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Description:
-
잠깐만요.
-
>> 무슨 일이예요?
-
>> 우리, 언제부터
요리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거죠?
-
>> 메소드에 관한 얘기 할 때부터?
-
>> Rachael Ray씨, 설명 좀 해주시죠?
-
>> [LAUGH] 음,
케이크 구워 본 적 있으세요?
-
>> 먹어본 적이야 있죠.
-
>> 알겠어요.
-
그럼, 자격은 충분해요.
-
>> 좋아요.
-
>> 케이크를 구우려면
밀가루, 설탕을 넣기만 하면 되요.
-
>> 재료들 말이죠.
-
좋아요.
>> 네, 재료요.
-
예.
-
그리고 레시피에 나온 대로
따라가는 거죠.
-
>> 좋아요.
>> 그러면 케이크가 되는 거예요.
-
>> 이렇게요?
-
>> 그래요.
-
>> 좋아요.
음,
-
이 비유를 메소드에 다시 한 번만
연결해 설명해 주세요.
-
>> 좋아요.
메소드를 만들려면
-
입력을 해야 하잖아요.
-
>> 디스플레이 메소드에
수량값을 넣은 것처럼 말이죠?
-
>> 그래요, 그리고 나서
메소드의 명령을 수행하는 거예요.
-
>> 알겠어요, 그러니까 케이크를
굽기 위한 레시피처럼 말이죠?
-
>> 으-흠.
-
그러면 출력이
리턴값으로 나오는 거죠.
-
>> 출력이라, 맛있네요.
-
>> [LAUGH]
>> 메소드에 들어가는
-
입력 파라미터에 대해 더 알아보죠.
-
자바 메소드 파라미터에 대해
구글 검색을 해볼께요.
-
처음 나온 링크가 괜찮아 보이네요.
클릭해보죠.
-
이 글은 메소드에 정보를 전달하는
법에 관한 내용이군요.
-
여기 나온 짧은 코드는 주택 융자금
상환 월부금 계산을 하는 건데요.
-
입력 파라미터가 4개 있군요.
상환금액, 이자율, 융자금 미래가치,
-
그리고 융자 상환 기간 수치입니다.
-
이 메소드를 보시면
이 입력 파라미터를 변수로 사용해서
-
계산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상환금 계산 메소드를 호출하면,
-
이 정확한 순서대로 입력해야 합니다.
-
맨 처음이 상환금액이고 그 다음이
이자율, 이런 식으로 말이죠.
-
이 파트에 낸 퀴즈를 풀려면,
-
이 글 전체를 자세히 읽어보시는 게
좋을 겁니다.
-
데스크 자바 앱의
메인 액티비티 상에서,
-
수량 디스플레이 메소드와
입력 파라미터를 수정해서
-
여러분에게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드릴 거예요.
-
우리 앱에서 디스플레이 수량
메소드라고 부르는 감소 메소드에선
48
00:01:52,680 --> 00:01:54,880
이 메소드에 수량 변수를
-
입력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하지만 입력 패러미터 이름이
'number'이므로
-
이 입력치를 가리킬 때 역시
number라고 지칭해 주어야 합니다.
-
기술적으로는,
입력 파라미터로 전달하는 대신에
-
이 메소드 내의 글로벌 수량 변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여러분께 입력 파라미터에 대해
알려드리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
그냥 이대로 두기로 하죠.
-
이 호출문을
디스플레이 수량 메소드로 바꿔
-
숫자 30을
입력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입력 데이터 타입에 부합하므로
이렇게 해도 괜찮습니다.
-
디스플레이 수량이라 부르는
이 감소 메소드에서는,
-
이 쪽 아래로 점프해서
이 명령들을 수행한 후에
-
변수 수치가 30이 되는 것입니다.
-
이걸 제 기기에서 작동시켜 보여드리죠.
앱에서 마이너스 버튼을 누르면
-
여기에 30이라는 수량이 표시됩니다.
-
한 번 해보죠.
-
여기 보이시죠.
실제로는 이렇게 해서 나오는 수치입니다.
-
다른 변수를 만들어서 이를 메소드에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
여기에 some quantity라는
로컬 변수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
100으로 초기화했습니다.
-
이 변수를 메소드에
입력치로 전달했어요.
-
이제 이 안에 있는 수치 변수값이
100이 되었습니다.
-
기기에서 작동해 보죠.
-
마이너스 버튼을 누르면 수량이
100으로 업데이트 될 겁니다.
-
보시는 대로요.
-
여기 있는 것들은
입력치를 달리해서
-
메소드에 시험 삼아
전달해 보실 수 있어요.
-
입력 파라미터를 사용하다 보면,
-
아규먼트(argument)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실 겁니다.
-
메소드를 호출할 때,
-
전달되는 입력치를
아규먼트라고 합니다.
-
어찌 보면 재미있는 표현이죠.
-
아규먼트라는 말을 생각해 보면,
사람들이 소리지르거나 서로한테
-
욕하는 장면이 떠오르잖아요.
-
하지만 여기서는 아닙니다.
-
아규먼트란 단순히 메소드에 전달되는
입력치를 뜻하는 용어니까요.
-
입력 파라미터는 메소드 선언에
들어가는 실제 입력이며
-
메소드 안에서 사용하는 변수입니다.
-
따라서 입력 파라미터와 아규먼트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죠.
-
어쨌든 글을 계속 읽어보죠.
작성자는 여기서
-
메소드 파라미터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데요.
-
해당 코드를 여러분 앱으로 한번
실험해 보세요.
-
먼저 number라는 이름을
디스플레이 수량 메소드 선언에 있는
92
00:03:58,650 --> 00:04:01,380
입력 파라미터로 바꿔 보세요.
-
변수명만 바꿔 주면 됩니다.
-
그리고 에러 발생시 이를 수정하고
앱에서 작동시켜 보세요.
-
다음 테스트는, 입력 파라미터 수치의
데이터 종류를 바꿔보는 겁니다.
-
int에서 String 같이 말이죠.
-
그러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본 후
바꿨던 내용을 원래대로 되돌리세요.
-
다른 걸로도 시험해보고 싶으시다면
얼마든지 좋습니다.
-
예를 들어, 이러이러하게 해보면
어떻게 될지가 궁금하시다면
-
망설이지 말고 직접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