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즉 CO2 는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주요한 온실가스에요. 그러면 CO2 가 어떻게 공기에 들어오느냐고요? 음, 탄소는 순환 과정의 일부에요. 그건 태양으로부터 시작되죠. 햇빛은 1시간에 전 세계가 1년동안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로 지구 표면을 덥힙니다. 식물은, 일종의 생물학적 요리사인데요, 태양빛을 받으면 공기중에서 CO2를 빨아먹고 그걸 섞어서 쾅~ 탄수화물이라는저장된 형태의 에너지를 만듭니다. 포도당이나 자당 같은 것들이죠. 이런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해요. 우리같은 동물들은 그런 식물을 먹고 위에서는 그걸 에너지로 다시 바꾸어 우리가 성장하는데 사용하죠. 온실가스는 이런 과정의 부산물이에요. 그냥 버려지는거죠. 식물이 죽으면 분해되는데, 아주 작은 미생물들이 그 탄수화물을 분해해서 또 부산물인 온실가스를 내보냅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에너지는 태양으로부터 시작되요. 그리고는 먹이사슬을 거치면서 변화하지요. 때로는 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동식물의 몸 속에 묶여 땅속에 묻혀있기도 해요. 그렇게 되면, 엄청난 압력을 받아 탄소를 재료로 하는 화석연료 바뀌기도 하죠. 석유나 석탄, 천연가스가 이런 것들이에요. 산업 혁명 이 후, 인인간은 그 화석 연료를 땅속에서 파내 태워서, 그 안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기을 생산하고 엔진을 돌렸어요. 그런데, 그렇게 하면 수백만년동안 저장되어 있던 CO2 를 배출하거든요. 게다가 사람은 산소를 흡입하고 CO2 를 배출합니다. 식물은 그 반대죠. 나무들은 엄청난 양의 CO2 를 마셔대고, 그래서 이 순환의 평형을 이루는거죠. 그래서, 숲을 파괴하면 CO2 를 저장하고 있는 식물이 줄어들죠. 우리는 이 순환을 양쪽에서 공격합니다. 컴퓨터라고 생각해봐요. 컴퓨터는 한번에 몇개의 프로그램만 작동시키죠? 보통, 어떤 문서를 끝마치고 나면, 그걸 저장하고 닫아두죠. 그래야 컴퓨터가 과도하게 일하지 않으니까요. 그런데 문서를 닫지 않았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러면 모든 문서들이 동시에 열려있겠죠. 그러면 컴퓨터는 전혀 작동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컴퓨터는 점점 더 느려지고 결국 얼어붙게 되고 멈추게 되는거죠. 우리가 탄소 순환을 지나치게 많이 하게 되면 아마 우리의 환경이 그런 쪽으로 가게 될지도 몰라요. 그럼 그런 생태계를 다시 평형에 맞출 방법이 있을까요? 우리의 기술은 어떨까요? 기술이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하니까요. 지속가능한 기술이란 투입되는 양과 생산되는 양이 같은 기술을 입니다. 이런 것들은 CO2 처럼 현재에도 미래에도 외부적으로 부정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죠. 이러 것들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자기 자신과 서로 상쇄되는 효과를 내는 것들 입니다. 이런 것을 얻으려면 우리는 지속가능한 기술을 발명해야 합니다. 이제껏 만들어진 모든 아이디어와 기술을 하나의 순환 체계에 넣으면 발명은 그 순환의 한계를 밀어낼 거에요. 그리고 순환계의 밖은 무궁무진 하겠죠. 그러니까 발명으로 인한 잠재성은 무한합니다. 오늘날 우리가 가진 대단한 청정 에너지들을 생각해보세요: 바람, 전기차 또는 태양 자동차, 생물적 가스 생물연료, 광합성 미생물, 배양토. 이런 모든 것들은 사람으로 부터 나옵니다 사람이 혁신을 이룬 것이지요. 사람이 창조합니다. 창조적인 사람들의 무궁무진한 잠재성이 바로 기후 변화를 멈추고 생태계의 평형을 다시 이루어내는 상상하기 아려운 기술을 만들어 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