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의 삶은 평소보다 훨씬 조용합니다. 조용한 건 두려울 수 있습니다. 외롭게 만들기도 하고 평소에 놓치고 있던 것들을 너무 의식하게 하죠. 저는 항상 소리에 대해 생각합니다. 저는 소리 디자이너입니다. "Twenty Thousand Hertz" 팟캐스트의 호스트이기도 하죠. 세계에서 가장 흔하고 흥미로운 소리에 관한 팟캐스트입니다. 하지만 지금이 정적에 대해 얘기하기 완벽한 시간이라고 생각해요. 왜냐하면 정적 같은 건 존재하지 않는다고 깨달았기 때문이죠. 제게 이 생각을 하게 해주신 분은 역사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가셨죠. (피아노 소리) 존 케이지는 여러 장르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죠. 아방가르드 음악가, 현대춤에서 팝 음악까지 영향을 주었습니다. 지금 우리는 1948년에 존 케이지가 작곡한 '풍격 속에서'를 듣고 있습니다. 1994년 스티븐 드루리가 녹음한 버전이죠. (피아노 소리) 사실 이 작품은 정확히 존 케이지의 성향은 아닙니다. 존 케이지는 혁신과 아방가르드 기술로 유명하죠. 매우 유명했었지만 아무도 그가 1952년에 한 것에 준비되어있지 못했죠. 그의 경력 중에 가장 대담한 것을 만들어냈는데 그건 '4분 33초'라고 불렸습니다. 몇몇 비평가들은 심지어 음악이라고 부르길 거부했죠. 왜냐하면 이 작품은 모든 구간에서 연주자는 아무것도 연주하지 않습니다. 전문적인 시각에서 보면 실제로 쉼표를 연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관중들이 봤을 때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죠. 존 케이지의 4분 33초는 1952년 여름에 초연했습니다. 유명한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투도르가 연주했죠. 뉴욕 우드스톡에 메버릭 콘서트홀에서 공연이 진행되었습니다. 외부로 크게 트여있고 나무로 된 아름다운 건물이죠. 데이비드 투도르는 공연장에 걸어가 피아노에 앉아서 피아노의 뚜껑을 닫습니다. 조용히 앉아서 총 3구간 사이에 오직 피아노 뚜껑만 여닫습니다. 시간이 지나 공연은 끝나고 그는 일어나고 공연장에서 나갑니다. (피아노 소리) 관객들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죠. 사람들은 심지어 케이지가 일을 진지하게 생각하는지 의구심이 들었죠. 친한 친구가 편지까지 썼는데 일을 장난으로 하지 말라고 부탁하는 편지였죠. 존 케이지는 소위 말하는 음악을 작곡했는데 기성세대 음악 작곡에 있어서 만연해 있는 생각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죠. 오늘날까지 음악가들이 논쟁하는 부분이죠. 존 케이지가 무슨 생각을 했는지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1940년대로 돌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는 존 케이지가 이미 준비된 피아노를 위해 작곡한 것으로 이름을 떨치고 있었죠. (피아노 소리) 이런 음악을 만들기 위해서 피아노 안에 있는 현 사이에 물건을 끼워놓습니다. 주변에 널브러져 있는 나사, 테이프나 고무 지우개 같은 걸 말이죠. 그러면 고음과 저음의 악기인 피아노를 독특한 음색의 집합체로 변신시킨 거죠. 지금 듣고 있는 곡은 케이지 작곡의 '소나타 5번' 입니다. "준비된 피아노를 위한 간주곡"에서 수록된 곡이죠. 4분 33초 외에 가장 유명한 곡일 겁니다. 이 버전은 보리스 버만이 연주했습니다. 존 케이지는 피아노 어디에 물체들을 위치시킬지에 대해서 매우 상세히 적어놓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공연자가 정확하게 같은 물건을 준비하는 것은 불가능해서 매번 소리는 달라졌죠. 항상 운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었죠. 대부분의 작곡가와 음악가들이 배워 왔던 것 보다 상당히 이질적이었죠. 존 케이지는 우연성에 대해서 관심이 커졌습니다. 이 질문에 대해서 우주가 답을 주길 내버려 두는 것과 같았죠. "내가 다음에는 어떤 음표로 연주해야 할까?" 하지만 이 의문에 대한 답을 듣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 경청해야 합니다. 하지만 1940년도에 이 우주가 들려주는 소리를 듣는 것은 더욱 힘들어 지죠. (엘리베이터 노래) 1930년도에 Muzak 이라는 회사가 설립되었습니다. 회사는 급격히 성장하고 거의 모든 곳에 배경음이 끊임없이 흘러나오게 됩니다. 모든 곳에 배경음이 있었죠. 존 케이지는 사람들이 주변 세상의 배경음에서 벗어날 기회를 빼앗기고 있다고 깨달았죠. Muzak 이 정적을 들을 수 없게 한다고 걱정했죠. 1948년에 4분 33초를 작곡하기 4년 전에 존 케이지는 4분 30초짜리의 정적을 만들어서 Muzak 에 팔고 싶다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이건 정치적 발언 내지 즉흥적인 발언에서 시작했지만 이 생각은 본인의 신경을 건드렸고 빠르게 진화했죠. 존 케이지는 정적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게 되었죠. 그리고 매우 조용한 장소를 방문했고 매우 놀라운 발견을 하게 됩니다. 존 케이지는 하버드대의 무반향실을 방문했습니다. 무반향실은 청각적으로 소리가 없다고 생각될 정도로 최소화하는 방입니다. 이 방들에 소리는 없죠. 그래서 존 케이지는 아무것도 들을 수 없어야 했죠. 하지만 본인의 혈액이 순환하는 소리를 듣게 되죠. (맥박 소리) 저도 개인적으로 무반향실을 경험했는데요. 정말 생생한 경험이었습니다. 여러분의 소리와 정적의 시각을 완전히 바꿔 버릴 수도 있죠. 제 뇌가 증폭기를 틀어서 소리를 찾아서 헤매는 느낌이었죠. 존 케이지와 같이 제 몸에 피가 흐르는 소리를 명확하게 들을 수 있었죠. 그 순간, 존 케이지는 우리가 어디에 있어도 몸에서도 소리를 만든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진정한 정적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사람은 몸이 존재하는 이상 항상 무언가는 듣게 될 것입니다. 이때 존 케이지가 우연성에 대한 흥미가 정적에 대한 흥미를 만난 순간이었죠. 아무 방해를 받지 않는 환경을 만드는 건 정적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고 깨달았죠. 심지어 소리를 조정한다는 개념이 아니었죠. 이미 그곳에 있는 소리에 대한 것으로 본인이 들으려고 한다면 갑작스럽게 들리게 될 것입니다. 4분 33초가 자주 오해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농담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에서 벗어날 수는 없죠. 여러분이 공연하는 곳마다 소리가 다를 겁니다. 그것이 핵심이죠. 존 케이지가 진정으로 원했던 것은 우리 주변에 있는 아름다운 소리의 세계를 듣는 것이었죠. (새 소리) (겹치는 목소리) (교회 종소리) (메뚜기와 부엉이 소리) 4분 33초는 매우 유익한 경험입니다. 사물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집중할 수 있게 도움을 주죠. 다른 누군가가 어떤 식으로 느껴야 하는지 정해주는 것이 아니죠. 굉장히 사적이죠. 또한 소리의 세계에 대해 큰 의문을 제기하게 됩니다. 4분 33초는 음악인지, 소리인지 소리 음악인지 차이점은 있는 걸까요? 존 케이지는 오직 음악만이 들을 가치가 있는 소리가 아니라고 되새겨 줍니다. 모든 소리는 염두에 둬볼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우리는 생에 단 한 번 있을법한 귀를 다시 설정하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우리가 듣는 것에 조금 더 귀를 기울이면 선천적으로 주변에 듣는 소리를 더욱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조용함은 우리가 소리를 차단한다는 뜻이 아니라 본격적으로 들을 준비를 하며 소리의 아름다움을 우리 주변에서 듣는 것을 뜻합니다. 이 정신으로 우리 모두 4분 33초를 연주해봅시다. 여러분이 어디에 있든 말이죠. 3구간이 있고 시작하면 알려드리죠. 여러분 주변 소리의 리듬과 감각을 주의 깊게 들어보세요. 크고 부드러운 소리를 들어보고 조화를 이루는지, 불협화음을 이루는지 조그마한 세부사항들이 모든 소리를 특별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 시간을 유념하면서 실생활의 음파 움직임에 집중해보세요. 감상의 위대함을 즐겨보세요. 첫 번째 구간을 시작해보겠습니다. 지금... 시작합니다. [1. 휴지기] (소리 없음) 두 번째 구간을 시작합니다. 2분 23초 동안 진행됩니다. [2. 휴지기] (소리 없음) 이제 마지막 구간입니다. 1분 40초 동안 진행됩니다. [3. 휴지기] (소리 없음) 끝입니다. 저희가 해냈네요.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