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to Video

산호초를 재건하기 위해 새끼 산호를 기르는 방법

  • 0:01 - 0:04
    지금까지 한 일 중 가장
    어려웠던 일은 무엇인가요?
  • 0:04 - 0:06
    땡볕에서 일했던 것인가요?
  • 0:06 - 0:09
    가족이나 공동체를 부양하기
    위해 일했던 건가요?
  • 0:09 - 0:14
    사람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밤낮으로 일한건가요?
  • 0:14 - 0:15
    혼자 일한 것이었나요?
  • 0:15 - 0:18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어도
  • 0:18 - 0:22
    건강을 증진하거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한 일 인가요?
  • 0:22 - 0:27
    무언가를 짓거나, 창조하거나,
    예술작품을 만든 거였나요?
  • 0:27 - 0:31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거나,
  • 0:31 - 0:33
    감사받지 못하는 일이었나요?
  • 0:33 - 0:35
    우리 사회에서 이런 일을 하는 사람들은
  • 0:35 - 0:39
    관심과 사랑, 진정한 응원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 0:39 - 0:42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사람만이
  • 0:42 - 0:44
    이런 힘든 일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 0:44 - 0:49
    지구에 사는 식물과 동물,
    그리고 생태계도 이런 일을 합니다.
  • 0:49 - 0:54
    제가 연구하는 열대 산호초도
    그 중 하나입니다.
  • 0:54 - 0:56
    산호초는 농부입니다.
  • 0:56 - 1:01
    산호초는 전세계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먹거리와 수입, 식량을 제공합니다.
  • 1:01 - 1:04
    산호초는 경비원입니다.
  • 1:04 - 1:09
    산호초가 만든 구조는 해일과
    파도로부터 해안선을 지키고,
  • 1:09 - 1:13
    산호초 생물학적 체계는 물을 정화하여
  • 1:13 - 1:16
    우리가 안전하게 일하고 쉬게 합니다.
  • 1:16 - 1:18
    산호초는 약사입니다.
  • 1:18 - 1:21
    산호초에서 발견되고 있는 분자는
  • 1:21 - 1:26
    새로운 항암제와 치료제를
    찾는 데에 매우 중요합니다.
  • 1:26 - 1:28
    산호초는 예술가입니다.
  • 1:28 - 1:32
    산호초가 만드는 구조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 중 하나입니다.
  • 1:32 - 1:33
    그리고 산호초의 아름다움은
  • 1:33 - 1:40
    다른 천연자원이 부족한 많은 나라의
    관광산업의 기반입니다.
  • 1:40 - 1:43
    이 모든 이유들과 산호초가
    생태계를 위해 하는 일 때문에
  • 1:43 - 1:46
    경제학자들은 전세계의 산호초의 가치를
  • 1:46 - 1:49
    일 년에 수백 조 원으로 평가합니다.
  • 1:49 - 1:52
    하지만 산호초는 우리를 위해
    그 모든 힘든 일을 하고
  • 1:52 - 1:55
    부를 가져다 주었는데도,
  • 1:55 - 1:59
    우리는 산호초를 파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일을 했습니다.
  • 1:59 - 2:01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았고
  • 2:01 - 2:05
    비료와 하수, 질병, 석유, 오염물질
  • 2:05 - 2:08
    그리고 침전물을 바다에 넣었습니다.
  • 2:08 - 2:12
    배와 안정판, 불도저로 산호초를 짓밟고
  • 2:12 - 2:14
    바다 전체의 화학 성질을 바꾸었으며,
  • 2:14 - 2:17
    수온을 높여 심각한 폭풍을 만들었죠.
  • 2:17 - 2:19
    각각 너무 강력한 것들인데,
  • 2:19 - 2:24
    이들은 서로 결합되면서
    심화되어 규모가 더욱 커집니다.
  • 2:24 - 2:25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2:25 - 2:29
    제가 살면서 일하는 곳인 퀴라소에
    몇 년 전 열대 폭풍이 지나갔습니다.
  • 2:29 - 2:33
    사람 손이 닿지 않아 암초가
    왕성하게 자랐던 섬의 동쪽은
  • 2:33 - 2:36
    폭풍우가 지나간 흔적 조차 없었습니다.
  • 2:36 - 2:42
    하지만 물고기 남획과 오염으로
    산호가 죽은 마을에서는
  • 2:42 - 2:44
    열대 폭풍이 죽은 산호를 집어 올려
  • 2:44 - 2:47
    곤봉처럼 사용해서
    남아 있던 산호를 죽였습니다.
  • 2:47 - 2:50
    이건 제가 박사과정 때
    연구한 산호입니다.
  • 2:50 - 2:51
    덕분에 잘 알게 되었죠.
  • 2:51 - 2:54
    이 폭풍이 세포조직의 절반을 없앤 후,
  • 2:54 - 2:58
    산호에는 해조류가 들끓었고
    해조류가 산호조직 보다 커지자
  • 2:58 - 2:59
    산호는 죽어버렸습니다.
  • 2:59 - 3:03
    이렇듯 위협이 커지고 다양한
    위협요소가 결합하는 것을
  • 3:03 - 3:09
    제레미 잭슨은 "점액으로 뒤덮여
    미끌거리는 경사면"이라 묘사합니다.
  • 3:09 - 3:12
    대부분의 산호초가 현재 말 그대로
    박테리아와 해조류로 뒤덮힌
  • 3:12 - 3:17
    점액 덩어리이기 때문에
    은유라 보기 어려울 정도 입니다.
  • 3:17 - 3:21
    그럼 이쯤에서 제가 우리
    모두 산호초를 구해야 한다는
  • 3:21 - 3:25
    부탁을 할 거라고 생각하시겠지요.
  • 3:25 - 3:28
    하지만 한 가지 고백하자면,
  • 3:28 - 3:30
    이런 말은 저를 미치게 합니다.
  • 3:30 - 3:34
    트위터에서, 뉴스 머릿기사에서건
  • 3:34 - 3:38
    번들거리는 고급종이로 만든
    자연보호책자에서건
  • 3:38 - 3:40
    이런 말은 거슬립니다.
  • 3:40 - 3:42
    자연보호운동가로서
    산호초의 죽음에 대해
  • 3:42 - 3:45
    수 십 년간 경고를 해왔지만,
  • 3:45 - 3:49
    제가 만난 사람들 거의 모두
    교육 수준과는 상관 없이
  • 3:49 - 3:54
    산호가 무엇이고 혹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 3:54 - 3:57
    산호초가 이해할 수 없는
    추상적인 것인 사람에게
  • 3:57 - 4:01
    어떻게 지구의 산호초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을까요?
  • 4:01 - 4:04
    산호가 무엇이며 어떻게 태어나고
  • 4:04 - 4:07
    얼마나 재밌고 흥미롭고
    아름다운지도 이해하지 못하는데,
  • 4:07 - 4:11
    왜 산호를 보호하는 데에
    관심을 가질 거라 생각하죠?
  • 4:11 - 4:12
    그럼 그걸 바꿔 봅시다.
  • 4:12 - 4:15
    산호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 4:15 - 4:17
    산호가 태어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 4:17 - 4:20
    하지만 주로 대량산란을 통해서입니다.
  • 4:20 - 4:23
    한 종의 모든 개채들이
    일 년 중 단 하루에
  • 4:23 - 4:27
    그 해에 만든 모든 알을 물기둥으로
  • 4:27 - 4:30
    정자와 함께 묶어 방출합니다.
  • 4:30 - 4:33
    모든 묶음은 해수면으로
    올라가 부서집니다.
  • 4:33 - 4:36
    그리고 정말 운이 좋으면 수면 위에서
  • 4:36 - 4:38
    다른 산호의 난자와 정자를
    만나게 됩니다.
  • 4:38 - 4:41
    그렇기 때문에 산호초에는
    많은 산호가 있어야 합니다.
  • 4:41 - 4:45
    난자가 수면에서 짝을
    만날 수 있기위해서요.
  • 4:45 - 4:48
    수정되면 다른 동물들의 알과
    같은 행동을 합니다.
  • 4:48 - 4:51
    반으로 나뉘고 또 나뉘고 또 나뉘죠.
  • 4:51 - 4:54
    매년 현미경으로 이런 사진을 찍는 건
  • 4:54 - 4:57
    한 해 중 제가 가장 좋아하는
    마법같은 순간입니다.
  • 4:57 - 5:01
    세포 분열이 다 끝난 뒤,
    알은 유영하는 유충이 됩니다.
  • 5:01 - 5:05
    씨앗만한 크기의 작은 지방 덩어리지만
  • 5:05 - 5:07
    우리가 갖고 있는
    감각기관도 갖추고 있죠.
  • 5:07 - 5:13
    색과 빛, 감촉, 화학물질과
    수소이온농도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 5:13 - 5:16
    심지어 압력파도 느낄 수 있고
    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 5:16 - 5:19
    그리고 그 능력을 산호초 바닥에 붙어
  • 5:19 - 5:22
    평생 살 곳을 찾는 데 사용합니다.
  • 5:22 - 5:25
    태어난 지 2일 밖에 되지 않았는데,
  • 5:25 - 5:28
    평생 살 곳을 찾는다고 상상해 보세요.
  • 5:28 - 5:31
    산호는 가장 적당해 보이는 곳에 붙어서
  • 5:31 - 5:33
    그 밑에 골격을 형성합니다.
  • 5:33 - 5:34
    입과 촉수도 만들어
  • 5:34 - 5:39
    세상의 산호초를 만드는
    어려운 작업을 시작하죠.
  • 5:39 - 5:43
    하나의 산호충은 계속 분열하고
    분열하고 또 분열해서
  • 5:43 - 5:45
    자신 밑에 석회로 된 뼈대를 남기면서
  • 5:45 - 5:48
    태양을 향해 자랍니다.
  • 5:48 - 5:51
    수백 년의 시간과 수많은 종이 있어야
  • 5:51 - 5:56
    우주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이 부지런한 동물의 얇은 피부로 덮인
  • 5:56 - 6:00
    거대한 석회암 구조물을
    볼 수 있습니다.
  • 6:00 - 6:04
    산호는 지구상에 몇 백 종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1000종일 수도 있고요.
  • 6:04 - 6:09
    하지만 이 조직체는 수백만 개의
    다른 종의 서식지가 되고,
  • 6:09 - 6:12
    이 다양성은 생태계에 안정을 가져다주며
  • 6:12 - 6:14
    여기서 우리는 새로운 약을 발견합니다.
  • 6:14 - 6:18
    새로운 먹거리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 6:18 - 6:20
    퀴라소에서 일하는 것은
    정말 행운입니다.
  • 6:20 - 6:22
    그곳에는 아직도
    이런 산호초가 있거든요.
  • 6:22 - 6:26
    하지만 카리브 해와 지구의 대부분은
  • 6:26 - 6:29
    사실 이렇습니다.
  • 6:29 - 6:32
    과학자들은 매우 자세하게
  • 6:32 - 6:34
    세계의 산호초 손실을 연구했고,
  • 6:34 - 6:37
    그 원인을 매우 정확하게 기록했습니다.
  • 6:37 - 6:40
    하지만 제 연구에서 저는
    과거에 연연하지 않습니다.
  • 6:40 - 6:45
    퀴라소에서 저와 제 동료는
    앞으로 일어날 일을 연구합니다.
  • 6:45 - 6:49
    그리고 저희가 낙천적이어도 되는
    아주 작은 이유가 있습니다.
  • 6:49 - 6:54
    오래 전에 죽었다고 기록됐을 수 있는
  • 6:54 - 6:59
    새끼 산호가 도착하고 살아남는 걸
    가끔 보기 때문입니다.
  • 6:59 - 7:03
    그래서 우리는 새끼산호가
    성인산호도 적응할 수 없던 조건에서
  • 7:03 - 7:06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 7:06 - 7:08
    새끼 산호는 인간이 사는 이 행성에
  • 7:08 - 7:13
    조금이라도 더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 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7:13 - 7:17
    그래서 제가 동료와
    퀴라소에서 하는 연구를 통해
  • 7:17 - 7:20
    이 중요한 초기 단계에서 새끼 산호에게
  • 7:20 - 7:22
    어떤 것이 필요하고 무엇을 찾는 것인지
  • 7:22 - 7:25
    또한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를 찾고 있습니다.
  • 7:25 - 7:27
    저희가 했던 작업 세가지로
  • 7:27 - 7:31
    이 질문에 답을 하겠습니다.
  • 7:31 - 7:34
    몇 년 전에 3D 프린터로 산호들에게
  • 7:34 - 7:37
    여러 색깔과 촉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 7:37 - 7:40
    간단하게 산호에게 어디에
    정착하고 싶은지 물었습니다.
  • 7:40 - 7:43
    그리고 생물학도 필요 없이
    산호가 건강한 산호초의 색인
  • 7:43 - 7:46
    분홍색과 흰색을 여전히 선호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7:46 - 7:50
    또한 틈과 홈, 구멍을 선호했습니다.
  • 7:50 - 7:53
    포식자들에게 잡아먹히거나
    짓밟히지 않기 위해서요.
  • 7:53 - 7:59
    그럼 우리는 이 사실을 통해
    이 요소들 즉, 분홍색과 흰색
  • 7:59 - 8:03
    틈과 단단한 표면을
    보존계획에 포함해야 합니다.
  • 8:03 - 8:08
    또한 이 결과를 방조제나 부두 등을
    설치 할 때도 적용 할 수 있습니다.
  • 8:08 - 8:11
    산호에게 더 편리한 재료와
  • 8:11 - 8:16
    색깔과 촉감을 사용하는 것이죠.
  • 8:16 - 8:18
    표면적인 것뿐만 아니라
  • 8:18 - 8:22
    산호를 산호초로 끌어당기는
    화학적, 미생물적 신호도 연구합니다.
  • 8:22 - 8:27
    6년 전쯤부터 저는 박테리아를 산호가
    정착한 표면에서 배양하기 시작했습니다.
  • 8:27 - 8:30
    하나 하나씩 연구하며,
  • 8:30 - 8:35
    산호가 정착하여 붙게 만들
    박테리아를 찾고 있습니다.
  • 8:35 - 8:39
    그래서 저희 냉동고엔 이제 확실히
    산호가 정착과 부착 과정을
  • 8:39 - 8:42
    거치게 만들 박테리아 종류가
    매우 많이 있습니다.
  • 8:42 - 8:44
    제가 강연하는 동안에도
  • 8:44 - 8:46
    퀴라소의 제 동료는
    이 박테리아 실험실에서
  • 8:46 - 8:49
    박테리아가 과연 더 많은 산호의
    정착을 도와줄 수 있는지,
  • 8:49 - 8:54
    정착한 산호가 다시 바다에 가면
    더 잘 살아남을지를 실험하고 있습니다.
  • 8:54 - 8:58
    이런 것 외에도 아직 연구되지
    않은 산호종의 신비를
  • 8:58 - 9:01
    파헤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9:01 - 9:04
    이것은 언제나 제가 제일
    좋아하는 산호입니다.
  • 9:04 - 9:07
    덴드로자이라 실린드러스라는
    기둥산호입니다.
  • 9:07 - 9:10
    모양이 특이하고
  • 9:10 - 9:13
    촉수가 뚱뚱하며 보송보송해
    보여서 좋아합니다.
  • 9:13 - 9:15
    희귀하기도 하고요.
  • 9:15 - 9:18
    이런 산호를 산호초에서
    발견하는 건 특별한 선물입니다.
  • 9:18 - 9:19
    사실 너무나 희귀해서
  • 9:19 - 9:23
    작년에 멸종위기종 목록에
    절멸위기종으로 올랐습니다.
  • 9:23 - 9:27
    30년이 넘게 연구조사를 해오면서
  • 9:27 - 9:31
    과학자들이 새끼 기둥산호를
    하나도 찾지 못했기 때문이었습니다.
  • 9:31 - 9:33
    여전히 번식을 할 수 있는지,
  • 9:33 - 9:36
    번식을 하고 있는지도
    확신할 수 없었습니다.
  • 9:36 - 9:38
    그래서 4년 전부터
    밤에 이 산호를 주시하면서
  • 9:38 - 9:44
    퀴라소에서 언제 산란을
    하는 알아내려 했습니다.
  • 9:44 - 9:47
    2007년과 2008년에 한 번씩
    관찰한 적이 있는
  • 9:47 - 9:51
    플로리다의 동료에게서 비법을 전수 받아
  • 9:51 - 9:55
    결국 퀴라소에서 이 산호가
    언제 산란을 하는지 알아냈습니다.
  • 9:55 - 9:56
    여기 왼쪽이 암컷입니다.
  • 9:56 - 10:00
    조직 안에 곧 바다로
    방출할 난자를 갖고있죠.
  • 10:00 - 10:03
    오른쪽에는 정자를
    방출하는 수컷이 있습니다.
  • 10:03 - 10:07
    저희는 이걸 수집해서
    연구실로 가져와 수정했습니다.
  • 10:07 - 10:11
    그리고 연구실에서 유영하는
    새끼 기둥 산호를 얻었습니다.
  • 10:11 - 10:13
    과학 분야의 선조들이 해낸 업적과
  • 10:13 - 10:18
    10년동안 퀴라소에서 했던
    다른 산호 종을 기르는 연습 덕분에
  • 10:18 - 10:22
    일부 유충이 나머지 과정을 마치고
  • 10:22 - 10:24
    정착해서 부착되어
  • 10:24 - 10:27
    산호로 변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 10:27 - 10:32
    이것이 그 누구도 본 적 없는
    첫 새끼 기둥 산호입니다.
  • 10:32 - 10:37
    (박수)
  • 10:37 - 10:40
    이 말이 꼭 하고 싶습니다.
    아기 판다 보다
  • 10:40 - 10:42
    이게 더 귀엽습니다.
  • 10:42 - 10:44
    (웃음)
  • 10:44 - 10:47
    저희는 이 과정의 비밀을
    알아내려고 합니다.
  • 10:47 - 10:51
    산호의 번식과 그걸 우리가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비밀을요.
  • 10:51 - 10:52
    그리고 전세계 어디든 이건 같습니다.
  • 10:52 - 10:55
    과학자들은 산호의 배아를 다루고
    배아가 정착하게 하는
  • 10:55 - 10:57
    새로운 방법을 알아내고 있습니다.
  • 10:57 - 11:02
    저온에서 보존하는 방법도
    알아내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 11:02 - 11:04
    산호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존하고
  • 11:04 - 11:07
    산호와 더 자주 일하기 위해서요.
  • 11:07 - 11:10
    하지만 여전히 저차원의 기술입니다.
  • 11:10 - 11:15
    저희는 영향력도 적고
    연구실 인력도 부족하며,
  • 11:15 - 11:20
    한 시간에 마실 수 있는
    커피의 양도 제한되어 있습니다.
  • 11:20 - 11:23
    이제 사회의 다른 위기와
  • 11:23 - 11:26
    다른 관심영역과 비교해보세요.
  • 11:26 - 11:30
    우리에겐 진보된 의학 기술과
    국방 기술이 있고
  • 11:30 - 11:32
    과학 기술이 있습니다.
  • 11:32 - 11:34
    심지어 예술 기술도 진보되었습니다.
  • 11:34 - 11:41
    하지만 보존 기술은 뒤쳐져 있습니다.
  • 11:41 - 11:45
    여러분이 했던 일 중 가장 어려웠던
    일을 돌이켜 생각해보세요.
  • 11:45 - 11:48
    대부분 부모가 되는 것이라 하실겁니다.
  • 11:48 - 11:51
    제 어머니께서는 부모가 되는 것은
  • 11:51 - 11:54
    상상한 것 이상으로 자기의 인생을
    더 놀라우면서도 더 어렵게
  • 11:54 - 11:57
    만드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 11:57 - 12:02
    저는 산호가 부모가 되는 것을
    10년 넘게 도와주고 있습니다.
  • 12:02 - 12:04
    생명의 신비를 지켜보는 것은
  • 12:04 - 12:08
    제 영혼의 중심까지 놀라움으로
    충만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 12:08 - 12:12
    하지만 저는 산호가 부모가 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도 보았습니다.
  • 12:12 - 12:15
    기둥산호는 2주 전에
    또 산란을 했습니다.
  • 12:15 - 12:18
    저희는 알을 수집하여
    연구실로 가져왔습니다.
  • 12:18 - 12:20
    여기 배아 하나가
    분열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 12:20 - 12:23
    수정되지 못해 터지게 될
  • 12:23 - 12:25
    14개의 다른 알들 옆에서요.
  • 12:25 - 12:27
    이 알들은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터질 겁니다.
  • 12:27 - 12:30
    그리고 그 박테리아는 살 가능성이 있는
  • 12:30 - 12:34
    이 배아의 생명을 위협할 겁니다.
  • 12:34 - 12:37
    우리의 방법이 잘못된 것일지 모릅니다.
  • 12:37 - 12:40
    혹은 이 산호초에서 이 산호만
  • 12:40 - 12:44
    항상 저출산을 겪어왔을 지도 모릅니다.
  • 12:44 - 12:45
    이유가 무엇이던
  • 12:45 - 12:53
    산호초를 키우거나 치료하고
    살리기 위해 새끼 산호를 사용하기까지
  • 12:53 - 12:55
    해야 할 일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 12:55 - 12:59
    그래서 산호의 수천억 달러의
    가치를 신경 쓸 겨를이 없습니다.
  • 12:59 - 13:04
    산호초는 부지런한 동물이자
    식물이고 미생물이자 균입니다.
  • 13:04 - 13:08
    우리에게 예술작품과
    음식과 약을 제공합니다.
  • 13:08 - 13:12
    그런데 우리는 전 세대의
    산호를 없앨 뻔 했습니다.
  • 13:12 - 13:16
    하지만 우리가 그런 짓을 했는데도
    몇 개가 살아남았습니다.
  • 13:16 - 13:19
    이제는 우리가 산호의 업적에 감사하고,
  • 13:19 - 13:24
    산호가 미래의 산호초인
    새끼 산호를 기를 수 있도록
  • 13:24 - 13:26
    모든 도움을 줄 때입니다.
  • 13:26 - 13:27
    감사합니다.
  • 13:27 - 13:29
    (박수)
Title:
산호초를 재건하기 위해 새끼 산호를 기르는 방법
Speaker:
크리스틴 마헤이버 (Kristen Marhaver)
Description:

크리스틴 마헤이버는 수백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더디게 자라 수백 킬로미터가 넘는 길이의 아름답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바다의 구조물을 만드는 씨앗만한 크기의 작은 생물인 산호를 연구합니다. 그녀도 인정하다시피 산호초의 상태는 처참합니다. 뉴스를 통해 산호초가 빠른 속도로 고 죽어나가고 점액으로 변하는 것을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좋은 소식은 우리가 이 놀라운 해양 무척추동물에 대해 점점 더 많이 알아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산호초를 도울 수 있는 방법과 우리가 산호초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요. 생물학자이자 TED 선임연구원인 크리스틴은 이 부지런하고 연약한 생물의 놀랍고도 신비로운 삶을 엿볼 수 있게 해줍니다.

more » « less
Video Language:
English
Team:
closed TED
Project:
TEDTalks
Duration:
13:46
  • Hi,

    I tried to modify your original subtitle step by step. But, I realized that it would be better for you to take how I changed. With that experience, you can take a look at your original once again. Particularly, the point I stopped re-translating requires your more careful attention. I hope that you can grow up out of this experience. I will be with you.

    Best,

    KwangYu

  • 5:53초 부분에 우주도 space로 쓰기 때문에 우주에서도 볼 수 있다는 번역이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Korean subtitles

Revisions