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꾸준하고 강단이 있고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절대 헤매선 안되고
항상 정답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일하는 방식]
저는 댄입니다.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회사의 파트너죠.
하지만 제겐 또 다른 모습이 있어요.
캐리 드래그쇼.
인스타그램 활동을 위해 만든 캐릭터죠.
제 이중생활을 생각하면서
이런 점이 궁금했어요.
자신의 진정한 모습이
평범함과 약간 거리가 있다면
어느 정도를 직장생활에서
보일 수 있을까요?
자기의 진짜 모습을 숨겨야 할까요?
사회 생활을 시작하고
처음 10년 동안은
리더에게 필요한 자질이
있다고 믿었습니다.
결단력과 진지함이죠.
하지만 전 아니었죠.
그래서 매일 억지로
이상적인 모습을 꾸며냈어요.
더 낮은 목소리로 대화하고
손동작도 자제했죠.
사실 전 꽤 호들갑 떠는 사람이지만
꾹 눌러 참았습니다.
제 머릿속에선 이런 말이 들렸죠.
"넌 너무 게이 같고 여성스러워,
너무 화려하다고."
그런데 제게 호의적인 고문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모두가 당신이 게이인 걸 알아요.
그래도 괜찮아요!
그런 걸로 머리 싸매고
고민할 필요 없어요."
화제를 돌려서, 2016년 할로윈에
발레복을 입은 저예요.
좋아하는 드라마 주인공인
캐리 브래드쇼로 분장했죠.
친구들이나 재밌어할 줄 알았어요.
그런데 예상 밖의 상황이 벌어졌어요.
사진이 유명해진 거죠.
처음엔 단순 재밋거리였어요.
그러다 사람들에게서
메시지를 받기 시작했죠.
제 사진을 보고 정말 반가웠고
자기 본연의 모습을 드러내는 데
큰 용기를 얻었다면서요.
그래서 전 생각해봤습니다.
어쩌면 지금이야말로
내 머릿속의 속삭임을 잠재우고
진짜 내가 될 시간이라고요.
근데 일이 너무 커져 버렸어요.
캐리 드래그쇼가 "뉴욕 포스트",
"US 위클리" 에 퍼진거죠.
전 겁이 났죠.
"상사가 어떻게 생각할까?
직원들은 아직 날 리더로 존경할까?
고객들은 어떻고?"
다른 직업을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죠.
그러던 그때 작은 일이 생겼어요.
직장 상사에게 짧은 문자를 받았죠.
"우와! 코스모폴리탄 잡지에도!"
그러면서 제 이야기가 실린
기사의 링크도 보내더군요.
이 일로 전 머릿속 목소리를
완전히 떨쳐내고
완전히 새로운 세상을
즐기기 시작했어요.
더는 겁내지 않았죠.
그건 고작 한 사람의 힘이었어요.
때론 단 한 명의 내 편이
가장 든든한 법이죠.
그리고 직장동료들도 달라졌어요.
전보다 더 친근하게 다가와
장난도 쳤죠.
저의 또 다른 모습을 알게 되자
그들도 거리낌 없이 자기 본연의
모습을 보일 수 있게 된 거죠.
이렇게 약점을 드러내면
동료들과 거리가 생길 거라고 생각했지만
정반대로 더 좋아졌어요.
2년 전만 해도
제 이런 부분이 받아들여질 거라곤
상상도 못 했는데
실제론 직장생활에 도움이 된다니요.
전 복 받았죠.
전 뉴욕에서 일합니다.
창의성을 높이 평가하는 직장에서
이미 어느 정도 기반을 잡아둔 상태였죠.
여러분도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이 모든 걸 통해
제가 깨달은 건
온전한 자신으로 일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이에요.
저 스스로 오해했던 것도 문제였어요.
성공을 위한 자질에 대해서 말이죠.
리더가 되기 위한 공식은 없어요.
자신의 강점을 찾고
더 크게 발전하면 됩니다.
예전 같으면, 회의가 힘들면
전 완벽한 리더의 가면을 썼겠지만
지금은 "정말 짜증나네."라고
말해버립니다.
이젠 어렵고 힘든 상황을
서로 편하게 말할 수 있게 됐어요.
괜찮은 척 하다가
더 망치는 것보단 낫죠.
정체성을 숨기는 건
일에 지장을 줍니다.
자신의 모습을 꾸미느라
낭비하는 에너지를 생각해보세요.
남다른 척하면서 말이죠.
흥미롭게도 어느 연구조사에서
자신을 감추는지 묻는 질문에
93%의 사람들이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조직에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죠.
직장과 머릿속 이상한 목소리가
우리를 받아들이기에
아직 갈 길이 멀다는 뜻입니다.
상황에 맞춰 조정하는 것과
아예 위장하는 건 매우 다릅니다.
전 그걸 늦게 깨달았어요.
저는 이 모든 걸
내 편 만들기라고 생각합니다.
제 상사가 그렇게 해줬듯이
사람들에게 드러내도 괜찮다고
말해주고 싶네요.
여러분이 게이이든
민족적 배경이 있든
장애가 있거나 신실한 종교인이든
온전한 자신으로 일하는 게
어떤지 느껴보세요.
아마 너무 좋아서 놀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