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Video

평등을 위한 트랜스젠더 긴 싸움에 대한 짧은 역사

  • 0:01 - 0:03
    트랜스젠더들이 갑자기 도처에
    나타나게 된 이유가 뭘까요?
  • 0:03 - 0:05
    (웃음)
  • 0:05 - 0:08
    트랜스젠더 인권 운동가로서,
    저는 이런 질문을 꽤나 받았습니다.
  • 0:09 - 0:11
    기억해두세요.
    미국 성인 중 1% 미만의 인구가
  • 0:11 - 0:13
    트랜스젠더로 공식적으로 분류됩니다.
  • 0:13 - 0:17
    최근 GLAAD의 조사에 따르면
    약 16%의 비 트랜스젠더 미국인은
  • 0:17 - 0:20
    주변의 트랜스젠더를 안다고 합니다.
  • 0:20 - 0:23
    그렇다면 나머지 84%에게는
    아마 새로운 주제일지도 모르겠네요.
  • 0:23 - 0:25
    하지만 트랜스젠더들은 새롭게
    나타난 것이 아닙니다.
  • 0:26 - 0:28
    타고난 몸과 정신의 성별이 다른 것은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 0:28 - 0:30
    그리고 트랜스젠더들은
    그 유산의 부분입니다.
  • 0:32 - 0:36
    중앙 아프리카에서 남미,
    태평양의 섬들과 그 너머에 이르기까지
  • 0:36 - 0:39
    많은 곳에서 다양한
    젠더들을 인정해왔습니다.
  • 0:39 - 0:41
    그리고 그 역사는 꽤 깁니다.
  • 0:41 - 0:43
    예를 들면 인도와 파키스탄의 히즈라는
  • 0:43 - 0:46
    2000년전 카마수트라에도
    인용되었습니다.
  • 0:47 - 0:50
    미국 원주민 부족들은 이 개념을
    지칭하는 각자의 단어가 있지만
  • 0:50 - 0:52
    대개는 "두 영혼"이라는
    포괄적 용어로 부릅니다.
  • 0:53 - 0:56
    그들은 다중 성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을
    사회의 샤먼이나 치유자로 보았고
  • 0:57 - 1:02
    이 믿음은 식민주의가 펴졌을 때까지
    계속 되었습니다.
  • 1:03 - 1:05
    트렌스젠더의 역사를 연구하려면
  • 1:05 - 1:08
    트랜스젠더들과 트랜스젠더 관습을
    모두 살펴보아야 합니다.
  • 1:09 - 1:14
    한 예로 미국 남북전쟁에 참전하려고
    남자처럼 행세한 여자들을 생각해보세요.
  • 1:14 - 1:16
    전쟁 후에 대부분은
    여자의 삶으로 돌아갔지만
  • 1:16 - 1:21
    알버트 캐쉬어와 같은 일부는
    계속 남성으로 살았습니다.
  • 1:21 - 1:24
    알버트는 결국 정신병원에 감금되어
  • 1:24 - 1:26
    남은 평생 드레스를
    입도록 강요 받았습니다.
  • 1:28 - 1:28
    (한숨)
  • 1:29 - 1:32
    1895년에 자칭 양성구유자들의 단체인
  • 1:32 - 1:34
    세르클 헤르마프로디토스가
    만들어졌습니다.
  • 1:35 - 1:39
    그들의 임무는 전세계의 가혹한 박해에
    함께 저항하는 것이었습니다.
  • 1:39 - 1:43
    그러면서 초기 트랜스젠더
    옹호 단체들 중 하나가 되었죠.
  • 1:43 - 1:47
    40년대와 50년대에 연구자들이
    트랜스젠더 의학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 1:47 - 1:50
    그들은 루이스 로렌스같은 트랜스젠더
    환자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죠.
  • 1:50 - 1:56
    그는 공공장소에서 복장 도착으로 수감된
    사람들과 광범위하게 교류했죠.
  • 1:56 - 1:59
    그녀는 알프레드 킨지같은 성연구자들을
  • 1:59 - 2:01
    거대한 트랜스젠더 네트워크와
    연결시켜 주었습니다.
  • 2:02 - 2:04
    다른 초기 인물들로
  • 2:04 - 2:09
    버지니아 프린스, 리드 에릭슨 그리고
    유명한 크리스틴 요르겐슨 등이 있었는데
  • 2:09 - 2:12
    크리스틴은 1952년
    공식 커밍아웃을 해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 2:13 - 2:17
    도시에 사는 백인 트랜스젠더들이
    지원 네트워크를 형성해가는 동안
  • 2:17 - 2:19
    많은 다른 유색인종 트랜스젠더들도
    앞길을 개척해 나갔어요.
  • 2:20 - 2:24
    일부는 메이저 그리핀 그레이시처럼
    여장을 한 채로 걸어 다녔습니다.
  • 2:24 - 2:27
    다른 이들은 “길거리의 여왕들”
    이라고 불렸는데
  • 2:27 - 2:30
    그들의 젠더 표현 방식으로 인해
    종종 경찰에게 요주의 인물이 되었고
  • 2:30 - 2:35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중대한 이벤트의
    선두에 서게 되었습니다.
  • 2:35 - 2:39
    1959년 쿠퍼 도넛츠와
  • 2:39 - 2:42
    1966년 콤튼 카페테리아
  • 2:42 - 2:44
    1969년 유명한
    스톤월 여관 시위 등이죠.
  • 2:45 - 2:49
    1970년에 실비아 리베라와
    마샤 피 존슨
  • 2:49 - 2:51
    스톤월의 두 용사들이
  • 2:51 - 2:56
    STAR(길거리 복장도착자
    행동 혁명가들)을 설립했습니다.
  • 2:57 - 3:00
    트랜스젠더들은 법 아래 동등한
    대우를 위해 계속 싸워왔고
  • 3:00 - 3:04
    더 높은 확률의 차별, 실업, 구속,
  • 3:04 - 3:06
    무시무시한 에이즈 확산에도
    불구하고 이를 계속해 왔죠.
  • 3:09 - 3:10
    우리가 존재한 이래로
  • 3:10 - 3:13
    권력자들은 트랜스젠더들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려고 하는 데 대해
  • 3:13 - 3:15
    그 권리를 박탈하려고 해왔습니다.
  • 3:17 - 3:21
    1933년 베를린에서 찍은 이 영화는
  • 3:21 - 3:23
    종종 역사책에서
  • 3:23 - 3:27
    나치가 비독일적이라고 여긴 것들을
    어떻게 불태웠는지 보여줍니다.
  • 3:27 - 3:30
    하지만 거의 언급되지 않는 것은
    이 거대한 더미 안에는
  • 3:30 - 3:33
    성연구소의 연구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 3:33 - 3:36
    방금 미국의 트랜스젠더
    운동을 살펴보았는데
  • 3:36 - 3:39
    독일의 마그누스 허쉬펠드와
    그의 동료들이
  • 3:39 - 3:41
    우리보다 몇십년 앞서 갔습니다.
  • 3:41 - 3:45
    마그누스 허쉬펠드는 초기
    성소수자 옹호가였습니다.
  • 3:45 - 3:48
    그는 처음으로 트랜스젠더 개인들에 대한
    책이라고 할 만한 것을 썼습니다.
  • 3:48 - 3:51
    그들이 의료 서비스와 신분증을
    받도록 도와주었죠.
  • 3:51 - 3:53
    그는 베를린 경찰국과 함께
  • 3:53 - 3:55
    성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을 없애기 위해 일했고
  • 3:55 - 3:57
    그들을 연구소에 고용했습니다.
  • 3:57 - 3:59
    나치당이 그의 도서관을 불태웠을 때
  • 3:59 - 4:02
    전세계 트랜스젠더 연구에
    큰 타격을 주었죠.
  • 4:03 - 4:06
    이는 트랜스젠더들을 지워버리려는
    고의적인 시도였고
  • 4:06 - 4:08
    처음도 마지막도 아니었습니다.
  • 4:10 - 4:13
    그래서 사람들이 갑자기 트랜스젠더들이
    도처에 있냐고 물을 때 마다
  • 4:13 - 4:16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우린 늘 여기 있었다는 것입니다.
  • 4:16 - 4:17
    이 이야기들이 전해져야 합니다.
  • 4:17 - 4:20
    시간에 묻힌 다른 많은 것들과 함께요.
  • 4:20 - 4:24
    우리의 생이 축복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우리의 투쟁 또한 잊혀졌습니다.
  • 4:24 - 4:27
    이런 점이 일부 사람들에게는 트랜스젠더
    이슈가 새로운 것처럼 보이게 하겠죠.
  • 4:27 - 4:30
    오늘날 제가 만나는
    많은 사람들은 우리의 운동이
  • 4:30 - 4:32
    지나갈 유행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 4:32 - 4:35
    하지만 우리에게 인내를 가지라고 하는
    좋은 의도를 가진 동지들도 있습니다.
  • 4:35 - 4:37
    왜냐하면 우리의 운동은
    “아직도 새로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 4:39 - 4:41
    대화가 어떻게 바뀔지 상상해 보세요.
  • 4:41 - 4:44
    우리가 트랜스젠더들이 얼마나 오래
    평등을 요구해왔는지를 인정하면요.
  • 4:46 - 4:47
    우리는 아직도 과민반응하는 것일까요?
  • 4:48 - 4:50
    계속 기다려야 할까요?
  • 4:50 - 4:52
    아니면 우리가, 예를 들어
  • 4:52 - 4:55
    살해된 유색인종 트렌스젠더 여성과
  • 4:55 - 4:57
    처벌받지 않은 살인자에 관해
    뭐라도 해야 할까요?
  • 4:58 - 5:00
    아직도 이런 상황이 여러분께
    절박해 보이지 않나요?
  • 5:01 - 5:02
    (한숨)
  • 5:03 - 5:06
    마지막으로, 저는 다른 트랜스젠더들이
    그들이 혼자가 아님을 알았으면 합니다.
  • 5:08 - 5:11
    저는 제 정체성이 죽을 때까지 갖고 갈
    비정상적인 것이라 생각하며 컸습니다.
  • 5:12 - 5:14
    사람들은 이 다름의 개념을
    제 머리 속에 세뇌시켰고
  • 5:14 - 5:17
    저는 저와 같은 사람을 몰랐기 때문에
    이를 믿었습니다.
  • 5:18 - 5:21
    제가 제 조상들을 더 일찍 알았더라면
  • 5:21 - 5:24
    자부심의 근원을 찾는데 이렇게
    오래 걸리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 5:24 - 5:26
    제 정체성과 제 커뮤니티에 대한
    자부심의 근원 말입니다.
  • 5:27 - 5:31
    왜냐하면 저는 멋지고 활기찬
    커뮤니티에 소속되어 있고
  • 5:31 - 5:33
    이 커뮤니티는 다른 이들이
    그렇지 않을 때도 서로를 지지해주며
  • 5:33 - 5:36
    우리가 투쟁할 때도
    서로를 돌보아줍니다.
  • 5:36 - 5:39
    다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 5:39 - 5:42
    서로를 축복하고
  • 5:42 - 5:44
    서로를 사랑하고
  • 5:44 - 5:46
    서로의 눈을 보며
    이렇게 말할 이유를 찾습니다.
  • 5:46 - 5:48
    “넌 혼자가 아니야.
  • 5:49 - 5:51
    너에겐 우리가 있어.
  • 5:51 - 5:53
    우리는 항상 여기 있을거야.”
  • 5:54 - 5:55
    감사합니다.
  • 5:55 - 6:01
    (박수)
Title:
평등을 위한 트랜스젠더 긴 싸움에 대한 짧은 역사
Speaker:
새미 누르 유네스(Samy Nour Younes)
Description:

TED Resident이자 트랜스젠더 활동가인 새미 누르 유네스가 용감한 이야기들과 고무적인 승리 그리고 오랫동안 이어진 인권을 위한 투쟁으로 가득찬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의 백여년간의 멋진 역사를 공유합니다. 그는 “우리가 트랜스젠더인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평등을 요구해왔는지를 인정하면 대화가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 상상해 보세요.”라고 말합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06:14

Korean subtitles

Revi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