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나만의 빙하를 키우는 방법 - 엠 잭슨 (M Jackson)
-
Description:
전체 강좌 보기: https://ed.ted.com/lessons/how-to-grow-your-own-glacier-m-jackson
13세기에, 칭기즈칸은 유라시아 정복 임무에 착수하여 신속하게 여러 나라를 정복하고 그들을 자신의 제국의 지배하에 두었습니다. 그러나 전설에 따르면 그 조차 극복할 수없는 장애물이 하나 있었습니다. 그것은 지역주민들에 의해 산길을 가로질러 만들어진 우뚝 솟은 빙벽이었지요. 엠 잭슨(M Jackson)은 빙하를 키우는 고대의 방법과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탐구합니다.
강연: 엠 잭슨 (M Jackson)
영상: 아트레이크 스튜디오(Artrake Studio)
-
Speaker:
엠 잭슨 (M Jackson)
-
13세기에
-
칭기즈칸은 유라시아 대륙의
정복 작업에 착수했으며,
-
신속히 각 나라를 정복하고
흡수하여 그의 제국을 확장했습니다.
-
막대한 군대를 가진 그를 막을 자는
거의 아무도 없었습니다.
-
그러나 전설에 따르면
단 하나의 장애물이 있었는데
-
위대한 칭기즈칸조차도
이것은 정복 할 수 없었습니다.
-
바로 높이 우뚝 솟은 빙벽이었지요.
-
지역민들이 산을 가로지르는 길에
-
칭기즈칸 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만든 것이었지요.
-
이 이야기가 역사적으로 얼마나
정확한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
하지만 분명히
사실에 기반을 둔 이야기입니다.
-
수 세기 동안 카라코람과
히말라야산맥에서
-
사람들은 빙하를 키워왔고
그들이 만들어 낸 얼음덩어리를
-
식수의 공급원 및
농작물의 관개수로 이용했습니다.
-
그러나 우리가 그 매력적인 현상에
빠지기 전에
-
두 종류의 빙하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하나는 야생에서 자라는 빙하이고
-
다른 하나는
인간이 만들어 낸 빙하입니다.
-
야생에서는
-
빙하가 자라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
강설, 차가운 기온,
그리고 시간입니다.
-
먼저 엄청나게 많은 눈이
내리고 쌓입니다.
-
그러고 나서 차가운 기온 덕분에
쌓이게 된 눈이
-
겨울, 봄,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와도 계속 유지됩니다.
-
이후 수 년, 수 십 년,
그리고 몇 백 년 동안
-
축적된 눈에 의한 압력으로 인해
-
여러 층의 눈이
밀도 높은 빙하로 바뀝니다.
-
그러나 인위적으로
빙하를 키우는 방법은
-
완전히 다릅니다.
-
세 거대한 산맥이 만나는 지점
-
즉 히말라야, 카라코람 그리고
힌두쿠시산맥이 만나는 곳에 있는
-
일부 민족들은 수 세기 동안
빙하가 살아있다고 믿었습니다.
-
게다가
-
어떤 빙하는 남성과 여성 같은
다른 성별을 가진다고 믿었지요.
-
이들은 두 빙하를 교배시키듯이
접붙여서 새로운 빙하를 만들었습니다.
-
남성 빙하 조각과
여성 빙하 조각을 합치고
-
이것을 목탄, 밀 껍질, 헝겊
또는 버드나무 가지 등으로 덮습니다.
-
그러면 이들이
짝짓기를 하는 것이지요.
-
이 보호막 안에서
-
빙퇴석들은
완전한 빙하로 성장하게 됩니다.
-
해마다 강설이 내리며
계속 성장하게 되는 것이지요.
-
이후 이 빙하가
안정적인 저수지 역할을 하고
-
농부들이 작물을 경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
이러한 방법은 다른 문화권으로
널리 퍼져서
-
사람들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방법으로 빙하를 만들고
-
급수 관련 심각한 현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하고 있습니다.
-
높은 고원의 사막 지역인
북인도의 라다크 지역을 살펴봅시다.
-
이곳은 비구름이 닿기 어려운
히말라야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
강수량이 일 년에
10cm도 채 되지 않습니다.
-
기후 변화 때문에
이 지역의 빙하가 줄어들어서
-
지역적인 물 부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따라서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만의
빙하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
불확실성에 대한 보험으로써 말이죠.
-
이 빙하는 두 가지 종류로
수평과 수직 형태입니다.
-
수평의 빙하는 농부들이 녹은 빙하수의
방향을 조절하여 만들어집니다.
-
수로와 파이프 안으로 들어간 빙하수는
-
파이프 안에서 분배되어 돌과 흙으로 만든
여러 저수지로 조심스럽게 분배됩니다.
-
마을 주민들은 매우 조심스럽게
이 저수지로 물을 보내고
-
이 물이 층층이 얼기를 기다렸다가
-
또 새롭게 물들을 흘려 넣습니다.
-
이른 봄에
-
이 얼린 저수지들이 녹아
-
마을 주민들의 농경지에
관개수로 공급됩니다.
-
지역 주민들은 빙하수를 이용해
수직의 빙하를 만들기도 합니다.
-
마을보다 훨씬 높은 지역에 있는
기존의 빙하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
빙하수가 수로를 통해 내리막길로 흐르고
-
농경지에 이를 때까지 계속 이동하며
-
파이프의 끝에서 공중으로 수직으로
뿜어져 나옵니다.
-
겨울 기온이 매우 낮을 때
-
이 물은 파이프에서 둥근 반원을
그리며 나와 얼어붙게 됩니다.
-
최종적으로 50m에 달하는
스투파라는 얼음조각이 됩니다.
-
위아래가 뒤집힌
아이스크림 콘 모양이죠.
-
이러한 뒤집힌 형태는
-
봄과 여름에 태양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최소화합니다.
-
-
농부의 경작지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합니다.
-
-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는 현재에
점점 더 유용해지고 있습니다.
-
사실 현재 라다크 이외에도 많은
지역에서 자신들의 빙하를 기르고 있습니다.
-
스위스 사람들은 현대적인 빙하 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
2016년에 스위스 알프스에서
그들의 첫 번째 스투파를 만들었습니다.
-
그리고 100개 이상의 스투파가
-
파키스탄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만들어질 계획입니다.
-
아마도 언젠가는 우리도 직접 집에서
빙하를 만들어서
-
충분히 잘 만든 거대한 빙벽을
만들지도 모릅니다.
-
이번 경우에는
사람들을 내몰기 위함이 아니라
-
지구의 일부 황량한 지역에서
살아가기 위해서 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