다.
-
13:11 - 13:14그것은 당연히 도움이 됩니다.
-
13:14 - 13:17자기 계발 책들은 우리가
더 긍정적으로 느끼게 도와줍니다. -
13:17 - 13:22명상은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정신적으로
더 연결이 되었다고 느끼게 도와줍니다. -
13:23 - 13:25제가 생각하기에 우리가 필요한 것은
-
13:25 - 13:30우리를 서로에게 사회적으로
연결에 대한 인식입니다, -
13:30 - 13:33왜냐하면 사회 불평등은
모두를 다치게 하기 때문입니다. -
13:33 - 13:36그래서 우리는 더 동정하는
사회정책들이 필요합니다 -
13:36 - 13:40도덕 교육을 덜 목표로 하고
-
13:40 - 13:44사회정의와 평등을 더 목표로 하는
사회정책들 말이죠. -
13:44 - 13:45감사합니다.
-
13:45 - 13:48(박수)
- Title:
- 왜 경제위기를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가?
- Speaker:
- 리엔 오졸리나(Liene Ozoliņa)
- Description:
-
2008년에 글로벌 금융위기는 라트비아를 멸망시켰습니다. 실업률이 올라가자, 정부는 공공 자금을 없애고 세금을 높이는 와중에 부유층과 대기업에게 안심을 시켜줬습니다.힘들어하는 시민들의 반박이나 항의 하나 없이. 사회학자 리엔 오졸리나는 라트비아 임원들이 자국의 경제 실패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도록 국민을 설득 한 방법을 조사하고 전 세계적으로 불평등을 유지시키는 유사한 사회 정책의 상승을 강조합니다.
- Video Language:
- English
- Team:
TED
- Project:
- TEDTalks
- Duration:
- 14:02
![]() |
Jihyeon J. Kim approv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Jihyeon J. Kim edi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 |
![]() |
세연 민 accepted Korean subtitles for Why do we blame individuals for economic cris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